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7 Download: 0

매체 문식성 신장을 위한 팟캐스트 제작 수업 사례 연구

Title
매체 문식성 신장을 위한 팟캐스트 제작 수업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odcast Production Education for Improving Media Literacy
Authors
이혜승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순희
Abstract
다매체 시대의 새로운 의사소통 양상은 국어의 표현 방식에도 변화를 수반하여, 과거 매체의 수용자이기만 했던 학습자를 적극적인 수용자에서 나아가 표현하는 생산자가 되게 하는 소통 구조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는 학습자로 하여금 글을 읽고 쓰는 문식성(literacy)을 넘어 매체 문식성(media literacy)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매체 제작 수업 사례를 통해 학습자의 매체 문식성 신장을 위한 실천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국어교육에서 논의되는 매체언어와 매체 텍스트, 매체 문식성의 개념을 알아보았고 매체 제작(생산, 표현) 교육을 통한 매체 문식성 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다매체 시대의 새로운 매체로서 팟캐스트(podcast)가 가지는 표현 방식과 소통 방식을 알아보고 교육 매체로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앞에서 논의한 내용을 토대로 매체 문식성 신장을 위한 팟캐스트 제작 교수·학습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였다. 고등학교 국어Ⅰ의 매체 문식성 관련 성취기준을 검토하고 작문 영역 성취기준을 재구성하여 매체 제작 교수·학습의 학습목표를 수립하였다. 수업 내용의 설계는 매체에 대한 비판적인 이해 단계에서부터 제작 과정의 단계, 제작 후 소통과 성찰의 단계를 거치는 교수·학습 과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제 적용을 위해 지도 대상을 모집하여 15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에 대한 효과 검증으로 연구자의 관찰 기록, 팟캐스트 제작물, 학습자들이 작성한 기록물과 수업 소감, 연구자와의 면담 내용을 분석하는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고, 학습자들에게 시행한 매체 문식성 태도 검사지와 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평가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첫째, 팟캐스트 제작을 통한 매체 문식성 교육은 학습자들에게 매체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과 학습 의욕을 고취시켰으며, 특히 평소에 말하기 자신감이 부족했던 학습자들의 학습 의욕과 자신감 향상에 큰 효과가 있었다. 둘째, 매체를 직접 제작해보는 활동은 학습자들에게 그 자체로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학습 경험이 되어 긍정적인 학습경험이 되었다. 셋째, 팟캐스트 방송의 주요 청취자로 설정한 학급 친구들과의 소통 과정은 학습자들에게 제일 큰 만족 요인이었다. 학습자가 매체를 이해하는 것에서 나아가 매체를 직접 생산해봄으로써 매체 텍스트를 표현할 줄 아는 것은 사회적 소통 능력과 맞닿아 있으며, 이는 국어교육의 목표인 국어 능력의 신장과도 연결된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참여와 협동 학습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매체 제작 수업을 통해 다매체 시대의 문식성 신장 방안을 모색하였고, 아직까지 국어교육 분야에서는 연구가 미미한 팟캐스트라는 디지털 매체로 수업을 시도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기존의 수업 과정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학습 경험을 즐겁게 수행한 가운데, 매체 문식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시간과 공간의 벽을 넘어 언제 어디서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팟캐스트가 다매체 시대의 교사와 학습자들에게 매력적인 교육 매체가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practical ways to improve media literacy through media production education. In this age of multimedia, the state of communication has changed to require learners from hon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to cultivate media literacy.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further develop podcast production education as a practical education method for enhancements in media literacy. In Chapter II, the concept of media language, media text, and media literacy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discussed to value the need of production oriented media literacy education. The discussion is further supported with the feasibility of using podcasts a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medium by delving into delivery and communication methods of podcasts as a new media channel. In chapter III, podcast production education method details were provided on the information discussed in previous chapters. Achievement standards of media liter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reviewed,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goals were established by reorganizing writing composition standards. Lecture contents were constructed in layers of functional literacy, critical literacy, and cultural literacy and displayed contents that fit teaching-learning method. 15 lectures were conducted with targeted audiences to test the application feasibility. In chapter IV, the effectiveness of the research was evaluated by qualitatively analyzing the researcher’s observation reports, podcasts, course evaluations, interviews, and media literacy tests.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first, media literacy education by podcasting motivated learners to study. Especially, it affected greatly their confidence and will for education who were not usually good at speaking. Second, the activities producing media directly became positive and active study experience to learners. Third,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classmates who are main listeners of podcast was the biggest factor which caused learners’ satisfaction. Learning how to express media texts through learner's understanding of media and producing media directly leads to social communication skills, which is associated to improve Korean language skills,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is research, the ways to improve literacy in the multimedia age were studied in the media production classes based on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ve study among learners. So fa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has significance that the digital media, podcast was applied to classe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However, study experience which learners couldn’t experience in previous classes was experienced. New approaches to improve media literacy were taken. Beyond time and space constraints, podcast whenever and wherever education can be realized is expected to be attractive education media for teachers and learners in multi-media er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