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2 Download: 0

여성영웅소설 교육 연구

Title
여성영웅소설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emale hero novel education: focusing on comparison with male hero novel education
Authors
김태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본 연구는 남성영웅소설 교육과의 비교를 통해 그동안의 여성영웅소설 교육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찾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교육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남성영웅소설과 비교연구를 하는 이유는 세 가지 이다. 첫째, 교육 측면에서 여성영웅소설 유형에 대한 비교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영웅소설로서 매우 유사한 남성영웅소설 교육과 비교한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둘째, 여성영웅소설 교육 연구는 유형을 다루기보다는 개별 작품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이러한 유형의 소설이 갖는 전반적인 교육적 의의를 재검토하기 위해서라도 유형을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셋째, 교과서 내에서 남성영웅소설과 여성영웅소설은 그 수록 작품의 수와 종류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가 교육 내용에 있어서도 일어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연구 대상은 2011년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 고등학교 국어 및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영웅소설 작품을 대상으로 삼았다. 영웅소설이 갖는 교육적 의의로는 무엇보다 신화에서부터 이어지고 있는 우리 문학사의 연속성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둘째, 영웅소설은 인류가 보편적으로 추구해 온 가치나 소망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로는 조선 후기 영웅소설의 경우에는 당시 사회의 여러 가지 모순과 가치의 혼란을 잘 보여준다는 점이다. 여성영웅소설도 이러한 영웅소설의 일반적인 교육적 의의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더해 당대의 성차별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성 고정관념을 깨뜨리는 데에 기여한다는 또 다른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남녀영웅소설이 교과서에 구현된 양상을 서로 비교하였다. 학습활동을 같은 기준에서 비교하기 위해서 교과서 수록 영웅소설의 해당 성취기준을 살펴보고 그 내용에 따라 ‘갈등의 양상’, ‘사회적·문화적·역사적 배경’, ‘서사 갈래의 특징’,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 ‘문학의 수용’, ‘주체적인 평가’, ‘문학의 창작’이라는 내용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먼저 남성영웅소설의 성취기준과 학습활동 양상을 확인하였다. 남성영웅소설은 「홍길동전」이 가장 다양한 성취기준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 학습활동 역시 「홍길동전」이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갈등의 원인은 사회적인 요인에서 찾는 경우가 많았다. 수용 측면은 「홍길동전」, 「유충렬전」, 「소대성전」이 모두 오늘날의 사회와 연결시켜 생각하는 부분이 있었지만 「홍길동전」처럼 학습자와 연결시키는 활동은 다른 두 작품에는 없었다. 창작이나 주체적인 평가 역시 「홍길동전」에만 나타나고 있다. 반면 여성영웅소설에서는 학습활동에서 갈등의 양상을 잘 다루지 않거나 갈등의 원인이 개인적 요인에서 비롯된 것처럼 서술하고 있다. 또 학습자의 수용 측면에서는 「홍길동전」처럼 학습자가 스스로 자신의 경험을 떠올리는 등의 활동에는 이르지 못했다. 이를 통해서 남녀영웅소설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성취기준의 분포로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학습활동에서는 크게 세 가지 차이점이 나타났다. 첫째, 갈등의 양상을 다룰 때, 「홍길동전」 등에서는 그 원인을 사회적인 요인에서 찾고, 이를 학습자들이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지만 「박씨전」에서는 가정에서의 갈등 문제에 대하여 사회적 요인보다는 개인적 요인으로 서술하고 있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오늘날의 문제와 연결시켜 수용하는 데에 있어 「홍길동전」은 길동의 입장이 되어보거나, 길동의 상황에서 생각해보는 활동이 많이 나타났지만 「박씨전」과 「홍계월전」은 사회문제와 연결시키는 데에 그쳤다. 셋째, 창의적으로 재구성하는 활동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다. 「홍길동전」의 경우, 학생들에게 오늘날 문제를 해결할 영웅적 인물로 재구성해보도록 하고 있는 반면 「홍계월전」의 경우 재구성의 예시를 남성인물과의 관계로 보여주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우리가 지향할 여성영웅소설 교육 방향을 제안하고, 학습활동 예시를 제시하였다. 먼저 여성영웅소설 교육에 있어서는 작품 속 내용이 비록 주인공에게 주어진 고난을 개인적으로 극복하는 것이라 할지라도 학습자들에게는 사회적 요인을 짚어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의 경험을 반영할 수 있는 학습활동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창의적으로 재구성할 때 여성영웅소설에서 애정 성취 서사에만 집중하지 말고, 영웅적 활약상 장면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재구성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남성영웅소설 교육에 비해 여성영웅소설 교육에 부족한 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습활동에서 갈등의 양상을 개인적 요인에서 파악하고 있는 점이나 학습자의 경험과 연결시키지 못하는 점, 그리고 재구성 활동이 애정 문제 등에 국한되어 있는 점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만 곧 나올 다른 학년의 2015 교육과정 교과서에서는 이러한 점이 개선될 여지가 있으며, 본고에서는 교과서의 구현 양상을 파악하는 데에 그쳐 실제 학습자가 현장에서 겪는 학습 상황에 대해서는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앞으로 이를 보완하는 많은 연구가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blems of female hero novel education and suggest its desirable orientation in the future through the comparison with male hero novel education. There are three reasons for comparing male hero novel education with female hero novel education. First, there were few studies that compared female hero novels with other types in terms of education. Especially male and female hero novels are very similar as hero novel, there is no study comparing the two types of education in earnest. Second, most researches on female hero novel education, focused on individual novel rather than its type. To review the overal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type of novel, comparative studies seems to be needed. Third, the number and types of male and female hero novels in textbooks are changing. It is necessary to evaluate whether these changes are reflected in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hero novels in middle school textbooks, high school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reflecting the 2011 and 2015-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hero novels, first of all, hero novels allow us to grasp the historical continuity of Korean literature since legendary age. Second, hero novels reveal the general value and desires that people pursue. Third, in the case of the late Chosun Dynasty, hero novels show contradiction of society and confusion of value. Female hero novels also share such educational significance. Futhermore they have additional educational implications to raise a question on the gender discrimination of the day and to break gender stereotypes. This study compares the way in which these female and male hero novels are represented in textbooks. In order to compare learning activities on the same standard, the study examin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hero novels in the textbooks and compared them by the characteristics of 'aspects of conflicts',' ‘social· cultural· historical contexts’, ‘features of narrative strands’, ‘the nature and succession of Korean literature’, 'acceptance contexts', 'autonomous evaluation', and 'creative reorganization of the novel'. First,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activities of male hero novels were checked. For male hero novels, "Hong Gil Dong Jeon" showed the most diverse achievement standards. In terms of learning activities, it was also the most diverse, and the cause of the conflict was mainly interpreted as a social factor. With respect to acceptance, "Hong Gil Dong Jeon", "Yoo Chung Ryul Jeon", and "So Dae Sung Jeon" all had connection with today's society, however, unlike the other two works, only "Hong Gil Dong Jeon" had connection with learners. Creative reorganization and autonomous evaluation also appeared only in "Hong Gil-dong Jeon". On the contrary, for female hero novels, the aspects of conflicts were not well revealed in learning activities and their cause was interpreted as personal factor. In terms of acceptance of learners, it could not reach an activity standard reminding learners of their own experiences, such as "Hong Gil Dong Jeon”.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s of the male and female hero novels is as follows. First, while there was no huge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there were three major differences in learning activities. First, in the aspect of conflict, in the case of "Hong Gil Dong Jeon" its cause was interpreted as a social factor and induced learners to grasp it. On the other hand, for "Park Ssi Jeon" the domestic conflict was described as a personal factor rather than a social factor. Second, in relation to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the activities of "Hong Gil Dong Jeon" mainly promoted learners’ individual thinking in his actual situation from the viewpoint of Gil Dong, whereas those of "Park Ssi Jeon" and "Hong Gyeo Wol Jeon” were limited to the connection to social problems.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reative reorganization activities. In the case of "Hong Gil Dong Jeon", it was recommended to recognize Gil Dong is a hero who can solve today's problems. But in the case of "Hong Gyeo Wol Jeon" reorganization activity was limited to suggest 'the relation with a man' as an example. Based on the analysis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educational directions and the example of learning activities of female hero novels in the future. For the education of female hero novels, even if the contents of the work deal with overcoming individual hardship, it is necessary for learners to point out the social factors. Second, learning activity is needed to connect them with their individual experiences and lives. Finally, in creative reorganization activities, various aspects of female hero novels, such as the heroic adventures, should be emphasized,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achieving-love narratives In this research process,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weakness of female hero novel education compared to male hero novel education. In learning activities understanding the aspects of conflicts were restricted to individual factors and were not well linked to learners’ personal experiences. Moreover, this study revealed shortcomings in the reorganization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several ways to improve those problems. Given that the upcoming textbooks of the 2015-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for other grades are likely to have improvement, this study cannot clarify th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actual learners by simply identifying the representation of current textbooks. It is expected that the limitation can be complemented by future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