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철옥-
dc.contributor.author박영주-
dc.creator박영주-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20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2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5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55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06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 along mediation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pecially,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perceiving a calling a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mediate between a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A sample of 260 mental health professionals completed self-report surveys that a call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life satisfaction including demographic question, and than 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hypothesized,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mong a call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tes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result revealed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full mediation effect between a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result from this study, it identified the value and limites of research and suggested for future studies.;본 연구는 정신건강전문가의 소명과 기본심리욕구, 삶의 만족도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정신건강전문가 양성과 이들을 위한 상담 및 교육, 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명, 기본심리욕구, 삶의 만족도 세 변인이 서로 상관을 가진다는 가정 하에 높은 소명을 가질수록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기본심리욕구가 소명과 삶의 만족도 변인 사이에서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을 통계적으로 검정하기 위해 남녀 정신건강전문가 260명을 대상으로 소명 척도, 기본심리욕구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및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소명과 기본심리욕구, 삶의 만족도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소명에서 삶의 만족도로 가는 직접경로는 유의 하지 않았고, 소명에서 기본심리욕구를 통해 삶의 만족도로 가는 간접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어, 기본심리욕구가 소명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명이 삶의 만족에 정적으로 가져오는 결과가 소명으로 인한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기본심리욕구의 충족 때문인 것으로 설명되었다. 종합해 보면, 본 연구를 통해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바와 같이 소명과 삶의 만족도의 정적 관계(김소연, 2017; 송미경, 양난미, 이은경, 2016; 김지선, 2015; Duffy, Manuel, Borges & Bott, 2011; Duffy & Sedlacek, 2010; Steger, Pickering, Shing & Dik, 2010; Seligman, 2002), 소명과 기본심리 욕구의 정적 관계(김지선, 2015; 양난미, 이은경, 2012), 기본심리욕구와 삶의 만족도와의 정적 관계(윤성민, 2016; 문은식, 2015; 최주연, 2015; 김지선, 2014; Ryan, 1993)를 확인함으로서 관련 연구를 누적하였다. 또한 기본심리 욕구의 충족이 정신건강전문가의 소명과 삶의 만족도를 완전매개 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명만으로는 안 되며 기본심리 욕구의 충족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개인 및 조직, 사회적 차원에서 개인의 내재동기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도울 때 정신건강전문가의 삶의 질이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증진되고, 보다 효과적으로 내담자를 조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가설 6 Ⅱ. 이론적 배경 7 A. 정신건강전문가 7 1. 정신건강전문가의 개념과 유형 7 B. 삶의 만족도 15 1. 삶의 만족도의 개념 15 C. 소명 18 1. 소명의 개념 18 2. 소명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25 D. 기본심리욕구 28 1. 기본심리욕구의 개념 28 2. 기본심리욕구와 소명,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32 Ⅲ. 연구방법 35 A. 연구대상 35 B. 연구절차 37 C. 측정도구 37 1. 소명 척도 37 2. 삶의 만족도 척도 38 3. 기본심리욕구 척도 39 D. 자료분석 40 Ⅳ. 연구결과 41 A.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치 및 상관분석 결과 41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치 및 변인들 간 상관관계 41 B. 측정모형 검증 42 1. 측정변수의 구성 42 2. 측정모형의 적합도 평가 42 C. 구조모형 검증 46 1. 구조모형의 검증 46 2. 최종모형의 적합도 평가 48 3. 최종모형의 모수추정치 49 4. 매개효과 검증 50 Ⅴ. 결론 및 논의 51 A. 결론 요약 및 해석 51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53 참고문헌 58 부록 1 79 부록 2 81 부록 3 82 부록 4 83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87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정신건강전문가의 소명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between a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 : Mediation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dc.format.pagevi, 84 p.-
dc.contributor.examiner이혜원-
dc.contributor.examiner신태섭-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