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2 Download: 0

한 권 읽기를 통한 현대 중·장편 소설 교육 방안 연구

Title
한 권 읽기를 통한 현대 중·장편 소설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s of Modern medim·Long -length novel by Reading one Book: Focused on 『The Square』, 『Mansejeon』, 『Taepyungchunha』
Authors
표희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medium· long-length novel through ‘one book reading’. There is an educational significance as it enables education for specialists through the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which was newly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the collection of the current middle and long novel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limited to the medium· long-length novel such as 『The Square』, 『Mansejeon』, 『Taepyungchunha』 which are the most popular novel from the 7th to the 2009 revision curriculum.   In chapter Ⅱ, we reviewed how ‘one book reading’is implemented in the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 of 2015, and then summarize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one book reading’ in literature education and novel education. In Chapter Ⅲ, we analyzed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ree novels from the 7th throug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ry textbooks, 『The Square』, 『Mansejeon』, 『Taepyungchunha』.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were examined by the achievement standard and the textbook contents by the curriculum. Analysis of the learning activities was grouped by each aspect and performed for each individual work. 『The Square』 has its limitations in the form of excluding the problem of love as well as grasping the symbolic meaning by concentrating on the problem of searching for the narrow character who is focused on the main character and the problem of division novel and ideology. In the case of 『Manseje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cognition change and structure can’t be grasped correctly according to the limited recording method even though the change of the recognition of the person according to the travel type structure is the main factor of the novel learning. 『Taepyungchunha』 focused on to the style, satire, and humor. But end up with the understanding main character on superficially. In Chapter Ⅳ, we propose the direction of education using read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this purpose, I studied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medium· long-length novel education through reading one book through the selective curriculum of 2015 revised curriculum and devised a learning stage. As a learning stage I proposed 'focused on character understanding activities', 'utilization of intertextuality', 'Experience in creative activities ' and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ng’. This study is meant to understand limitations and problems of current novel education by analyzing the aspect and learning activities of medium· long-length novel from the 7th to the 2009 revision curriculum. Based on this, I can find meaning in the direction of ‘one book reading’ using medium· long-length novel in line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owever,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Although it aimed to present a method of medium· long-length novel education through ‘one book reading’, it was only aimed at presenting direction and method of education focusing on three novels of analysis. I was not able to provide a reading strategy and a teaching strategy that could be applied to all medium· long-length novel. This teaching strategy is not thoroughly verified in the educational field, which requires further corrections and supplements.;본 연구의 목적은 한 권 읽기를 통한 중·장편 소설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되는‘한 학기 한 권 읽기’을 통해 전문을 대상으로 한 교육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현행 중·장편 소설의 발췌 수록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 대상을 7차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가장 많이 수록된 중·장편 소설인 『광장』, 『만세전』, 『태평천하』세 작품으로 한정하였다. Ⅱ장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한 권 읽기 교육이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 살펴본 뒤 문학교육과 소설 교육에서의 한 권 읽기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에 대해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7차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문학 교과서에 실린 『광장』, 『만세전』, 『태평천하』 세 작품의 교육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록 양상은 교육과정 별로 내용 체계(성취 기준)와 교과서 수록 텍스트 현황을 함께 살펴보았다. 학습 활동에 대한 분석은 양상별로 묶어 개별 작품별로 실시하였다. 『광장』은 주인공에 치중된 편협한 인물 탐색의 문제와 분단 소설과 이념의 문제에 치중하여 상징적 의미 파악 또한 사랑의 문제를 제외한 형태로 이뤄지고 있는 한계가 있다. 『만세전』의 경우 여로형 구조에 따른 인물의 인식 변화가 소설 학습의 주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한정된 수록 방식에 따라 제대로 인식 변화와 구조를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태평천하』또한 문체와 풍자와 해학성에 가려 윤 직원 영감의 인물 이해가 평면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Ⅳ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권 읽기를 활용한 교육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2015 개정 교육과정 중 선택교육과정 <문학>을 통해 한 권 읽기를 통한 중·장편 소설 교육의 방향과 유의점을 살펴보고 학습 단계를 고안하였다. 학습 단계는‘인물 중심 작품 이해’, ‘상호텍스트성 기반 작품 이해’, ‘창작 활동의 경험’, ‘타자 이해와 소통’의 순이다. 이후 각 단계에서 가능한 학습 활동의 실제를 제시하되, 앞 장의 작품을 예시로 활용하였다. 본고는 7차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중·장편 소설의 수록 양상과 학습 활동을 분석하여 현행 소설 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을 파악한 데에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발맞춰 중·장편 소설을 활용한 한 권 읽기의 방향을 모색해 본 것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고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갖는다. 한 권 읽기를 통한 중·장편 소설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분석 대상으로 한 세 작품 위주로 교육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쳤다. 모든 중·장편 소설에 적용할 수 있는 읽기 전략과 교육 전략을 제시하는 것까지 나아가지 못했다. ‘한 학기에 한 권 읽기’를 통해 소설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나 현장에서 검증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여러 변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차후 수정·보완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