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영찬-
dc.contributor.author이슬기-
dc.creator이슬기-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36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36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6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61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175-
dc.description.abstract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alented people with creativity and ability to think are required. However, history subjects can not escape from lectures and injective classes that convey knowledge. However, in history subjects, lecture class is the most efficient way to understand students' unfamiliar concepts and historical context. Here, the amount of learning given in a semester is large, while the number of lessons is also a reason. But the age is changing. It is no longer possible to stay in a level of education that conveys historical knowledge to studen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d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pplying schema theory in history subjects to overcome these problems. A schema is a prior knowledge that humans have accumulated from past experiences. These schemes are useful when we acquire new information. Applying this to the learning theor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if the learners know the concepts related to the new learning contents.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lack of schema related to learning contents, students have difficulty in accepting new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history subjects deal with the facts of the past, and the schemes that the students have are inevitably lacking. Therefore, we intend to provide learning schemes to help learners. Therefore, the propo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form a schema related to learning contents through prior learning, shortening the time to transmit historical knowledge through teachers' explanations, and expanding stu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in classroom instruction It has its purpose. To do this, we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schema theory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schema in history subjects. This confirms the lack of a relevant schema for students in history subjects. Next, prior to presenting specific teaching methods, Korea's education sites are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system, so the priority is given to the current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prepared in this study consists of the pre - learning stage and the main learning stage. The preliminary learning step allows the students to form a schema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through the video provided by the teacher. At the learning stage of the school, teachers were able to explain the lecture and to carry out activities by student - led group. The theme of the study was selected as 'Eui-yeol-dan Group and Korean Patriotic Un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y to overcome the negative movement awareness through the student-centered activities of the students becaus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group name, independence activist, and motivational activities described in the textbooks. In the student participation activity, I made a card news production activit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this study, the research lessons should be concurrently.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end in theoretical review.;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여 사고력과 창의력을 갖춘 인재가 요구되고 있지만 역사과목은 지식을 전달하는 차원의 강의식·주입식 수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역사과목에서는 학습 내용의 특성상 학생들에게 낯선 개념과 역사적 맥락을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강의식 수업이 가장 효율적일 수밖에 없다고 이야기한다. 여기에는 한 학기에 주어진 학습량은 많은 반면 턱없이 부족한 수업 시수도 이유가 된다. 하지만 시대가 변화하고 있다. 더 이상 학생들에게 역사 지식을 전달하는 수준의 교육에서 머무를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역사과목에서 스키마 이론을 적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 하였다. 스키마란 인간이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축적한 사전 지식이다. 이러한 스키마는 우리가 새로운 정보를 습득할 때 유용하게 작용한다. 이를 학습이론에 적용하면 학습자가 새로운 학습 내용을 받아들일 때 그와 관련된 개념 등을 알고 있다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반대로 학습내용과 관련된 스키마가 부족하면 학생들은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즉 역사 과목의 학습 내용은 과거의 사실을 다루고 있기에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스키마가 부족 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학습에 도움이 되는 스키마를 의도적으로 제공하여 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구안한 교수·학습 방안은 사전 학습을 통해 학습 내용과 관련된 스키마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교사의 설명을 통해 역사 지식을 전달하는 시간은 단축시키고, 교실 수업에서 학생 참여형 활동을 확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스키마 이론의 개념과 함께 역사과목에서 스키마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역사과목에서 학생들에게 관련 스키마가 절대적으로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수업방안을 제시하기에 앞서 우리나라 교육현장은 국가교육과정체제를 따르고 있기에 현행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우선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안한 교수·학습 방안은 사전 학습 단계와 본시 학습 단계로 이루어진다. 사전 학습 단계는 교사가 제공하는 영상을 통해 학생들이 학습 내용과 관련된 스키마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시 학습 단계에서는 교사의 강의식 설명과 학생 주도의 모둠별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 주제는 ‘의열단과 한인애국단’을 선정하였다. 본 학습 주제를 선택한 것은 교과서에 나열식으로 서술된 독립 운동 단체명, 독립 운동가, 의거 활동 등으로 인해 학생들로 하여금 부정적인 인식이 많은 독립 운동사 학습을 인물 중심의 학생 참여형 활동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학생 참여형 활동으로는 카드 뉴스 제작 활동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안한 교수·학습 방안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연구 수업이 병행되어야 하지만 본 연구자의 역량의 한계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검토에서 그치는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A. 스키마 이론 4 B. 역사과목에서 스키마의 활용 가능성 5 Ⅲ. 2009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서술 분석 7 A. 2009 개정 교육과정(2012.12 최종수정) 분석 7 B.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서술 분석 10 Ⅳ. 의열단과 한인 애국단 교수학습 방안 개발 16 A. 사전 학습 단계 17 B. 본시 학습 단계 26 Ⅴ. 결론 33 참고문헌 36 부록 38 ABSTRACT 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597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역사교육에서 스키마 이론 적용 수업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등학교 『한국사』 ‘의열단과 한인 애국단’을 중심으로-
dc.format.pageiii, 4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