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0 Download: 0

미술치료사와 예술가의 협업에 관한 경험연구

Title
미술치료사와 예술가의 협업에 관한 경험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llaboration of Art Therapists and Artists
Authors
이현정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소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사와 예술가가 협업하여 수행한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두 집단이 경험한 것이 무엇인지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문화예술치유란 예술의 치유적 힘을 빌려 인간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극복하는 행위를 말한다. 문화예술치유는 예술교육과 예술치료가 중첩된 영역으로서 창의적 활동과 더불어 정서적 심리적 안정을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자는 두 영역의 상호작용을 통해 미술치유의 효과를 높이고자 미술치료사와 예술가가 협업하는 미술치유 프로그램을 구상했다. 이어서 두 집단이 경험한 협업의 의미를 밝힘으로써 미술치료와 예술교육이 결합한 미술치유 모델의 잠재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문화예술교육 단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2016년과 2017년에 걸쳐 「타인의 자리」 라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 바 있다. 이 교육프로그램을 미술치료의 관점으로 재해석해 암환자를 대상으로 2017년 10월 한 달 동안 4회의 파일럿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사후 인터뷰를 통해 문화예술교육과 미술치료의 연계성, 암환자의 심리사회적 요구를 확인했다. 이후 미술치료사와 예술가가 협업하는데 있어 서로 간의 변증법적 상승을 이끌 수 있도록 구체적인 결합방식을 구조화하였다. 본 연구의 미술치유 프로그램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주관한 ‘2017년 문화예술치유 기획형 프로그램 시범사업’에 선정되었으며, 본 연구자는 본 미술치유 프로그램의 총괄 및 기획자로서, 그리고 회기 관찰자로서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연구를 위한 문헌고찰은 문화예술치유사업프로그램의 등장배경과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했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치유 활동의 필요성과 미술치료분야의 확장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미술치료와 미술교육을 대조하면서 치료적 미술의 개념이 예술치유의 개념모델과 유사함을 밝혔다. 이는 미술치료사와 예술가의 협업을 바탕으로 한 미술치유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있어서 이론적 구조적 틀을 제공했다. 마지막으로 미술치료사와 타 직종 간의 협업이 이뤄진 국내외의 연구사례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참여자는 총 4명으로 미술치료사 2명, 예술가 2명으로 구성되었다. 논문의 자료는 인터뷰 자료를 중심으로 본 연구자의 관찰일지, 미술치료사의 보고서, 예술가의 활동일지, 회의록, 사진과 회기 녹음자료가 수집되었다. 인터뷰는 반구조적 방식으로 참여자 한 명당 2~3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Giorgi(1985)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사용하였고, 연구의 진실성을 위해 Guba와 Lincoln(1985)의 질적 연구의 평가항목을 따랐다. 연구결과는 프로그램을 수행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술했다. 먼저 두 집단의 협업을 방해하는 요인들을 다루는 ‘협업의 한계’,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나타난 두 집단의 입장과 태도를 분석한 ‘경계와 차이’, 그리고 앞선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두 집단의 차이가 만들어 내는 가능성을 기술한 ‘협업의 가능성’, 프로그램이 끝난 후 협업의 선결과제에 대해 참여자들의 의견을 수렴한 ‘협업의 선결과제’, 총 4가지 항목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후 이 결과들이 제시하는 시사점에 따라 두 집단의 역할과 정체성, 공존과 균형을 중심으로 논의와 제의를 이어갔다. 본 논문은 미술치유분야에 한정되고 연구참여자가 4명에 그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도출된 협업의 의미를 예술치유 전반으로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학제 간 연구가 부족한 국내 예술치료계의 현실에서 본 연구는 협업의 의미와 가능성을 되새기는 기초 자료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논문은 미술치료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발맞춰 더 나은 미술치유의 개념모델을 만드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lies on exploring what the two groups experienced through the cultural arts healing program that was jointly conducted by art therapists and artists. Cultural arts healing is an area where arts education and art therapy find their coincidental meeting point, aiming at attaining psychological stability along with creative activities. The literature review of archives for the present research saw it’s beginning through the capsulization of the previous words’ frameworks in regard to the cultural arts healing program as well as the flow of research itself, pondering through both domestic and foreign cases were this joint collaboration between art therapists and other occupations existed. The latter was the phase that helped us identify the needs for cultural arts healing activities, the potential of expansion the field has in art therapy, as well as the imminent demand for these collaborations with art therapist must happen. Participating test subjects were two art therapists and two artists. Centered around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researcher 's observation journal, art therapist' s report, artist 's activity journal, meeting minutes, photographs and session recordings were collected for use.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of Giorgi (1985) was used for data analysis, whereas qualitative research items of Guba and Lincoln (1985) were applied to measur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The results arrived at four elements, Limitations in collaborative work, Limits and differences, Possibility of collaboration and Preliminaries of the collabo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