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7 Download: 0

시설거주 초기 성인기 지적장애인의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Title
시설거주 초기 성인기 지적장애인의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Art Therapy for a Pers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Early Adult Period of Facilities
Authors
배지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는 시설에 거주하는 초기 성인기 지적장애인이 개인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것과 그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참여자는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 입소된 지적장애 2급의 만 19세 여자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미술치료 실시 전, 약 1주일간 미술치료 참여 희망자를 모집하였으며 사전면담을 실시하여 대상자 선정 후, 2018년 1월 13일부터 2018년 5월 19일까지 주 1~2회, 회기당 70분씩 총 20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참여자가 동의한 미술치료 전 회기 녹음자료를 전사하였고, 참여자의 미술작품 사진이 포함된 임상일지를 포함하여 참고자료를 수집하였다. 지속적인 시설 종사자와의 면담을 진행하여 참여자의 변화 과정에 대한 정보수집과, 미술치료 종결 후 참여자와 1회의 심층면담 및 미술작업을 진행하여 미술치료 경험과 변화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시설거주 성인 초기 지적장애인이 개인미술치료에서 경험한 것과 그 의미에 대한 결론은 <서툴지만 미술로 내 이야기를 시작함>, <성인으로의 전환에서 겪는 감정을 다루고 적응할 수 있게 됨>, <미술 작업이 감정과 정서를 담아줌>, <미술 과정을 통해 내면의 힘을 얻게 됨>, <미술은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는 소중한 공간이 됨>, <함께하는 삶의 소중함을 깨달음>, <미술을 통해 성장하고 성취감을 경험함>의 7개의 상위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거주 초기 성인기 지적장애인이 미술치료에서 경험한 것과 의미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거주 초기 성인기 지적장애인은 미술치료를 통해 성인 전환기에서 겪는 부정적 정서를 안전하게 표출하였다. 둘째, 시설거주 초기 성인기 지적장애인은 미술 치료를 통해서 자기 통제와 자기표현의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셋째, 시설거주 초기 성인기 지적장애인은 미술 치료를 통해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타인과의 긍정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켰다. 넷째, 미술치료는 시설거주 초기 성인기 지적장애인에게 청소년에서 성인으로 전환하는 시기에 새로운 환경에서 적응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를 종합하면 시설거주 초기 성인기 지적장애인은 미술치료에서 부정적 정서를 안전하게 표출하고 자기 통제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자신감 있는 자기표현을 할 수 있었다. 또한, 타인과의 긍정적인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새로운 성인 전환기의 환경에 잘 적응 할 수 있었다. 후속적으로 시설에 거주하는 초기 성인기 지적장애인이 경험하는 혼란과 어려움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자기표현을 통해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perform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and its meanings of a pers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early adult period of facilities through the individual art therapy. The research participant was a 19-year old adult woman with the intellectual disability Class2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efore conducting the art therapy, the applicants for participating in the art therapy were recruited for about a week. After selecting a subject through the pre-interview, from January 13th 2018 to May 19th 2018, total 20 sessions of art therapy were performed for 70 minutes/session and 1-2 times a week. For the data collection, the recorded data of the whole sessions with the participant's consent was transcribed. Including the clinical journal containing the participant's art work photos, the referenc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continuous interview with the person interested in the facilities, the data about the participant's change process was collected. Even after the art therapy ended, an in-depth interview and the art work with the participant was performed for collecting the data about the art therapy experience and changes. Using the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verification of categories. The conclusions of experience and its meanings of the pers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early adult period of facilities through the individual art therapy drew total seven upper-themes such as , , , , , , and , and total 16 sub-themes. Like th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experience and its meanings of the pers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early adult period of facilitie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early adult period of facilities safely expressed the negative emotions in the adult transitional period. Second, the pers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early adult period of facilities learnt the methods of self-regulation and self-expression through the art therapy. Third, the pers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early adult period of facilities increased the understanding of herself and others and also improved the positive communication ability with others through the art therapy. Fourth, the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djustment to the new environment of the pers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early adult period of facilities in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adolescent to adult. In summary, the experience of the perso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early adult period of facilities is as follows. The participant could safely express the negative emotions, show the improvement of self-regulation, and practice the confident self-expression. Also, the participant could have the positive communication with others and fully adjust to the environment of the adult transitional period. It shows that there should be researches that understand the confusion and difficultie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early adult period of facilities, and also support their independent lives through the positive self-expr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