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5 Download: 0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응결성과 응집성의 상관관계 분석

Title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응결성과 응집성의 상관관계 분석
Other Titles
Correlation analysis of cohesion and coherence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tudent’s writing
Authors
박혜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hesion and coherence of cohesion in essay writing written by Korean learner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current writing education focusing on cohesion. Wri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ot only less in proportion to other language functions, but also is often given as exercises or tasks in grammar. And the focus is on the accuracy of grammar and vocabulary rather than on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writing, which is due to the view that coherence is expressed based on cohesion. The analysis of Korean text is mostly based on this premise. However, the grammatical connection that appears on the surface of the text does not necessarily form a semantic structure within the text. Therefo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se whether cohesion affects the formation of coherence. For this purpose, cohesion and coherence in essay texts written by Korean learners were analyzed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reveal cohesion and coherence correlation. In chapter Ⅰ is clarifi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cohesion and coherence in the texts of Korean learners.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hesion, coherence, and essay text are discussed. Cohesion can be analyzed through a cohesive tie, which is a pair of elements associated with cohesion as a grammatical dependence on the text surface. The types of cohesive ties include reference, substitution, ellipsis, and conjunction. Coherence is a chain of meanings formed by the meanings of the text, and can be evaluated coherence from a holistic perspective. The essay text is a logical writing for persuasion. The essence of th essay text is literary style like ‘-(이)다’, three level structure of the introduction-main-conclusion and composition of the argument and evidence. In Chapter III consist of research methods for solving research problems. Research procedure,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methods and data analysis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31 korean learners who are more than korean level 5. The topic was sele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satisfaction and economic condition' and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of compliment’. The evaluation standard was set up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essay text and the cohesive tie analysis standard according to korean system. The coherence was evaluated by three teachers with more than two years of Korean teaching experience. In Chapter Ⅳ is devoted to the results of analysis of cohesion and coherence correlation in essay text written by Korean learners. As a result, cohesion and coherence in the essay text written by the Korean learner were not correlated. However, substitution and coherence, a type of cohesive tie, have a low negative correlation. The use of substitution expressions frequently when writing essay texts is rather a detriment to the coherence of the text. Another type of cohesive tie, conjunction and coherence, did not show correlation,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herence and the elaboration, subordinate function of conjunction. The most frequently used subordinate function of conjunction is addition, which would have had no effect on the formation of coherence, since it has the function of linking sentences syntactically but rarely semantically related functions. But the elaboation, explains the above contents in detail, and it seems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coherence because it is based on the semantic relation with the preceding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ohesion does not affect coherence formation, unlike the existing view that cohesion is expressed based on cohesion.;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쓴 논술 텍스트에 나타난 응결성과 응집성의 상관관계를 밝히어 응결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현재의 쓰기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 쓰기는 다른 언어 기능에 비해 그 비중이 적을 뿐만 아니라 문법의 연습 활동이나 과제로 주어지는 경우가 많다. 또 쓰기의 내용이나 구조적 측면보다 문법이나 어휘의 정확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이는 응결성을 토대로 응집성이 발현된다는 견해에서 기인한 것이다. 한국어 텍스트 분석 연구도 이러한 전제를 두고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텍스트 표면에 드러나는 문법적인 연결이 텍스트를 텍스트답게 하는 하나의 요소이나 반드시 텍스트 내의 의미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응결성이 응집성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쓴 논술 텍스트에 나타난 응결성과 응집성을 분석하고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응결성과 응집성의 상관관계를 밝혔다. 제 Ⅰ 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한국어 학습자의 텍스트에 나타난 응결성과 응집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제 Ⅱ 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인 응결성과 응집성, 논술 텍스트의 구조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응결성은 텍스트 표면에 나타난 문법적인 의존 관계로 응결성으로 연관되어 있는 요소들의 쌍인 응결 장치를 통해 분석될 수 있다. 이러한 응결 장치의 유형으로는 지시, 대용, 생략, 접속이 있다. 응집성은 텍스트 내부의 의미가 형성하는 의미의 연쇄망으로 총체적 관점에서 응집성을 평가할 수 있다. 논술 텍스트는 설득을 위한 논리적인 글로 ‘-(이)다’형의 문어체와 서론-본론-결론의 구조, 주장과 근거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제 Ⅲ 장에서는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방법을 고찰하였는데 연구 절차, 연구 참가자, 자료 수집 방법과 자료 분석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은 5급 이상의 한국어 학습자 31명이 쓴 논술 텍스트로 주제는 ‘행복 만족도와 경제적 조건의 관계’와 ‘칭찬이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 중에 선택하게 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체계에 따른 응결 장치 분석 기준과 논술 텍스트의 특성을 반영한 응집성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응집성 평가는 한국어 교육 경력 2년 이상의 교사 3인에 의해 이루어졌다. 제 Ⅳ 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가 쓴 논술 텍스트에 나타난 응결성과 응집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다루었다.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한국어 학습자가 쓴 논술 텍스트에 나타난 응결성과 응집성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런데 응결 장치의 한 유형인 대용과 응집성은 낮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술 텍스트를 쓸 때 대용 표현을 자주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텍스트의 응집성을 저해하는 것이다. 또 응결 장치의 다른 유형인 접속과 응집성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접속의 하위 기능인 상술과 응집성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속의 하위 기능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첨가인데, 첨가는 문법적으로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기능을 하지만 의미적으로 연관 짓는 기능은 거의 하지 않기 때문에 응집성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상술은 전술한 내용을 다시 자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선행하는 내용과의 의미적인 관련성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응집성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어 학습자가 쓴 텍스트에 나타난 응결성과 응집성의 상관분석을 처음 시도한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응결성이 응집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