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4 Download: 0

이동식 쇼트 클립 어플리케이션의 이용동기와 충족에 관한 연구

Title
이동식 쇼트 클립 어플리케이션의 이용동기와 충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Mobile Short Clip Application:Focusing on the use of video audience
Authors
WANG, ZHONGXI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윤정
Abstract
최근 몇 년간 모바일과 같은 이동형 기기의 급속적인 발전 때문에 미디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대와 장소에서 모바일로 생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능동적으로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스낵컬처 시대에 있어 예전에 텔레비전에 나온 긴 동영상을 시청함과 달리 15분 이내의 짧은 동영상을 부담 없이 시청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미디어 수용자가 이런 현상에 맞춰 나타난 쇼트 클립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아도 되고 원하는 영상을 제한 없이 선택하고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이용하기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단순히 영상 시청만 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인 미디어 이용자로써 직접 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하여 어플리케이션에서 올릴 수 있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왜 쇼트 클립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영상만 시청한 시청자, 시청 후 영상 공유나 댓글을 쓴 참여자, 직접 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한 제작자 3가지 집단으로 나눠 각 집단의 쇼트 클립 어플리케이션 이용동기와 충족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시청자 이용동기는 정보접근성, 이용편리성, 도피성, 습관적 소비성 4가지로 나타났고 충족 요인으로는 정보접근성, 이용편리성, 도피성 3가지를 도출하였다. 참여자 이용동기는 상호작용/인정획득성, 도피성, 이용편리성, 습관적 소비/정보접근성 4가지로 나타났으며 충족 요인으로 오락/ 이용편리성, 인정획득/상호작용성, 정보접근성 3가지로 나타났다. 마지막 제작자의 이용동기로 상호작용/정보접근성, 인정획득/자기표현성. 도피성, 기록성, 습관적 소비성 5가지를 도출하였으며 충족 요인은 상호작용성, 자기표현/인정획득성, 정보접근성, 이용편리성, 도피성 5가지로 나타났다. 연구에서 도출된 이용동기 요인과 충족 요인을 바탕으로 이용동기가 이용행위(집단 별 어플리케이션 이용정도)에 주는 영향과 이용행위(집단 별 어플리케이션 이용정도)가 충족 요인에 미치는 영향도 탐구해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각 집단 이용동기가 해당 쇼트 클립 어플리케이션 이용정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집단 별로 영향을 미치는 이용동기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각 집단 쇼트 클립 어플리케이션 이용정도도 역시 해당 충족 요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였으며 이용동기와 마찬가지로 집단 별 이용정도에 따라 획득된 충족 요인에도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쇼트 클립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서 사용자가 이용 전 추구하려는 욕구, 즉 이용동기와 쇼트 클립 어플리케이션이 실제 제공해주는 만족, 즉 충족 요인 사이에 분명히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용자 쇼트 클립 어플리케이션 이용행위는 시청자, 참여자, 그리고 제작자로 구성하였다. 또는 이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동기와 이용행위에 따라 얻은 충족 요인을 밝혔다. 이에 때문에 최근 인기가 높아지는 쇼트 클립 어플리케이션 이용에 대한 이해를 확대된다는 의미가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y the short clip application is used, and it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viewers who watched only the video, participants who watched the video after shearing or commented, and producers who edited and edited the exact video. As a result, there were four accessibilities, convenience, escape, and habitual consumption motivation for viewer use, and the three factors of accessibility, convenience, and escape were extracted as satisfaction factors. Participants' motivation was four factors: interaction/creditability, avoidance, ease of use, and habitual consumption/information accessibility. The satisfaction factors were entertainment/usability, accreditation/interactivity, 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Interaction/information, accessibility, recognition/self-expression escapism, recordation, and habitual consumption as the motivation for the last creator. The satisfaction factors were five interactivities, self-expression/recognition acquisition, information accessibility, ease of use, and escape. Based on the research motivation and satisfaction factor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sage motives on the user behavior (degree of application usage by the group ) and the user behavior (degree of application usage by group ) on satisfaction fac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group motivation influenced the degree of use of the short clip application, In addition, the degree of use of each group a short clip application also seems to affect the satisfaction factor. In addition, it appeared that there is a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desire to pursue before using the short clip application, that is, the usage motive and the satisfactory satisfaction from the short clip appl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