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김혜림-
dc.creator김혜림-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47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47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3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31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94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the organization system and contents of national early childhood science curriculum at a national level.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for this purpose. 1. What is the composition of the national early childhood science curriculum? 1-1 What is the organization system of early childhood science curriculum by each country? 1-2 What is the age-specific curriculum association and data association of early childhood science curriculum by each country? 2.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factors of countries' early childhood science curriculum? 2-1 What are the objectives and aim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science curriculum? 2-2 What is the composition of educational contents of early childhood science curriculum by each country? 2-3 What i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reflec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sci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early childhood science curriculum in eight countries including Norway, New Zealand, Finland, Australia, Singapore, Japa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hich deal with science research related fields within kindergarten education curriculum at a national level.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organization systems of different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of each country, the plan and components of curriculum suggested by Lee Ki-suk (2011), the researchers developed the analysis criteria based on the objectives of science education(Cho Myeong-ah, recited in 2010) organized by Hults (1987) American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revised and complemented by Kim Eun-jung, Yoo Young-eui, and Shin Eun-soo (2015) and science education approach suggested by Lee Soon-hyeong, Kim Hye-ra(2012). The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research after establishing analysis criteria by deducting components of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by each count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Most countries except Australia have presented the specific purpose of scie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cience curriculum. In addition, a number of countries describe core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education as an integrated subject or describe science core content knowledge by organizing sub-domain, and suggest theoretical or specific methods for science education. Finally, the evaluation of science curriculum varied from country to country, and the way in which early childhood science curriculum is associated with science curriculum of child care curriculum and compulsory education curriculum was also differen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at a national level is to develop the inquiry skills and retain the rationale attitude.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mainly covered the sub-elements of the scientific literacy and the environment. Furthermore, core content knowledge in accordance with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science field has shown a tendency to be concentrated on the particular contents. Many countries, apart from Korea, were experiencing the process of utilizing scientific knowledge in problem solving process through experimental or inquiry and research methods.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aim of national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science curriculum was to examine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re were also some countries which showed the level of science-related behavior and expectations of achievement separatel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ganizing national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science process, it is required to figure out a structure of contents, which points out that the contents of each field should be included effectively when it comes to set up early childhood science curriculum at a national level. Second, it is crucial to be aware of the limitations of whether it is feasible to provide clear and effective guidance to teachers in presenting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related data of early childhood science curriculum. Third, the aim and objectives of early childhood science curriculum at a national level as well as the statement of the education contents should be reviewed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Fourth, in the case of kindergarten curriculum in Korea, major content knowledge in line with the details of science in each field tended to be weighted towards particular contents. In this sense, there is a strong need for meaningful reconsideration on whether to include curriculum appropriate for the level of infant development additionally. Furthermore, it is prerequisite to reflect new academic knowledge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flow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the demands of the times in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science at the national level. Fifth, it is necessary not only to include attitude and emotion in terms of scientific literacy, but also to include comprehensive inquiry about technology related to scientific process.;본 연구에서는 국가별 국가수준 유아 과학교육과정의 구성 체계 및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국가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국가별 유아 과학교육과정의 구성은 어떠한가? (1) 국가별 유아과학교육과정의 편성 체계는 어떠한가? (2) 국가별 유아과학교육과정의 연령 별 교육과정 연계 및 자료 연계는 어떠한가? 2. 국가별 유아 과학교육과정 요소의 차이는 어떠한가? (1) 국가별 유아 과학교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2) 국가별 유아 과학교육과정의 교육 내용 구성은 어떠한가? (3) 국가별 유아 과학교육과정에 반영된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노르웨이, 뉴질랜드, 핀란드, 호주, 싱가포르, 일본, 한국,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8개국의 유아 과학교육과정으로, 국가수준의 유치원 교육과정 내 과학 탐구 관련 영역이다. 국가별로 상이한 과학교육과정의 구성 체계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이기숙(2011)이 제시한 교육과정의 계획 및 구성 요소, Hults(1987)가 정리한 과학교육의 목적(조명아, 2010에서 재인용), 김은정, 유영의, 신은수(2015)가 수정·보완한 미국 국가과학교육 표준, 이순형, 김혜라 외(2012)가 제시한 과학과 교육접근방법을 기초로 연구자가 분석 준거를 제작하였다. 연구 절차로는 국가별 과학 교육과정 구성 요소를 추출하여 분석 준거를 마련한 뒤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별 유아 과학 교육과정의 진술 체계를 살펴보면, 호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가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 내에서 과학교육의 목적을 별도로 제시하고 있었다. 또한 많은 국가가 과학교육의 핵심 내용 지식을 통합적으로 서술하거나 혹은 하위 영역을 구성하여 과학과 핵심내용지식을 서술하고 있으며, 과학교육을 위한 원론적 혹은 구체적 방법 제시를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과학교육과정 평가는 국가별로 제시가 다양했으며, 유치원 과학교육과정이 보육과정 및 의무 교육과정의 과학교육과정 간 연계를 이루는 방식 또한 상이했다. 둘째, 국가별 과학교육과정의 목적은 대체로 탐구 기술을 발달시키고, 과학적 태도를 유지하는 것을 궁극적인 지향점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 내용으로는 과학적 소양의 하위 요소 및 환경에 대한 내용을 주요하게 다루고 있었다. 더불어서, 과학과 영역 별 세부내용에 따른 핵심내용지식이 특정 내용에 편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을 제외한 많은 국가에서 실험적 혹은 탐구·조사적 방법을 통해 문제해결과정 내에서 과학적 지식을 활용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국가별 유아 과학교육과정 평가의 목적이 교육 활동의 운영에 대한 점검을 위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과학 관련 행동수준 및 성취기대를 별도로 제시하는 국가도 있었다. 이에 대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수준 유아 과학교육과정을 편성하는 데 있어서 내용 영역의 구성 방식 즉, 각 영역별 내용을 효과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는 내용 범주를 모색해야 한다. 둘째, 유아 과학 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 진술 및 연계 자료를 제시함에 있어서 교사에게 명확하고 효과적인 지침을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한 한계를 인식해야 한다. 셋째,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와 교육 내용 진술에서 국제적 표준에 기초한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한국의 유치원 교육과정의 경우, 과학과 영역 별 세부내용에 따른 핵심내용지식이 특정 내용에 편중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와 관련해서 유아기 발달 수준에 적합한 교과 내용을 추가적으로 포함시킬지에 대한 유의미한 재고가 요구된다. 넷째, 국가수준의 유아 과학교육과정에 국제 사회의 흐름 및 시대적 요구에 대한 새로운 학습지식을 반영해야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과학적 소양에서 태도 및 정서에 국한되지 않고, 과학적 과정기술에 대한 탐구 내용이 포괄적으로 포함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교육과정 6 B. 유아 과학교육과정 10 Ⅲ. 연구방법 26 A. 연구대상 26 B. 연구도구 29 C. 연구절차 3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8 A. 국가수준 유아 과학교육과정의 구성 38 B. 국가수준 유아 과학교육과정의 요소 45 Ⅴ. 논의 및 결론 57 A. 논의 57 B. 결론 및 제언 63 참고문헌 67 부록1. 국가수준 과학교육과정 내 과학적 지식 관련 용어 정리 74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97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국가수준 유치원 과학교육과정의 국제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노르웨이, 뉴질랜드, 미국, 싱가포르, 일본, 핀란드, 한국, 호주의 8개국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 78 p.-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contributor.examiner정혜욱-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