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0 Download: 0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발표 담화 실제성 분석

Title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발표 담화 실제성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Authenticity of the Discourse of Presentation in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Academic Purpose
Authors
한이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실제 학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 부분들 중 발표하기를 가장 어려워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현재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위해 발간된 교재들에 제시되어 있는 발표 담화에는 실제적인 요소가 어느 정도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그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제 한국인 대학(원)생들의 발표 담화를 분석한 자료에서 나타난 실제적 요소를 학문 목적 교재에 제시된 발표 담화의 것과 비교․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해 밝히고, 이와 관련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학문적 발표 담화와 관련하여 연구를 진행한 선행 연구들에서는 주로 한국인 모어 화자인 대학(원)생들의 발표 담화와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발표 담화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외국인 학습자들의 발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에 대해 살펴보고, 발표하기의 교수 방안에 대해 논의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고, 실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발표 담화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2장에서는 실제 교재에 제시된 발표 담화의 실제성을 분석하기에 앞서 학문적 발표 담화가 갖는 실제적인 요소를 선정하기 위해 학문적 발표의 개념과 특징 및 발표 담화에서 찾아볼 수 있는 특성들을 살펴보면서 교재 분석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발표 담화의 실제성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교재에 제시되는 실제적인 발표 담화의 요건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분석 대상이 되는 교재와 분석 방법을 밝히고, 선행 연구들에서 분석해 놓은 결과들을 토대로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위한 말하기․듣기 교재 5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발표 담화 구조, 발표 담화 표지 및 문법적 응결성, 논리적 응결성을 포함한 발표 담화 응결성에 대한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분석틀을 통해 실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발표 담화에는 실제적인 요소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해 한국인 모어 화자의 발표 담화에서 나타난 실제적인 요소들이 교재에 나타난 발표 담화에서는 어떻게 제시되어 있고,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고에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실제 발표 수행 시 한국인 모어 화자들과 유사한 발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재에 제시된 발표 담화를 보다 실제성 있게 제작하는 것에 있어 도움이 되는 논의를 하고자 하였다.;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it is the most difficult for KAP learners to give a presentation in the actual study of university in Korea. In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academic presentation, most of them compared the presen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ainly Korean speakers and that of foreign students who study at university of Korea. Based on this, they suggest the problems of the presentation of foreign students and the teaching methods of present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the actual factors are appeared in KAP textbooks and to suggest the problems and directions to go.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it’s required to set up an analysis framework of presentation and here are three features: the structure of the discourse of presentation, the discourse marker of presentation, and the cohesion of the discourse of presentation including grammatical cohesion and logical cohesion. Through the above study, we can see how the actual elements of the Korean L1 speakers' presentation are presented and reflected in the presentation discourse in the KAP textbook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nable KAP learners to carry out presentations more similar to those of Korean L1 speakers by reflecting the outcomes of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