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0 Download: 0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장애학생의 진로태도, 자기결정력 및 전환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장애학생의 진로태도, 자기결정력 및 전환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with Collaboration-based Instruction Model for Self-Determination on Career Attitude, Self-Determination, and Transition Goal-Attainment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uthors
이현명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진로란 개인이 일생동안 하는 일의 총체를 의미하며, 진로의 발달은 개인의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지는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과정으로 학령기 학생들은 진로교육을 통해 진로의 발달을 경험하게 된다. 진로교육은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진로를 탐색하고 준비하는 과정으로서 정체성 확립과 자아실현에 도움이 되며, 이러한 진로교육은 일반학생뿐만 아니라 장애학생에게도 매우 중요하다. 특히 장애학생을 위한 체계적인 진로교육은 학교 졸업 후 성인기로의 성공적인 전환과 사회적 통합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증진이 성공적인 성인기 전환을 위한 최선의 실제로 간주됨에 따라 최근에는 장애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과정에서 자기결정 증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아울러 진로교육 과정에서의 부모 참여 및 협력이 장애학생의 진로개발과정과 진로결정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에 따라 부모 참여 및 협력의 중요성 또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과 부모 참여 및 협력은 졸업률, 고용, 학령기 이후의 긍정적인 성과와도 연결되기 때문에 진로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고려해야할 요소들이다. 하지만 실제 특수교육 현장에서 이러한 요소들을 포함한 진로교육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장애학생들의 성공적인 성인기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진로교육, 자기결정기술 교수, 부모 참여 및 협력 지원 등의 요소가 포함된 종합적인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함으로써 본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장애학생의 진로태도, 자기결정력 및 전환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3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24명이다. 연구 참여자의 모집은 고등학교 특수학급 현장 교사의 추천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12명의 학생을 실험집단에 우선 배치한 후 그 외 2개의 고등학교에서 실험집단에 배치된 학생의 장애유형, 학년을 고려하여 짝짓기 방법을 통해 12명의 학생을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본 연구의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크게 ‘진로인식’, ‘진로탐색’, ‘진로준비’, ‘부모협력’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매개로 하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실험 장소는 실험집단 학생들이 소속된 고등학교 특수학급이었으며, 실험 기간은 주 1회 60분씩 총 13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진로태도, 자기결정력의 변화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 학생들의 전환목표달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환산점수 및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고등학교 장애학생들은 진로태도의 변화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집단 학생들의 진로태도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진로태도의 하위영역인 계획성, 직업에 대한 태도, 독립성, 자기이해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둘째,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고등학교 장애학생들은 자기결정력의 변화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집단 학생들의 자기결정력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3명의 학생을 제외하고 모두 협력중심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통해 설정한 전환목표를 기대 수준 이상에서 달성하였으며, 실험집단 학생들의 전체 목표달성척도(GAS) 평균점수는 55.88점(SD = 17.08)으로 기대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장애학생에게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진로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이러한 진로교육과정에서 장애학생의 진로태도와 자기결정력을 향상시키고 부모 및 특수교사의 협력을 이끌어내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자기결정 교수프로그램 및 모델을 적용한 한 연구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고려할 때, 다양한 특성을 가진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결정 교수모델을 매개로 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Career’ refers to the total amount of work that individuals do during their lifetime. Career development is continuous process throughout one’s life and students in school age are able to experience career development through career education. Career education is a process of exploring and preparing a career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oneself. This process enables students to establish identity and reach self-realization. Career education is important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particular, systematic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important in terms of having an important effect on successful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hood and social inclusion. Lately, the importance of promoting self-determination and parents’ participation in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emphasized. Promoting self-determina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best practice for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hood and should be taught along with career education program. Parents’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in career educat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and ability for career decision. Collaboration with parents and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have been linked in increased graduation rates, employment, and achievement of positive post-school outcomes. Thus, special education teachers or researchers should consider those elements when they implement career education. However, research on career education including those element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s very limited. Therefore, in order to support successful transi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mprehensive career education program that includes factors such as career education, instructional methods to promote self-determination and parents’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supports. In this respect, the researcher developed and implemented Career Education Program with Collaboration-based Instruction Model for Self-Determination(CIMSD)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with CIMSD on career attitude, self-determination, and transition goal-attainment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4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high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Seoul, province of Gyeonggi-do. The students were recruited through referrals by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rst,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tervention program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n the control group were recruited through a pairing process based on the types of disability, characteristics, grade and gender. Career Education Program with CIMSD included four areas: career awareness, career exploration, career preparation, parents collaboration. CIMSD was used in career education process.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a total of 13 sessions, once a week for sixty minutes. A researcher administrated in all session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with CIMSD, ANCOVA tests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hanges in career attitude, self-determin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lso, conversion score and descriptive statistics is used to analyze the degree of transition goal-attain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degree of career attitud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the career attitude of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control group and also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planning, job attitudes, independence and self-understanding as sub-domain of career attitude than those of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degree of self-determin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i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chieved transition goal set up through CIMSD. That is, 9 students among 12 reached more than expected level of outcome score. 3 students reached less than present level of performance. The overall GAS mean score of transition goa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55.88.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meaningful that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career education program is provided to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program not onl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career attitude, self-determination ability and transition goal-attainment, but also lead the co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However, considering the limitation of career education with self-determination program and mode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reer Education Program with CIMSD needed to be continu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diverse characterist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