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7 Download: 0

중학교 안전교육의 시행도 및 중요도 분석

Title
중학교 안전교육의 시행도 및 중요도 분석
Other Titles
An analyzes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about school safety education : based on the seven major tandard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uthors
이안나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최근 들어 세월호 참사 및 각종 생활 현장, 자연적 재난, 전염병, 학교폭력, 가정폭력 등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크고 작은 사건들로 인하여 학생 스스로가 자신을 보호하고 나아가 높은 안전의식을 통하여 위험으로부터 다른 사람을 지킬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학교안전교육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국가적 요구로 학교 현장에 다양한 교육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육부에서는 2015년 2월 유아부터 고교단계까지 발달단계별로 체계적인 안전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개발하여 학교에 보급하였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와 같이 현재 유치원 및 초·중·고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학교안전교육은 영역의 적절성, 교육방법, 교재내용,교사의 전문성 등에 있어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중학교에서의 안전교육은 교과외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비중이 매우 낮고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기준으로 중학교 안전교육의 시행도 및 중요도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내실 있는 학교안전교육의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안전교육 목적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 영역별 시행도와 중요도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학교안전교육 운영의 개선방안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2017년 12월 13일부터 12월 22일까지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소재의 11개교 중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2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총 181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는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서 제시하고 있는 7개 영역과 중분류 항목을 활용하여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종속표본 t검정, Borich 요구도, IPA Matrix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안전교육 목적에 대한 세부 문항 중‘안전수칙 습관 형성’에 동의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세부 문항별 평균값을 비교해 보면 대체적으로 여교사들이 남교사에 비해 학교안전교육 목적의 동의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교직경력에 따른 인식의 경우 20년 이상의 교사, 0~5년 미만의 교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의 모든 영역 및 중분류에 따른 세부 항목에서 시행도와 중요도 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중요도(4.51)가 시행도(3.95)보다 높게 인식되었다. 각 영역별 시행도와 중요도 순위를 비교한 결과 중학교 교사들은 폭력·신변안전 영역의 시행도와 중요도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직업안전 영역의 경우 타 영역에 비해 시행도와 중요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영역별 중요도에 비해 시행도가 낮게 나타나 우선적 개선이 필요한 영역으로는 생활안전, 직업안전, 교통안전 영역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안전교육 운영의 개선방안에 대한 세부 영역을 정책, 정책집행 기관, 정책대상, 환경 개선으로 구분하여 중학교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일관성 없는 안전교육 정책, 재난 유형별 맞춤형 안전교육 시스템 강화, 학교안전 담당자 또는 전담 인력 지정 및 배치, 안전문화 인식 확산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안전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은 교사를 위하여 정기적인 직원회의, 교내연수 등을 통하여 안전교육 관련 내용 및 중요성을 구체적으로 안내하며 학교안전교육 지도에 미흡함이 없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안전교육 영역별 세부 내용의 우선순위를 고려한 내용 체계에 대한 점검 및 중학교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맞는 안전교육 영역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안전교육 정책의 일원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및 지역 유관기관과의 제휴를 통한 안전 연계망 구축, 체험중심 안전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정책 주체별 역할을 재정립 할 필요가 있다. 교육부 및 국가 수준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안전교육 자료의 제공하고, 단위 학교 수준에서는 교과별 안전교육 시수 조정 검토 및 안전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 방법을 개발하는 등 장기적으로 안전교육 시행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을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소재 11개교 교사를 대상으로 제한하였기에 중학교 교사의 학교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둘째,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의 시행도와 중요도를 분석함에 있어 설문 대상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근거하였기 때문에 시행도와 중요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구체적인 원인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인식을 분석함에 있어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학교 환경 및 교사의 개인적 특성 등을 고려한 인식 차이의 요인을 살펴보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후속 연구에서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한다면 학교 현장에서 효율적인 안전교육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보다 명확하게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safety education, one of the solutions to protect oneself as well as others from the dangers through the safety awareness, are paid attention due to the unpredictable accidents such as the Sewol ferry disaster, various living sites, natural disasters, infectious diseases, school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Various educational support is provided to the school site due to national interest in school safety education, In February 2015, the Ministry of Education developed and distributed " seven major standards for safety education in schools " so that systematic safety education can be carried out in each stage of development from infants to high school. However, as the preceding study revealed, the current safety education in kindergarte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s problematic in terms of their suitability, teaching methods, content, and expertise of teachers. In particular, safety education in middle school is focused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 ratio is very low and insufficient. In this respect,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about school safety education based on the seven major standards of school safety education, and presents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thereby provid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school safety. The focused topics for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purpose toward school safety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safety education in each of the seven areas? Third, what is the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how to improve school safety education?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by 200 teachers at 11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December 13 to 22, 2017, and the research tools included seven categories of utilization provided by the seven school safety education standards.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 process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 one-way variance analysis, dependent sample t test, Borich demand, and IPA Matrix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items for the purpose of the school safety education, the item regarding the habit formation for following the rule shows the highest level of consent. Depending on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tion, the result shows that female teachers recognized the purpose of the school safety education more than the male teachers did so. In the aspect of the teaching career, it is said that the teacher whose careers are over 20 years and the ones whose carrers are under 5 years recognized the purpose of the school safety education clearly in sequence.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implementation and importance in all areas of safety education in the school and in the details according to the division, and the importance(4.51) was perceived to be higher than implementation(3.95). When comparing the implementation and importance ranking of each area, middle school teachers were most aware of the importance of enforcing the areas of violence and personal safety, For occupational safety areas, implementation and importance were lower than for other areas. Priority improvement in the areas requiring lower implementation levels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each area were identified as the areas of living safety, occupational safety, and traffic safety. Third,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was analyzed by dividing the detailed areas for improvement of school safety education operation into policies, policy enforcement agencies, policy subjects, and environment improvement. It is found that in terms of inconsistent safety education policies, reinforcing the safety education system tailored to each disaster type, designating and deploying school safety personnel or special employees, and spreading awareness of safety culture.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teachers whose recognition awareness towards the school safety education is low, regular conferences and school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announce the school safety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school safety.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reas of safety education appropriate to the level of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spection of the content system considering the priority of details for each school safety education area.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system for unification of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ies, establish a safety network through cooperation with regional agencies, and support experience-oriented safety education. Fourth, We need to redefine the role of each policy entity. The Education Ministry and the national level, providing safety education materials available at school sites. at the unit school level also need to come up with measures to enhance safety education implementation over the long term, including various education methods should be developed that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as well as review of the number of safety education hours for each clas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may not cover the whole teacher’s general awareness of school safety education because the study subjects were limited to 11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econd, the concrete and objective analysis can not be guaranteed because the implementation and importance of the seven safety education standards of the school are analyzed based on subjective judgment of the survey participants. Future studies require in-depth study to present objective criteria in analyzing perception and to examine factors of difference of perception considering school environment an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If these limitations are supplemented in further studies, the implications for effective safety education operations at school sites could be more clearly deriv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