View : 1159 Download: 0

사립유치원 경력이 있는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Title
사립유치원 경력이 있는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Other Titles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experience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career in private kindergarten
Authors
서효원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욱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professional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career in private kindergarten. By examining their experience in the two types of kindergarten, this research provides a picture of the kindergarten society and promotes a rational kindergarten working environment. This study’s participants included four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in both private and public kindergarten in the past five years. To understand in depth the unique professional experience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worked at private kindergartens, through their stories and their interpretations of certain aspects of the experience, this study conducted a narrative inquiry focusing on a collaborat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Data was collected from February 22 to May 28, with a total of 16 individual interviews for about 3 months. The overall research procedure was done using the 5 stages of narrative inquiry proposed by Clandinin (2013/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decided to switch to public kindergartens based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at private kindergarten. In addition, their professional experiences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were consistent and diverse. In private kindergarten, they were able to develop as kindergarten teachers but became aware of their low status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s. This led to their pursuit of better-quality education, improved working conditions, and a rise in social status; eventually, the teachers decided to move to public kindergartens. With these expectations, the study interpreted and evaluated their professional experience in public kindergarten through their time in private kindergarten. Overall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such as teaching, performing tasks, and establishing relationships were presented in many different ways rather than depending on the type of kindergarten organization. Moreover, the manager’s influence on qualitative education was described consistently based on the teacher’s autonomy, efficiency in handling tasks, and status and role as an educational expert. Second, the participants’ professional experience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as well as the decision-making process behind teacher turnover gave them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served as a foundation for their growth as educational experts. They could focus on their lives and decide for themselves when thinking about turnover. In addition, extensive experience in the two types of kindergarten shaped the foundation of teachers’ approach to knowledge, skills, autonomy, and the publicity required. Such an experience helped them accumulate practical knowledge and skills, and studying for the teacher's certificate examination aided in establishing their theoretical foundation. This led to the formation of an identity as educational experts and the pursuit of autonomy in their expertise. In addition, they pursued social responsibility and ethics as the subject of public education and endeavored to become professional teachers. The study thoroughly explored the experience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left private kindergarten as well as the diverse realities of both, reflecting the recent trend in public kindergarten education.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the administrators’ educational philosophy and qualifications could be highlighted through the different experiences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terms of quality of education and working conditions, which previous studies have illustrated ideally, compared to private kindergarten. Based on this understanding of diversity of experiences by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re must be a social consensus on professionalism as well as on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본 연구의 목적은 사립유치원 경력이 있는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교직 경험과 그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두 가지 설립유형의 유치원에서 겪은 교직 경험이 개인의 삶과 교사로서의 삶에 어떠한 의미로 받아들여지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치원 교직 사회에 대한 조망을 돕고 합리적인 유치원 근무 환경 조성을 위한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최근 5년 이내에 사립유치원과 공립유치원의 양 기관에서 교직 경험을 한 교사들 중, 총 교직 경력이 5년 이상인 현 공립유치원 교사 4명이 참여하였다. 사립유치원 경력을 가진 공립유치원 교사의 특수한 교직 경험을 경험의 당사자의 이야기와 그들의 해석을 통해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연구자와 참여자의 협력적 공동연구를 중시하는 내러티브 탐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18년 2월 22일부터 5월 28일까지 약 3개월에 걸쳐 총 16회의 개인면담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전반적인 연구 절차는 Clandinin(2013/2015)이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의 5단계에 따라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사립유치원 교직에서 겪은 긍정적·부정적 경험을 기반으로 공립유치원 이직을 결정하였으며, 공·사립유치원에서의 교직 경험 간에는 일관성과 다양성이 혼재되어 나타났다. 이들은 사립유치원에서의 교직 경험을 통해 교사로서의 발전을 경험할 수 있었으나, 유치원의 안과 밖의 인간관계를 통해 유치원 교사로서 자신의 지위가 낮다는 것을 자각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사립유치원 교직 경험을 통해 양질의 교육, 개선된 근무 여건, 사회적 지위의 상승 등을 추구하게 되었고 공립유치원 이직을 결정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대를 갖고 이직한 공립유치원에서의 교직 경험은 사립유치원에서의 경험을 기준으로 해석되고 평가되었으며, 교육 및 업무 등의 직무 수행과 유치원 내·외의 인간관계 안에서의 지위 및 역할 등의 전반적인 교직 경험은 설립유형에 따라 일관되기 보다는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그러나 교사의 자율성에 근거한 질적인 교육, 업무의 처리의 효율성, 교육전문가로서의 지위 및 역할에 미치는 관리자의 영향력에 대해서는 일관된 서술이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에게 공·사립유치원에서의 교직 경험과 이직 결정 과정은 스스로에 대해 이해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교육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이들은 이직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원하는 삶에 대해 고민하고 주체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두 가지 설립유형의 유치원에서의 교직 경험은 전문직으로서 교사가 갖춰야 하는 지식 및 기술, 자율성, 공공성에 다가갈 수 있는 기반을 형성하였다. 이들은 공·사립유치원에서의 풍부한 교직 경험을 통해 실천적 지식 및 기술을 쌓고, 임용고시 공부를 통해 이론적 기반을 다지게 되었다. 이를 통해 교육전문가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자신의 전문성에 상응하는 자율성을 추구하게 되었다. 나아가 공교육 실현의 주체로서 사회적 책임감과 윤리성을 추구하게 되었으며 전문직 교사로서의 모습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최근에 활성화된 유치원의 공교육화 추세를 반영하여 사립유치원에서 이직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교직 경험과 공·사립유치원의 다양한 현실에 대한 교사들의 해석을 깊이 있게 탐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그동안의 연구에서 사립유치원과 비교하여 이상적으로 그려졌던 공립유치원 교직의 교육 및 근무 여건 등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이 상이하다는 점을 통해 관리자의 교육철학과 자질의 중요성이 조명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공·사립유치원 교사들이 겪는 교직 경험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근무 여건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