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8 Download: 0

말 늦은 아동의 표현어휘 발달 예측 요인에 대한 5개월 추적 연구

Title
말 늦은 아동의 표현어휘 발달 예측 요인에 대한 5개월 추적 연구
Other Titles
A 5-month follow-up study on predictors of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in late talkers
Authors
이민정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선
Abstract
말 늦은 아동은 다른 영역에서 뚜렷한 결함이 없고 3세 이전에 표현어휘 발달에서 뚜렷하게 지체를 보이는 아동을 의미한다. 말 늦은 아동은 표현언어뿐만 아니라 수용언어, 빠른연결 능력, 음운 능력 등에서도 어려움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대부분은 학령기 전에 정상 범주의 언어능력을 회복한다. 하지만 회복하더라도 언어능력이 다소 취약하거나 일부는 지속적인 언어 문제를 겪는다. 말 늦은 아동의 언어 발달에 대한 예측 요인을 파악한다면 아동이 늦게 말이 트일지 지속적인 언어장애의 위험이 있는지를 구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아동의 중재 여부에 대해 적절하게 판단하고 적합한 중재를 조기에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지속적인 언어 및 학습 장애의 위험이 있는 아동과 가족에게 확신과 안도감을 제공하고 가족과 치료사의 불필요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언어 발달과 관련된 내적 요인으로는 언어장애의 가계력, 아동의 수용․표현어휘 크기, 빠른 연결 능력 등이 있으며 외적 요인으로는 가정소득 수준, 부모 교육 수준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지위, 아동에 대한 어머니의 발화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어머니의 발화는 아동의 언어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교육 수준의 영향을 받는다. 최근 많은 연구에서 말 늦은 아동의 표현어휘발달지체와 관련된 지속 또는 회복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려고 하였다. 하지만 연구 결과들 간에 상당한 이견이 있으며 국내 연구는 적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말 늦은 아동의 표현어휘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적 요인(가계력, 빠른우연학습 능력, 외적 요인(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발화)을 살펴보고 어떠한 변인이 5개월 후 아동의 표현어휘 능력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18-31개월 말 늦은 아동과 어머니 31쌍이다. 첫째, 전체 말 늦은 아동을 정상수준도달집단과 정상수준미달집단으로 나누었다. 둘째, 2차 평가(5개월 후) 시 표현어휘 점수의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낮은어휘집단(-1SD 미만)과 높은어휘집단(1SD 이상)으로 나누었다. 정상수준도달집단과 정상수준미달집단 간 1차 평가 시 측정한 내적 및 외적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2차 표현어휘에 따른 높은어휘아동과 낮은어휘아동 간 어휘 능력, 내적 및 외적 요인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맨-휘트니 검증(Mann-Whitney test)을 실시하였다. 각 요인들 간 어떠한 상관이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스피어만 등위상관분석(Spearman's rank correlation) 실시하였다. 1차 평가 시 측정한 내적 및 외적 요인 중에서 어떠한 변인이 2차 평가 시 표현어휘 능력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 요인의 경우 빠른우연학습 능력에서 정상수준도달집단이 정상수준미달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가계력, 어머니의 교육수준, 어머니 발화의 양(MLU-w, TTR, 분당 NDW)에서 두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표현어휘 능력의 두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수용어휘 능력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5개월 후 아동의 표현어휘 발달은 표현어휘 크기, 빠른우연학습 능력과 관련이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두 집단 간 표현어휘 능력의 차이는 1차 평가에서보다 2차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컸다. 즉, 정상수준으로 회복하는 아동과 지속적인 표현어휘지체를 보이는 아동 간 표현어휘 능력의 차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차 표현어휘 능력의 평균을 기준으로 높은어휘집단(1SD 이상), 낮은어휘집단(-1SD 미만)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외적 요인에서 어머니 발화의 평균단어길이(MLU-w)는 낮은어휘집단이 높은어휘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다. 셋째, 전체 말 늦은 아동의 경우 가계력과 아동의 1차 표현어휘 간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초기 수용어휘 능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전체 말 늦은 아동은 1차 수용어휘는 1차 표현어휘, 어머니의 평균단어길이(MLU-w), 2차 수용어휘와 정적 상관이 나타난다. 정상수준으로 회복한 아동의 경우 1차 수용어휘는 2차 수용어휘, 2차 표현어휘와 정적 상관을 보인다. 반면, 정상수준미달집단의 경우 1차 수용어휘는 1차나 2차의 표현어휘와는 상관을 보이지 않으며 1차 표현어휘와 2차 표현어휘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인다. 이를 종합하면 정상수준으로 회복한 아동의 수용어휘는 5개월 후의 표현 어휘와 연관이 있지만 정상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아동의 1차 수용어휘는 1차 및 2차 평가의 표현어휘와 관련이 없었다. 이를 통해 아동이 어릴 때 수용어휘 크기보다는 표현어휘 크기가 중요하다고 조심스럽게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대상자 수가 많아진다면 더 확실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말 늦은 아동의 5개월 후 표현어휘 능력을 가장 잘 예측하는 요인은 어머니의 평균단어길이(MLU-w)로 13.7% 예측하였다. 이는 부모의 평균발화길이(MLU)와 장애 아동의 언어 능력 간 정적 상관을 보였다고 보고하는 선행연구(Sandbank & Yoder, 2016)와 일치한다. 결론적으로 말 늦은 아동의 언어능력, 내적 및 외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정상수준도달집단과 정상수준미달집단 간 내적 요인인 어휘 능력, 빠른우연학습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반면, 외적 요인인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 발화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2차 표현어휘 능력을 기준에 따른 높은어휘집단과 낮은어휘집단의 어머니 발화의 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말 늦은 아동의 간 내적 및 외적 요인 및 어휘 능력의 차이가 이후 아동의 표현어휘 발달에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nal factors(family history of language problems, fast mapping ability) and external factors(socioeconomic status, quantity of mother‘s utterance) that affect the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of late talker and which factor predict the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in late talker after 5 month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 pairs of late talker(1;6-2;7) and mother. The late talker was divided into normal-level reaching group and normal-level unreaching group Also,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lower vocabulary group(blow -1SD) and higher vocabulary group(above 1SD) based on the average of the expression vocabulary scores ability measured five months la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normal-level reaching group than in normal-level unreaching group in quick incidental learning ability and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family history, mother’s education level, mother’s utterance, and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After 5 months, the child’s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can be assumed to be related to the expressive vocabulary size, and the fast mapping ability. Second, 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late talker, we divided them into high vocabulary group(above 1SD) and low vocabulary group (below -1SD) based on the mean of second-measured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The mother’ MLU-w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low vocabulary group than in high vocabulary group. Third, the first-measured receptive vocabulary of the normal-level reaching group is related to the expression vocabulary after 5 months, but the first-measured receptive vocabulary of the late talker is not related to the expressive vocabulary of the first or second. In other words, when the child is young, it can be assumed that the size of the expressive vocabulary is more important than the size of the receptive vocabulary. Fourth, the Mean length of utterance in word(MLU-w) of the mother language predicted 13.7% of the factors that best predict the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after 5 months of late talker.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anguage abilitie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 late talke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vocabulary and fast mapping ability between normal-level reaching group and normal-level unreaching group.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family history, socioeconomic status and mother's utterance. This study has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the vocabulary abilities in late talkers may lead to differences in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