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3 Download: 0

영유아기 소아암 환자를 위한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Title
영유아기 소아암 환자를 위한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Art Therapy Program for Paediatric Cancer Patients
Authors
유승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소아암 치료과정을 겪은 환자가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영유아기의 소아암은 신체적 증상으로 인한 어려움과 함께 발달과업 성취, 부모와의 관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쳐 환자로 하여금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을 겪게 한다. 이러한 심리적 어려움은 치료 이후 삶의 적응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소아암 치료과정을 겪은 환자의 미술치료 경험이 일상 적응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사례는 2017년 9월 14일부터 2018년 2월 22일까지 주 1회, 60분간 진행하여 총 18회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생후 3개월 소아암을 진단 받고, 치료과정을 거쳐 일상으로 복귀한 9세 남자 아동이다. 영유아기 소아암 환자의 일상 적응을 위한 미술치료의 목표는 정서 안정, 주도성과 자율성 성취, 긍정적 자아상 구축이며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회기가 구성되었다. 자료 수집은 참여자와 보호자 각각 진행한 면담 및 미술치료 전 회기 녹음 파일과 그것을 전사한 축어록, 작업과정 및 작품 사진, 연구자의 관찰일지와 반응 작업 및 반응 글을 참고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사례연구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의미분석 과정은 전사한 축어록을 반복하여 읽으며 참여자의 유의미한 언어적, 미술적 표현을 정리한 뒤 그 의미를 범주화시켜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는 총 7개의 상위주제와 15개의 하위주제로 분류되었다. 본 미술치료 사례 경험의 범주는 <움츠린 마음으로 시작한 미술치료>, <미술활동을 하며 쉽게 화가 나고 짜증나는 나의 감정을 발견함>, <주도적 미술활동을 통해 점점 자신감을 회복함>, <나에 대한 시각의 변화가 미술 작품에 이미지로 표현됨>, <치료사와 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마음의 공간이 생김>, <나의 소망을 표현할 수 있는 즐거운 시간이 됨>, <스스로 해낼 수 있는 힘이 생김>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기 소아암 환자가 미술치료 과정에서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는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미술 활동을 통해 불안, 두려움과 같은 감정을 표현하고 해소함으로써 정서 안정에 도움을 받았다. 둘째, 참여자는 자신의 욕구를 적극 반영한 주도적인 미술 과정을 통해 통제와 조절을 충분히 경험하며 문제 해결에 대한 자신감과 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셋째, 참여자는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미술 활동을 통해 자기탐색과 이해를 하며 스스로 강점을 발견할 수 있었고, 미술 활동에서의 자신감과 성취 경험을 통해 긍정적 자아상과 미래에 대한 소망을 가질 수 있었다. 넷째, 참여자는 미술치료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상호 협력적 관계를 경험하고 사회적 기술을 습득할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영유아기 소아암 환자는 일상 적응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정서적으로 안정될 수 있었고, 통제와 조절 경험을 통해 자신감과 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미술치료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호 협력적 관계를 배울 수 있었으며, 스스로 강점을 발견하고 긍정적 자아상을 구축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paediatric cancer patients experience through art therapy and what the implications are. Paediatric cancer in childhood makes patients to go through various psychological difficulties as they experience hardships by physical symptoms and by negative effects on developmental task performance and a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psychological difficulty can make negative effect on adaptation of life after the treatment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art therapy of patients who went through the treatment process of paediatric cancer on adaptation to everyday life.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is study conducted total 18 sessions of 60-minute art therapy once a week from Sep 14, 2017 to Feb 22, 2018.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9 year-old boys who were diagnosed with paediatric cancer when they were 3 months old and resumed everyday life through the treatment process. The objectives of art therapy for adaptation to everyday life of paediatric cancer patients are emotional stability, achievement of initiative and autonomy, and establishment of positive self-image, and sessions of art therapy were composed based on these objectives. Data was collected by referring to interviews on participants and guardians, recording of sessions before the art therapy and record of conversation, work procedure and pictures of artwork, and observation log, response task, and response writing of the researcher.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art therapy were investigated by apply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analysis method. Semantic analysis process was of reading a verbatim record repeatedly, arranging significant linguistic and artistic expressions of participants, and analyzed by classifying the meaning.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as classified into total 7 main topics and 15 sub-topics. Categories of the experienced art therapy cases are , , , , , , and . Conclusion for what paediatric patients have experienced during the art therap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stabilized their emotion by expressing and relieving emotions as anxiety and fear through the art activity that helped them to express themselves freely. Secondly, participants were able to improve their confidence and autonomy for solving problems by thoroughly experiencing control and adjustment through the leading art process that actively reflected their desires. Thirdly, participants were able to discover their strengths on their own by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mselves through the art activity where they can exhibit creativity, and were able to have positive self-image and hope for the future through confidence and achievement in art activity. Fourthly, participants experienced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 of receiving and providing help with art therapists through interaction. To sum up, paediatric cancer patients got emotionally stable through the art therapy for them to adapt to daily life, and were able to improve confidence and autonomy through control and adjustment. Also, they were able to learn about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 through interaction with art therapists, and discovered their strengths and established positive self-image on their ow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