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0 Download: 0

세월호 참사에 대한 기억특성과 사건중심성 및 간접외상 간의 관계

Title
세월호 참사에 대한 기억특성과 사건중심성 및 간접외상 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among Memory Characteristics on the Sewol Ferry Incident and Event Centrality and PTSD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haring
Authors
이윤미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철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memory characteristics on the Sewol Ferry tragic incident, social sharing, event centrality, and PTSD. It also explained how the Sewol Ferry tragic incident was integrated through the personal lives and identities, and identified the psychological factors required to heal the incident beyond staying in a group trauma. To be specific,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at social sharing functioned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y characteristics and event centrality on the Sewol Ferry tragic incident and that social shar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mory characteristics and PTSD as well. The research instruments included memory characteristics (vividness, emotional intensity, negative emotion) and social sharing, event centrality, and PTSD scale. A self-report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data from 459 respondents were used from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s were used to verify th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s.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also used to verify the indirect effects.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main variables, however, i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PTSD or was not significant in part. Notably, although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in variables and PTSD was not significant,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experience, a subscale of PTSD. In particular, social sharing and PTSD showed highly negative correlations. In particular, vivid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intensity, negative emotions, and social sharing.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ividness and PTSD,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vividness and re-experience, a subscale of PTSD,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e emotional intensity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variables; it particularly reveale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re-experience, a subscale of PTSD. Negative emo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variables except PTSD. Re-experience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Social shar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vividness, emotional intensity, negative emotions, event centralit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TSD. Event centralit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TSD as well,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ther variables. Second,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model in which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event centrality, it was revealed that social shar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vidness and event centrality, and entir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nsity and event centrality. Meanwhile, social shar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negative emotions and event centrality. Third,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model in which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PTSD, it was found that social sharing entir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vidness and PTSD, an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nsity and PTSD, while not having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negative emotions and PTSD. In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the more people remembered to have vivid and emotionally intense experiences at that time of the Sewol Ferry tragic incident, the more the process of sharing these memories with other people was promoted, and the possibility that these memories became a kind of turning point of their value systems or identities could be increased.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as people felt the emotionally intense and vivid memories at that time of the Sewol Ferry tragic incident, the process of sharing these memories with other people was promoted, and PTSD was reduced along with the frequency of social sharing. The feelings of negative emotions about the Incident did not promote the sharing with other people and did not act as a factor to increase the event centrality, which implied that the sole influence of negative emotions was insignificant. Substantially, a variable of negative emotions could be regarded as a factor affecting other variables as well as vividness and emotional intensity. This study has an integrative research model to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relationship called ‘social sharing’, not simply considering the Sewol Ferry tragic incident as individuals’ internal psychological processes or symptoms, to suggest the efforts of our community to heal the indirect trauma are needed. Although three years have passed the Sewol Ferry tragic incident, its relevant psychological trauma is still undergoing in the form of re-experience of the members of our society as well as the victims’ families. The meaning of ‘re-experience’ is an attempt to restore the complete state before the injury, which is a repetitive retry to integrate the unimaginable and incomprehensible trauma within the existing scheme. To sum up, this study has significant to investigate how the members of our society have constantly re-experienced the Incident-trauma and adjusted it in the ways of social sharing, and integrated it into their personal narratives and identities. It suggests that the Sewol Ferry tragic incident-problem is associated not only with the bereaved families but also with the collective trauma that our society should solve together.;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기억특성과 사회적 공유, 사건중심성과 PTSD 사이의 관련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세월호 참사가 개인의 삶과 정체성 속에 어떤 과정을 통해 통합되어 가고 있는지 설명하고, 이 참사가 집단 외상에 머물지 않고 치유의 자리로 가기 위해 필요한 심리적 요인을 밝히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세월호 참사에 대한 기억특성과 사건중심성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공유가 매개요인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세월호 참사에 대한 기억특성과 PTSD와의 관계에서도 사회적 공유가 매개하고 있음을 검증하고자 했다. 연구 도구로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기억특성(생생함, 정서 강도, 부정 정서가)과 사회적 공유, 사건중심성, 외상 후 스트레스 진단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 총 45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및 상관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통해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PTSD와는 부적 상관을 보이거나 일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만한 것은 주요 변인과 PTSD와의 관계가 유의미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PTSD의 하위척도인 재경험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는 것이다. 특히 사회적 공유와 PTSD는 높은 수준의 유의미한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생생함은 정서강도와 부정정서가 및 사회적 공유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반면, 생생함과 PTSD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는데, PTSD의 하위척도인 재경험과 생생함과의 관계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정서강도의 경우 모든 변인들과 정적 상관을 보였는데 특히 PTSD의 하위척도인 재경험과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부정정서가는 PTSD를 제외한 모든 변인들과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고, 재경험과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적 공유의 경우 생생함, 정서강도, 부정정서가, 사건중심성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PTSD와는 부적 상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건중심성 역시 PTSD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나머지 변인들과는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속변인이 사건중심성인 모델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공유가 생생함과 사건중심성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강도와 사건중심성 간의 관계는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공유는 부정 정서가와 사건중심성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갖지 않았다. 셋째, 종속변인이 PTSD인 모델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공유는 생생함과 PTSD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강도와 PTSD 간의 관계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정서가와 PTSD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공유는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세월호 참사 당시 생생하고 정서적으로 강렬한 경험을 하였다고 기억할수록, 그 기억을 타인과 공유하는 과정이 촉진되고, 이후 자신의 삶의 판단근거나 전환점이 되거나 정체성에 중요한 의미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세월호 참사 당시 강렬한 정서 체험을 하거나 생생함을 느꼈다고 기억할수록, 그 기억을 타인과 공유하는 과정이 촉진되었고, 사회적 공유를 많이 할수록 PTSD가 줄어들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세월호 참사에 대해 부정정서를 느꼈다는 것만으로는 타인과의 공유가 촉진되지 않고, 사건중심성을 높이는 요인으로도 작용하지는 않았다는 것은 부정정서가의 단독효과가 미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부정정서가는 생생함이나 정서강도와 함께 다른 변인들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개인의 심리내적 과정이나 증상의 문제로만 바라보지 않고‘사회적 공유’라는 사회 관계적 속성에 주목한 통합적 차원의 연구모델로서 간접외상에 대한 우리사회 공동체의 치유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그 치유의 방법이 개인의 노력을 넘어서‘사회적 공유’라는 사회관계적 방법이 유효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또한 세월호 참사 이후 3년이 지났지만 그로 인한 심리적 외상은 유가족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구성원들도 ‘재경험’이라는 형태로 현재진행형으로 겪고 있음을 밝히었다. 세월호 참사를 우리 사회구성원들이‘재경험’하고 있다는 의미는 상처받기 이전의 온전한 상태로 복원하려는 노력이며, 기존의 도식으로는 이해되지 않고 해석 불가능한 외상을 통합해 내려는 반복적 재시도이다. 종합하자면 본 연구는 우리 사회 구성원들이 세월호 참사를 끊임없이 재경험 하면서 사회적 공유라는 방식으로 조절하고, 자신의 삶의 이야기와 정체성에 중요한 사건으로 통합시켜 온 과정을 규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세월호 참사가 유가족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사회가 함께 풀어가야 할 집단 외상의 문제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