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경아-
dc.contributor.author라은정-
dc.creator라은정-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27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27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8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86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11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가 시각장애청소년의 자기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시각장애 청소년은 소외당할지 모른다는 두려움으로 자신의 감정, 느낌을 표현하지 못하고 포기하거나 소극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미술치료가 시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탐색하였다. 시각장애 청소년의 심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시각장애 청소년의 정의, 원인, 심리적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시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시각장애인의 미술표현과 미술 매체의 치료적 요인, 적용 방법 등을 고찰하였으며, 시각장애 청소년과 미술치료에 대한 사전연구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14세 여학생인 시각장애 청소년으로, 일반중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후천성 시각장애인이다. 2015년 8월 20일부터 2016년 2월 25일까지 미술치료를 총 21회기 진행하였다. 매 회기 녹음하고, 녹취록을 작성했으며, 활동 모습을 관찰 ․ 기록하고, 작품을 촬영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를 회기별로 언어적, 비언어적, 미술적 자기표현으로 분류하고, 자기표현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정서, 인지를 주제별로 연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는 <미술 작품에 드러난 나를 마주하며, 불편한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함>, <가족에 대한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함>, <부정적 감정을 유발하는 대상과 상황을 표현함>, <미술이 자신을 표현하는 새로운 출구가 됨>이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 청소년의 미술치료 사례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미술치료는 미술을 매개로 자신을 표현하고 탐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시각장애 청소년 자신의 생각, 감정, 욕구 등에 대한 자기표현을 촉진했다. 시각장애 청소년은 무의식중에 작품에 표현된 시각장애에 대한 불편한 감정, 외로움, 신체상, 자유롭고 싶은 욕구 등을 인식하고, 자기를 직면하여 솔직한 감정을 표현하였다. 둘째, 미술치료는 미술을 매개로 주변인에 대해 탐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시각장애 청소년의 가족, 친구들에 대한 자기표현을 촉진했다. 시각장애 청소년은 미술치료를 통해 주변인에 대한 생각, 감정 등을 인식하고 적절하게 표현함으로써, 가족, 친구들과 의사소통이 증가하였다. 셋째, 미술치료는 시각장애 청소년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정서적 이완을 도와 자기표현을 촉진했다. 작품 감상과 감정을 다룬 회기 이후에 시각장애 청소년의 미술 표현에 대한 부담감이 감소하고, 감정표현이 다양하게 나왔다. 그리고 점토류, 거품물감 등으로 긴장과 불편한 감정을 해소하였으며, 점토류, 향기 사인펜, 글라스데코, 플레이콘, 점자그림판 등을 활용한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시각장애 청소년은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과 주변 인물에 대한 감정을 인식하고, 언어적 ․ 비언어적 ․ 미술적 자기표현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art therapy affected self-expression by visually-impaired adolescents. As visually-impaired adolescents fail to express their emotions or feelings or make passive behavior for fear of being isolated, a study needs to determine how art therapy affects self-expression by visually-impaired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a case study was applied to exploration. The definition, cause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sually-impaired adolescents as well as their self-expression were reviewed to understand their psychology. Artistic expression by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therapeutic factors and applications of art media were investigated and literature review regarding visually-impaired adolescents and art therapy were performed. A 14-year-old adventitiously visually impaired girl receiving inclusion education at a general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She was provided with art therapy in a total of 21 sessions from August 20, 2015 to February 25, 2016. For data collection, each session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activity was observed and recorded, and works were photographed. The collected data in each session were classified into the areas of verbal, non-verbal, and artistic self-expression and emotions and cognitions commonly found in self-expression were associat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mes. The data analysis in general drew a total of 4 themes: 'recognizing and expressing uncomfortable feelings, encountering myself found in art works,' 'recognizing and expressing feelings about family,' 'expressing objects and situations causing negative emotions,' and 'making art a new means of expressing myself.'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in terms of self-expression by the visually-impaired adolescent: First, art therapy provided an environment in which she could express and explore herself through the medium of art and improved her ability to express her thinking and feelings about herself. The visually-impaired adolescent recognized uncomfortable emotions about visual impairment, loneliness, and a body image, which were unconsciously expressed in the works, faced herself, and expressed her feelings honestly. Second, art therapy provided an environment in which she could express and explore herself through the medium of art and improved her ability to express her thinking and feelings about others. She diversified her expressions of family and friends and increased communication by using the finished works to talk with them. Third, art therapy reduced anxiety, promoted emotional relief, and facilitated self-expression. The visually-impaired adolescent used clay and bubble paints to relieve tension and uncomfortable emotions and used clay, an aromatic felt-tip pen, Glass-deco, Playcon, and a braille drawing board to improve her ability to express. To put these conclusions together, art therapy for self-expression helped the visually-impaired adolescent become aware of her emotions as well as those of others and improve verbal, non-verbal, and artistic self-expr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시각장애 청소년 4 B. 시각장애 청소년과 자기표현 7 C. 시각장애 청소년과 미술치료 9 1. 시각장애인의 미술 표현 9 2. 시각장애인 미술치료에서의 미술 매체 12 3. 시각장애 청소년과 미술치료 17 Ⅲ. 연구방법 20 A. 사례연구 20 B. 연구 참여자 20 C. 연구절차 21 D. 미술치료 22 1. 초기 23 2. 중기 23 3. 후기 24 E. 자료 분석 24 F. 연구 참여자의 윤리적 고려 25 G. 신뢰도와 타당도 25 Ⅳ. 연구결과 27 A. 회기별 분석 27 1. 초기 27 2. 중기 37 3. 후기 60 B. 의미 분석 69 Ⅴ. 결론 및 제언 76 참고문헌 78 부록 1. 미술치료 프로그램 87 부록 2. 미술 매체 90 ABSTRACT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389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시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Self-Expression by a Visually-Impaired Adolescent-
dc.creator.othernameRa, Eunjeung-
dc.format.pagevii, 98 p.-
dc.contributor.examiner오숙환-
dc.contributor.examiner문리학-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