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애란-
dc.contributor.author정영주-
dc.creator정영주-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28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28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4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40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12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이혼으로 인한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느끼는 중년기 이혼남성의 미술치료 사례연구로 미술치료가 중년기 이혼남성의 자기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자는 3년 전 이혼을 경험한 40세 중년남성으로, 미술치료 기간은 2017년 1월 30일부터 4월 16일까지 주 2회 90분씩 총 22회기에 걸쳐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는 성신자기개념 검사를 이용하여 사전사후 양적 변화를 알아보았고, 그림검사 도구로는 동적 가족화(KFD)와 이야기 그림검사(DAS)를 실시하여 사전사후 변화를 알아보았다. 자료수집은 미술치료 회기를 진행하여 매 회기 녹음 및 전사한 축어록, 수퍼비젼 자료, 연구자의 관찰일지, 대상자의 감정노트, 미술작업 및 작품사진 자료, 사전사후 면담자료 등을 참고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더불어 측정도구를 이용한 양적분석을 혼합하여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자의 자기개념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성신자기개념검사의 구성요소인 자기존중감, 정서안정감, 대인신뢰감 등을 중심으로 결과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개념 중심의 미술치료는 중년기 이혼남성에게 자신을 온전히 인식하고 수용하게 함으로써 낮은 자기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년기 이혼남성은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창의적 미술활동을 통해 자율성과 성취감을 경험하였으며 심리적 갈등과 문제를 해소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가치를 깨닫고 재인식하면서 긍정적 자아상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자기존중감이 향상되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자기개념 중심의 미술치료는 중년기 이혼남성에게 자기실현의 욕구를 자각할 수 있도록 존중하고 배려하는 치료적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내면의 억압된 부정적 정서를 건강하게 표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이를 통해 중년기 이혼남성은 자신이 수용 받는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면서 자신의 욕구를 간접적으로 해소하였고 정서안정감이 향상되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자기개념 중심의 미술치료는 중년기 이혼남성의 자기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으로써 부정적 타인인식에서 벗어나 보다 긍정적 타인인식으로의 변화를 도와줌으로써 대인신뢰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년기 이혼남성은 나와 타인이 조화를 이루며 성장하는 모습을 통해 이상적 자아에 대한 욕구와 타인과의 자연스러운 관계형성을 표현하면서 대인신뢰감이 향상되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해 미술치료 활동이 자신의 억압된 부정적 정서를 건강하게 표출시켜 자신의 욕구를 해소하고 분노에 대한 내적통합이 이루어지게 도와줌으로써 불안한 정서에 안정감을 주었다. 또한, 연구자의 안아주는 환경을 통해 수용 받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식해나가면서 안정적이고 이상적인 타인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미술치료가 중년기 이혼남성의 자기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으며 본 연구가 중년기 이혼남성의 개인미술치료 사례연구로 이혼으로 인한 심리사회적 어려움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하나의 자료가 되어 임상현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This is a case study on art therapy in a middle-aged divorced man who feels psycho-social difficulty due to divorce and its purpose was to determine how art therapy affected self-concept of a middle-aged divorced man. For this purpose, art therapy was provided to a 40-year-old man who had been divorced for three years in a total of 22 sessions―two sessions a week, 90 minutes per session―from January 30 to April 16, 2017. The Sungshin Self-Concept scale was used to determine the quantitative changes after therapy and the Kinetic Family Drawing (KFD) test and the Draw-a-Story (DAS) test were performed to see the changes after therapy. For data collection, records and abbreviated transcripts from each session, supervision data, the researcher's observation journal, the client's emotional writing, art works and work photos, and pre- and post-therapy interview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data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using the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also used to see the changes in self-concept of the client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components of the Sungshin Self-Concept scale: self-esteem, emotional stability, and interpersonal reliability.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art therapy based on self-concept positively affected self-esteem of the middle-aged divorced man, who fully perceived and accepted himself. He experienced autonomy and a sense of achievement through positive, active, and creative art activity, saw his self-image changed positively by realizing and recognizing his values while settling psychological conflicts and solving problems, and saw his self-esteem improved significantly. Second, art therapy based on self-concept provided a therapeutic environment of respect and consideration in which the middle-aged divorced man was allowed to perceive his needs for self-realization and helped him express his repressed negative emotions in a healthy way. This allowed him to perceive that he was accepted, saw his needs satisfied indirectly, and saw his emotional stability improved significantly. Third, art therapy based on self-concept positively affected self-awareness of the middle-aged divorced man, helped him have more positive other-awareness rather than negative one, and affected interpersonal reliability positively. He made growth in a harmony between himself and others, expressed natural relationship establishment with others as well as an ideal ego, and saw his interpersonal reliability improved significantly. On the basis of this conclusion, art therapy activity helped him express his repressed negative emotions in a healthy way, have his needs satisfied, and make internal integration against anger, thus making anxious emotions stable. The researcher's hugging environment provided him with receptive experience, so that he could perceive himself positively and have stable and ideal other-awareness. So art therapy positively affected a middle-aged divorced man's self-concept formation and this case study on personal art therapy in a middle-aged divorced man is expected to give basic data that can be of help in clinical practice for researchers who try to solve psycho-social problems caused by divor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중년기 이혼남성 6 B. 자기개념 10 C. 성인미술치료 14 Ⅲ. 연구방법 17 A. 연구대상 17 B. 연구절차 22 C. 측정도구 23 D. 자료분석 25 E. 미술치료 프로그램 26 Ⅳ. 연구결과 30 A. 자기개념 사전사후 변화 30 B. 그림검사 결과 분석 32 C. 미술치료 회기 내용 및 분석 38 D. 종합분석 79 Ⅴ. 결론 및 제언 86 참고문헌 89 부록1. 연구 참여 동의서 96 부록2. 성신자기개념 척도 97 부록3. 성신자기개념 검사 98 ABSTRACT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981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미술치료가 중년기 이혼남성의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Self-Concept of a Middle-Aged Divorced Man-
dc.creator.othernameJung, Young-ju-
dc.format.pagevii, 104 p.-
dc.contributor.examiner박숙영-
dc.contributor.examiner강애란-
dc.contributor.examiner한경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