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7 Download: 0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와 자아탄력성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Title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와 자아탄력성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emotions and ego-resilience of child from low-income group
Authors
김문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애란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how art therapy affected depression, anxious emotions, and ego-resilience of children in the lower-income bracket; for this purpose, a community education expert sampled children in the lower-income bracket through pre-therapy interview at C Elementary School. The art therapy course was performed in the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for about 10 months from May 18, 2016 to February 22, 2017; it aimed to give emotional stability and improve ego-resilience and was provided in 31 sessions, including pretest and posttest, a session per week, 60 minutes for session. House-Tree-Person (HTP) test was applied to the children in pretest and posttest To examine the changes for the children in the classrooms as well as in the therapy room, their homeroom teachers were interviewed both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and the Korean Child Personality Inventory for Teachers was used to determine the changes. Every therapy session was recorded with the participants' consent and transcribed for data analysis. The transcript, the researcher's activity report, and work photos were used to determine how art therapy affected their emotional changes and ego-resilience. From the art therapy for depression, anxious emotions, and ego-resilience of children in the lower-income bracke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art therapy positively affected depression and anxious emotions of children in the lower-income bracket. The children were neither helpless nor withdrawn any longer but made active participation. It offered a receptive and safe art therapy environment, which made them emotionally stable. Media-using relaxation freed their rigid body and emotions and enabled them to work. Afterward, they were able to disclose themselves naturally and explored their emotions, relieved and purified negative emotions, and became stable in a mature way. Second, art therapy positively affected ego-resilience of children in the lower-income bracket. Although the children had no developmental problem, they failed to make verbal interaction with the researcher and were timid and passive in peer relationships, making no self-expression, in the classrooms. As they established a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the researcher, made self-expression, became concentrated and confidence through art work, and solved problems in the therapy room, they had no fear of establishing a peer relationship any longer but established good relationships in the classrooms as well. Through art therapy, the children controlled their emotions, adapted themselves to the given situation, and explored and adapted themselves to a new environment. They tried to actively express what they wanted to express and were able to try again with confidence despite failure and cope well with the situation. This mediated positive self-perception, which led to positive self-expression, thus forming an inner ego and improving self-esteem. On the basis of this conclusion, personal art therapy stabilized depression and anxious emotions of children in the lower-income bracket and was effective in improving ego-resilience.;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우울과 불안 정서 그리고 자아탄력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C초등학교 내에 지역사회교육전문가를 통해 저소득층 아동을 모집하였으며 사전면담을 통해 선정하였다. 미술치료 과정은 2016년 5월18일부터 2017년 2월22일까지 약 10개월 동안 이뤄졌으며, 초기 단계, 중기 단계, 후기 단계로 구성된다. 미술치료의 목표를 정서적 안정과 자아탄력성 향상으로 설정하고, 주1회 60분씩 사전, 사후 검사를 포함하는 31회기로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 아동에게 사전, 사후검사로 집-사람-나무(HTP)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아동의 치료실외 교실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아동의 담임선생님과 사전, 사후 면담을 하였으며, 한국아동성격검사-교사용을 실시하여 변화를 알아보았다. 저소득층 아동의 우울, 불안정서와 자아탄력성을 위한 미술치료를 진행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우울과 불안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동의 무기력하고 위축행동이 사라지고 적극적으로 임하는 변화를 보였다. 이는 대상아동에게 수용적이고 안전한 미술치료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아동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매체를 이용한 이완으로 아동의 경직된 신체와 정서를 자유롭게 하여 작업에 임할 수 있게 하였다. 이후 아동은 자연스럽게 자기 개방을 할 수 있었으며 자신의 감정을 탐색하고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하고 정화시켜 안정감을 찾는 성숙함을 보였다. 둘째, 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동은 발달상의 문제가 없음에도 연구자와의 언어적인 상호작용이 되지 않았으며 학급에서는 자기표현이 없어 또래들과의 관계에서 소심하고 적극적이지 못하였다. 하지만 미술치료를 통해 연구자와의 치료적 관계를 이루면서 치료실 내에서는 자신의 의사표시를 하고 미술작업을 통해 집중하며 자신감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치료실 밖 학급에서도 또래들과 관계형성의 두려움이 사라지게 되어 원만한 관계형성을 이루게 되었다. 또한, 아동은 미술 작업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상황에 맞게 적응하는 모습을 보이며 새로운 환경에 대해 탐색하고 적응하였다.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것을 적극적으로 시도하였고, 실패해도 다시 만드는 과정에서 아동은 자신감 있는 행동과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보였다. 이는 긍정적인 자기인식을 매개하여 긍정적인 자아를 표현했으며 내면에 자아를 형성함으로써 자존감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해 개인 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우울, 불안 정서를 안정시키고 자아탄력성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