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경아-
dc.contributor.author이지현-
dc.creator이지현-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31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31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7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78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14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학급 중심 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향후 지속적으로 학교 교육현장에서 학급 중심 미술치료를 활용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급 중심 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급 중심 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학급 중심 미술치료를 독립변인으로,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의 질을 종속 변인으로 하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A초등학교 6학년 전체 2개 학급의 재학생 전원 34명이며 한 학급의 아동 16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의 아동 18명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학급 중심 미술치료를 실시하기에 앞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사전 검사와 또래관계의 질 사전 검사를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여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의 질에 대한 집단 간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학급 중심 미술치료는 실험집단 아동만을 대상으로 미술 교과시간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주당 1~2회, 80분씩 총 12회기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학급 중심 미술치료 종료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자아존중감 척도와 또래관계의 질 척도이다. 자아존중감 척도는 Coopersmith(1967)가 개발한 도구를 바탕으로 Pope, Mchale과 Craighead(1988)의 연구를 참조하여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연구·개발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또래관계의 질 척도는 Furman과 Buhrmester(1985)가 개발한 도구에 대하여 Parker와 Asher(1993)의 연구 및 Ladd, Kochenderfer와 Coleman(1996)의 연구를 근거로 김진경(2002)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 문제의 검증을 위한 자료의 분석은 SPSS for Windows 23.0을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사후검사와 또래관계의 질 사후검사를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여 학급 중심 미술치료 실시 이후 나타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더불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사전·사후검사와 또래관계의 질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대응표본 t-test로 분석하여 학급 중심 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학급 중심 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중심 미술치료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 중심 미술치료를 실시한 집단은 실시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전체 자아존중감 및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인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학급 중심 미술치료는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의 질의 긍정적 요인을 증가시키고 부정적 요인을 감소시켜 또래관계의 질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 중심 미술치료를 실시한 집단은 실시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또래관계의 질의 긍정적 요인인 우의, 상호친밀·공감대, 정서적·사회적 지지, 갈등의 해결, 인기, 또래관계에 대한 만족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또래관계의 질의 부정적 요인인 갈등과 대립, 일방적 주도, 철회·고립, 무시, 또래관계에 대한 불만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위 내용을 종합해 볼 때, 학급 중심 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 체제 내 학급에서 이루어지는 미술치료의 긍정적인 영향을 입증하였으며, 학교 현장에서 학급 아동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미술치료의 활성화의 필요성과 그 가치를 입증한 경험적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rt therapy in the mainstream classroom on elementary students’ self-esteem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so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support the use of art therapy in the mainstream classroom in elementary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how does art therapy in the mainstream classroom affect the self-esteem of elementary students? Second, how does art therapy in the mainstream classroom affect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elementary students?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questions above,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an art therapy in the mainstream classroom and the dependent variables being measured were self-esteem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two mainstream classrooms of sixth grade in an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Korea. In order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wo classes, two classes were examined by the questionnaire scale in pre-test about self-esteem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Two classes for which homogeneity was verified, were composed of an experimental group of 16 students, a control group of 18, and 34 students in total.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12 sessions of art therapy in the mainstream classroom, once or twice a week, for which each session was 80 minutes long. After all the sessions, the two groups were examined by the questionnaire scale in post-test about self-esteem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Data was collected by self-esteem questionnaire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Choi and Jeon (1993). Also, data was collected by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questionnaire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Kim (2002). Both scale tests were done before and after the completion of all the sess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paired samples t-test through SPSS 23.0 ver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providing art therapy in the mainstream classroom to enhance self-esteem, the experimental group indica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self-esteem for all the four factors (global self-esteem, social-peers self-esteem, home-parents self- esteem, school-academics self-estee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self-esteem.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art therapy in the mainstream classroom showed significant development in all the six positive subordinate categories of peer relationships (companionship, intimacy and empathy, emotional support and approval, conflict resolution, popularity, satisfaction in peer relationshi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relationship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was shown in art therapy in the mainstream classroom for all the five negative subordinate categories of peer relationships (conflict and quarreling, dominance, exclusion and isolation, ignoring, dissatisfaction in peer relationship) than the ones from the control group did. Therefore, in above-mentioned researches,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use of the art therapy in mainstream classroom can help to improve self-esteem, and lead to a better qual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er relationships. As with all educational interventions, art therapy is a contemporary approach that should be examined and used in general elementary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effects of art therapy in the mainstream classroom an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support the use of school art therapy in the mainstream classroo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6 1. 자아존중감 6 2. 자아존중감의 하위 영역 7 B.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의 질 9 1. 또래관계의 질 9 2. 또래관계의 질의 구성 요인 11 C. 학급 중심 미술치료 13 1. 학급 중심 미술치료 13 2. 학급 중심 미술치료와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의 질 15 Ⅲ. 연구 방법 18 A. 연구 대상 18 B. 연구 설계 21 C. 연구 도구 21 1. 자아존중감 척도 21 2. 또래관계의 질 척도 22 D. 연구 절차 24 E. 학급 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 25 F. 자료의 분석 30 Ⅳ. 연구 결과 31 A. 자아존중감 척도 사전사후 변화 31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자아존중감 비교 31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자아존중감 변화 32 B. 또래관계의 질 척도 사전사후 변화 36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또래관계의 질 비교 36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또래관계의 질 변화 38 Ⅴ. 결론 및 논의 45 참고문헌 49 부록1. 연구 참여 동의서 60 부록2. 자아존중감 검사지 61 부록3. 또래관계의 질 검사지 63 부록4. 학급 중심 미술치료 회기별 내용 66 부록5. 자기보고식 활동지 88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5701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학급 중심 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art therapy in the mainstream classroom on elementary students’ self-esteem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dc.creator.othernameLee, Jihyun-
dc.format.pagevi, 91 p.-
dc.contributor.examiner오숙환-
dc.contributor.examiner문리학-
dc.contributor.examiner한경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