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현정-
dc.contributor.author전유진-
dc.creator전유진-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23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23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4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44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08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가는 과도기인 청소년 시기, 특히 초기 청소년기인 중학생들의 부모 양육태도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전라북도 소재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중학생 45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부모 양육태도, 관계적 공격성, 거부민감성의 세 가지 영역에 대해 질문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기술통계를 산출하였고 각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부모 양육태도와 거부민감성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부모 양육태도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거부적 양육태도와 과보호 양육태도가 관계적 공격성과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애정적 양육태도는 관계적 공격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즉, 부모 양육태도가 거부적이거나 과보호적일 경우 관계적 공격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고, 부모 양육태도가 애정적일 경우 관계적 공격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부모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거부적 양육태도와 과보호 양육태도가 거부민감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애정적 양육태도는 거부민감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부모 양육태도가 거부적이거나 과보호적일수록 거부민감성이 높아지는 반면에 부모 양육태도가 애정적일수록 거부민감성이 낮아진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셋째, 중다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부모 양육태도와 관계적 공격성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된다. 먼저 부모 양육태도가 거부적이고 냉정할수록 거부민감성이 높아지며, 높아진 거부민감성으로 인해 관계적 공격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모 양육태도가 지나치게 관심적이고 과도한 간섭을 할수록 거부민감성이 높아지며, 높아진 거부민감성으로 인해 관계적 공격성이 높아지는 것 또한 확인 된다. 마지막으로 부모 양육태도가 애정적일수록 거부민감성이 낮아지고 관계적 공격성도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부모 양육태도가 거부적, 과보호적이라고 지각할수록 남녀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수준은 높아지며, 거부민감성 수준이 높을수록 남녀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수준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생의 거부민감성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계적 공격성이 증가하는 시기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과 관계적 공격성이 증가하는 요즘, 공격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만 관계적 공격성만을 다루는 연구는 미비한 가운데 관계적 공격성만을 다루는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관계적 공격성의 외적 요인인 부모 양육태도와 내적 요인인 거부민감성 모두를 함께 고려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편,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전라북도 지역의 중학생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연구 대상을 선정할 필요가 있고, 자기보고식 질문지만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보이려고 하거나 불성실한 답변을 적어내 자료가 편향될 수 있다. 또한, 자녀가 지각하는 무모 양육태도를 변인으로 설정하였는데, 부모와 자녀가 각각 지각하는 양육태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 또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며, 부모 양육태도 또한 부와 모를 나누어서 측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성차 비교를 하지 않았다. 지금까지 제시된 연구들이 여성의 관계적 공격성이 높다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는 반면에 최근 연구들에서는 성차가 뚜렷하지 않다는 결과를 나타내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므로 성차 비교를 하는 것이 더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수가 확연히 많았는데 이는 연구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표집을 할 때 남녀의 비율을 적절하게 맞출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relational agg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adolescent period where lies halfway between childhood to adulthood, i.e. at the beginning of adolescence. Research was conducted into 454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attend a middle school located in Jeollabuk-do Province to examine the research problems an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as measurement tool, with the questions about three areas: parenting attitude, relational aggress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To analyze the data,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scriptive statistic of study participants were calculated to find out general tendency of variables an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variable were calculated.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s well a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and rejection sensitivity on relational aggression. And then, Sobel test was conducted a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1986)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relational aggression. The result of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jecting parenting attitude rejecting parenting attitude and overprotective attitude of the parent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parenting attitud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lational aggression, while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relational aggression. In other words, if the parenting attitude is rejective or overprotective, the relational aggression increase. On the contrary, if the parenting attitude is affectionate, the relational aggression decreases. Second, the rejecting parenting attitude and overprotective attitude of the parent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parenting attitud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jection sensitivity, while the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rejection sensitivity. This result indicates that if the parenting attitude is rejective or overprotective, the rejection sensitivity increases. Whereas the rejection sensitivity decreases if the parenting attitude is affectionate. Third,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mplies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relational aggression. First, if the parenting attitude tends to be rejective and indifferent, the rejection sensitivity increases and the increased rejection sensitivity make relations aggression high. And if the parenting attitude is too interfering with excessive interest, the rejection sensitivity increases and the increased rejection attitude makes relational aggression high. Lastly, the rejection sensitivity as well as relational aggression are inclined to decrease if the parenting attitude is affectionate. In conclusion, the level of relational aggression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s likely to increase if they recognize the parenting attitude is rejective and overprotective. And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relational aggression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s likely to increase if the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is high. Moreover, the rejection sensi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dicates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ring attitude of parent and relational aggres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since it conducted research aimed at middle school students whom they have increased relational aggression with only subject of relational aggression despite of inadequate studies on relational aggression only, though there has been still very much a work on aggression in progress in comparison, as relational aggression has been on the rise these days. In addition, this study takes account of both parenting attitude and rejection sensitivity which are the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of relational aggression respectively. Meanwhile, the limit of this research can be found in the necessity of selection of various study objects sinc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ly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 in Jeollabuk-do Province. Since only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for measurement, the students tended to answer the questions in socially desirable manner or answered wrongly. Thus, there might be potential bias in the data. Furthermore, the parental attitude in which their children recognize was set as variable which must be considered, since thee parenting attitude may vary by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parenting attitude needs to be measured by dividing parents into father and mother. Also, there was no comparison by gender difference conducted in this research. Earlier studies have reported that relational aggression of female is high, whereas the recent researches indicated that there is no clear and distinctive gender difference. Thus, the comparison by gender difference will make work meaningful and significant. Ultimately, this research certainly had more male participants than female participants. Since it could have major influence in research work, it’s obviously needed to adjust the ratio between males and fema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부모 양육태도 6 B. 관계적 공격성 9 C. 거부민감성 12 D. 부모 양육태도, 관계적 공격성, 거부민감성 간의 관계 14 Ⅲ. 연구방법 19 A. 연구대상 19 B. 측정도구 20 1. 부모 양육태도 척도 20 2. 관계적 공격성 척도 21 3. 거부민감성 척도 21 C. 자료 분석 방법 23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4 A. 연구변인의 기술통계 24 B. 연구변인 간의 상관관계 25 C. 부모 양육태도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검증 27 1. 부모 양육태도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모형 27 2. 부모 양육태도의 각 하위 요인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모형 29 Ⅴ. 결론 및 논의 36 A. 요약 및 논의 36 B.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40 참고문헌 43 부록 55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80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거부민감성을 매개로-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on Relational Agg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dc.creator.othernameJeon, Yu Jin-
dc.format.pagevii, 71 p.-
dc.contributor.examiner유성경-
dc.contributor.examiner박철옥-
dc.contributor.examiner박현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