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0 Download: 0

회복탄력성(Resilience)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실존철학적 고찰

Title
회복탄력성(Resilience)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실존철학적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f Existential Philosophy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Resilience
Authors
김아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경원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회복탄력성의 의미에 대한 실존철학적 고찰과 고찰된 논의를 바탕으로 회복탄력성을 담지할 수 있는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회복탄력성에 대한 기존의 의미를 탐구하기 위하여 회복탄력성 연구가 가장 진전되고 있는 이론으로 발달심리학, 임상심리학, 긍정심리학의 기초 이론 및 연구를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발달심리학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는 회복탄력성의 의미는 발달과업의 수행에서, 상위단계로의 발달 단계 이행의 과정에서 탐색하였고 임상심리학의 관점에서는 병리적 상태와 기능적 모형과 관련하여 회복탄력성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긍정심리학적 측면에서 회복탄력성의 의미는 주관적 안녕감과 외상 후 성장(PTG)연구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회복탄력성의 심리학적 의미를 실존철학과 연계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두 관점에서의 접점으로 논의할 수 있는 다음 3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즉, 실존으로서의 성장, 한계상황으로서의 역경, 자기이해를 통한 본래적 존재로의 회귀라는 주제이다. 이 3가지 주제에 대해 회복탄력성의 심리학적 의미가 실존철학에서는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였다. 이 탐구를 통해 회복탄력성의 외연 확장을 도모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인 바이다. 먼저, ‘실존으로서의 성장’ 주제에 대한 논의는 발달심리학의 성장을 향한 회복탄력성의 의미를 세계-내-존재라는 실존철학적 존재론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발달심리학에서 가정하는 성장에 전제된 개인과 세계의 상호작용은 그 출발점에서 피투성과 기투성의 세계내 존재자라는 실존철학적 관점과 같지만, 발달심리학에서 성장은 인간발달의 기준을 전제하는 측면이 있다고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실존철학적 관점은 인간발달의 기준에 대한 관습적 인식 비판과 성찰을 요구한다. 실존철학적 관점에서 확장된 회복탄력성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회복탄력성의 의미는 자유라는 존재의 특성 속에서 실존을 향해 성장해나가는 원동력이다. 둘째, 회복탄력성에서의 ‘성장’은 한 개인과 세계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열린 형식으로 스스로를 만들어가는 것이지만, 그 의미는 열린 방식으로 찾아져야 한다. 둘째, ‘한계상황으로서의 역경’이라는 주제의 논의는 임상심리학적 관점에 가정된 회복탄력성의 의미 속에는 역경이라는 개념이 가정되어 있어 실존철학의 한계상황 개념과 상황에 다소 유사성을 갖지만 동시에 실존철학적으로 그 개념의 확장이 가능함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 유사성이란 역경과 한계상황을 회피할 대상으로 여기지 않고, 한 인간의 내면의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계기로 상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임상심리학은 역경을 일시적인 현상이며 예측이 가능한 병리적 현상의 유발을 가정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실존철학의 한계상황은 인간 존재의 유한성에 의해 발생하는 예측불가능하며 동시에 지속적인 현상으로 고려한다는 것이다. 이 고찰을 바탕으로 회복탄력성의 발휘를 고려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의미를 확장할 수 있었다. 즉, 임상심리학의 역경이 회복탄력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상황의 맥락을 병리적 현상의 유발과 같은 특정 상황에 한정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인간 삶에서 실존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한계상황이 곧 회복탄력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상황이라는 보다 폭넓은 관점을 제시하는 바이다. 이에 회복탄력성은 인간의 유한성을 체감하는 모든 실존의 순간에, 실존을 향한 내면의 힘을 발휘함으로써 실존적 삶의 주체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그리고 이를 만들어 나갈 용기와 의지로 그 의미를 확장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자기이해를 통한 본래적 존재로의 회귀’라는 주제의 논의는 긍정심리학의 주요 연구 주제인 주관적 안녕감 및 외상 후 성장(PTG)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회복탄력성의 의미와 발휘과정을 탐구하였다. 긍정심리학적 관점이 제시하는 회복탄력성의 발휘과정의 중심에 놓여 있는 ‘자기이해’의 과정과 결과는 실존철학의 개념인 ‘본래적 존재’로 나아가는 과정과 결과로 보완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 회복탄력성 발휘과정이 수반하는 ‘자기이해’의 과정은 스스로에게 물음을 던지는 것을 시작으로 스스로와 삶에 대한 통찰을 동반함으로써 비본래적 존재로부터 본래적 존재로의 회귀로 나아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실존철학적 고찰을 통해 회복탄력성의 자기이해과정에 대한 의미의 외연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긍정심리학의 자기이해의 과정이 외부로부터 구조화된 형식에 의해 현실 긍정을 중시하고 있는 반면, 실존철학은 인간 내면에서 솟아나는 물음 자체에 대한 신뢰를 제시하고 현실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결단이라는 스스로의 분투 과정을 통해 본래적 존재로의 실존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자기이해를 통한 본래적 존재로의 회귀는 회복탄력성의 발휘과정인 자기이해의 과정을 외부에서 제시하는 구조화된 그 어떤 것이 아니라, 인간 내면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지속적이며 끊임없는 성찰을 통해 본래적 존재로 나아가는 부단한 과정으로 의미의 외연을 확대함으로써 회복탄력성의 초점을 인간의 내면의 힘으로 그 의미를 확장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의 의미에 대한 실존철학적 고찰을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 성장 또는 발달의 기준에 대한 성찰, 학습자에 대한 인격의 함양의 관점에서 회복탄력성의 의미에 대한 교육적 적용은 열린 방식으로 찾아져야 할 것이다. 먼저, 기준에 대한 성찰은 교육에서 인간의 삶에 대한 내면적 힘인 회복탄력성의 방향성을 탐색하기 이전에, 삶의 기준에 대한 성찰, 인식의 기준에 대한 성찰로 구체화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탐구한 회복탄력성의 의미에 대한 실존철학적 고찰과 논의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삶에서 회복탄력성을 발휘하기 위해서 학습자가 삶에서 회복탄력성을 발휘하기 위해서 학습자를 어떻게 바라볼 수 있는가에 관련한 문제로 학습자에 대한 인격 함양의 관점에서 회복탄력성의 의미가 무엇인지 탐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에 고전방식으로 논의되는 인격 함양이란 무엇인지를 탐구함으로써 교육에서 회복탄력적인 학습자와 회복탄력적인 행위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회복탄력성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가정과 회복탄력성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기에 연구자의 의도가 심리학 분야의 연구 초점과 목적을 소홀히 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실질적으로 회복탄력성의 심리학적 의미를 실존철학의 의미를 연계하여 논의하기 어렵다는 한계점 또한 존재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회복탄력성에 대한 심리학적 의미를 분석하여 그 의미에 대한 실존철학적 논의를 통해 회복탄력성의 의미에 대한 통합적이고 확대된 관점을 제시하였다. 모든 사람이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나간다는 자유함과 관련하여 회복탄력성의 의미를 실존철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함으로써 교육에서 보다 폭넓은 회복탄력성의 의미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복탄력성에 대한 의미 및 개념 탐구의 이론적 기반은 다양한 영역과 분야에서 회복탄력성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탐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회복탄력성의 의미를 단지 한 개인의 차원에서만 설명할 것이 아니라, 세계의 차원에서 이를 인정하고 존중할 수 있는 문화, 풍토, 규범과 같은 거시적이고 개방된 차원의 맥락 또한 연구의 범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에서 회복탄력성에 대한 관점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 또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후속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육의 맥락에서 학습자의 회복탄력성을 증진할 수 있는가에 대한 폭넓고 깊은 논의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ducation which could consider resilienc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existential philosophy and discussions about the meaning of resilience. The basic theories and researches of developmental psychology, clinical psychology, and positive psychology are reviewed as representative theories of psychology of resilience to explore the current meaning of resilience. Specifically, the meaning of resilience, which could be seen on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al psychology, is searche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task execution and in transition from developmental task to higher stage, and on the viewpoint of clinical psychology, resilience in relation to pathological state and functional model. Finally, the meaning of resilience in the positive psychological aspect is explored centering on subjective well - being and posttraumatic growth (PTG) studies. The subject of the examination of existential philosophy on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resilience is as follows. The concept of resilience is examined through the theme of growth as existence, adversity as a boundary situation, and return to ‘Authentic existence’ through self - understanding. As three themes, this study explores how psychological meaning of resilience could be understood in existential philosoph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meaning of resilience through this inquiry. First, the discussion on the subject of ‘growth as existence’ examines the meaning of resilience toward growth of developmental psychology focusing on ontology of existential philosoph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world presupposed in the assumption of growth in developmental psychology is the same as the existential philosophical point of view. However, in developmental psychology, growth seems to presuppose a standard of human development. In this regard, the perspective of existential philosophy demands the criticism and reflection of the conventional perception of the standard of human development. The meaning of extended resilience on a perspective of existential philosoph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resilience is the driving force for the existence to grow in the characteristics of freedom. Second, 'growth' in resilience is to create oneself in an open form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an individual and the world, as the meaning must be found in an open way. Second, the discussion on the theme subject of ‘the adversity as a boundary situation’ is based on the concept adversity in the meaning of resilience, which is assumed in the viewpoint of clinical psychology. It is similar to the boundary situation concept and situation of existential philosophy, but this study expands this concept from this similarity. This similarity is not considered as an object to avoid adversity and boundary situation, but it is assumed as an opportunity to exert one's inner power. Clinical psychology, however, tends to assume that adversity is a transitory phenomenon and induces predictable pathological phenomena, while the limitations of existential philosophy are considered to be unpredictable and continuous phenomena caused by the finiteness of human existence. Through this review, this study extends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in which resilience of clinical psychology could be exerted to the resilience - resilient situation to all boundary situations that enable existence in human life. Therefore, resilience is to expand the meaning of life to live as a subject of existential life by manifesting inner power toward existence at the moment of all existences that experience the finitude of human being and with the courage and will to make it something to do. Third, the discussion of ‘the return to original existence through self – understanding’ explores the meaning and the process of resilience based on the study of subjective well - being and posttraumatic growth (PTG) which are the main research topics of positive psychology. The process and result of 'self-understanding', which is at the center of the process of demonstration of resilience presented by the positive psychological viewpoint, could be complemented by the process and result leading to the 'authentic existence' which is the concept of existential philosophy. The process of 'self-understanding' accompanied by this process of resilience could be seen as a process of moving from a non-authentic existence to a return to its authentic existence, accompanied by an insight into oneself and life, beginning with asking oneself. This study extends the meaning of the process of self - understanding. While the process of self-understanding of positive psychology attaches importance to reality affirmation by externalized structured form, existential philosophy suggests trust in the question itself emerging from the inside of man, as existential philosophy supposes the point of presenting existence as authentic existence through struggle process. Therefore, the return to the authentic existence through self-understanding is not something structured to present the process of self-understanding, which is the process of resilience, from the outside, but based on the trust in the human being, this study extends the meaning to the constant process of going to the authentic existence.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education based on the study of existential philosophy on the meaning of resilience. The application on education to the meaning of resilience should be sought in an open way in terms of reflection on the criteria of growth or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to learners. First, the reflection on the standard should be embodied in the reflection on the standard of reflection and recognition of the standard of life before exploring the direction of resilience, which is internal strength of human life in education. Second, based on the considerations and discussions of existential philosophy on the meaning of resilience in this study, how learners could look for learners as demonstrate resilience in lif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aning of resilience is to be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raising the learner 's person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ilience in education by exploring what kind of personality cultivation is discussed in classical wa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researcher 's intention neglects the focus and purpose of psychology as critically examine the assumptions of resilience and the meaning of resilience on psychology. In addition, there is also a limit to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discuss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the resilienc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By analyzing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resilience, this study presents an integrated and expanded view of the meaning of resilience through the discussion of perspective of existing philosophy. The re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resil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existential philosophy in relation to the liberty of all people to survive their own lives emphasized the need for a broader sense of resilience in education. Based on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e follow-up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the meaning of resilience and the theoretical basis of conceptual inquiry need to be explored with interest in resilience in various areas and fields. Second, it is necessary not only to explain the meaning of resilience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to set the scope of the macro and open-ended level such as culture, climate and norm that could recognize and respect it at the world level. Third, based on these studies, empirical research on how to apply the viewpoint of resilience in education needs to be done. Based on the study of the meaning of resilience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not only to reach consensus on the concept and meaning of resilience, but also to broad and deep discussion on how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learners in various contexts of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