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지은-
dc.contributor.author권지연-
dc.creator권지연-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20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2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3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37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05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학업적 실패내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의 중, 고등학생 4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주요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부모 양육태도는 오성심, 이종승(1982)이 개발하고 김인옥(2008)이 수정한 척도를, 학업적 실패내성은 김아영(2002)이 개발하고 오희숙(2002)이 재구성한 척도를, 자아탄력성은 박은희(1997)가 개발한 설문지를 송혜리(2009)가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Cronbach’ 계수를, 각 변인간의 상관을 분석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측정모형을 구성하는 변인들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학업적 실패내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으며, Sobel 검증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재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각각의 양육태도와 학업적 실패내성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부모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애정-적대, 자율-통제, 성취-비성취, 합리-비합리 양육태도 점수가 높으면 학업적 실패내성 점수도 높았다. 즉, 부모 모두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애정, 자율, 성취, 합리)으로 지각하는 자녀일수록 실패상황에 보다 건설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각각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애정-적대, 자율-통제, 성취-비성취, 합리-비합리 양육태도 점수가 높으면 자아탄력성 점수도 높았다. 즉, 부와 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자녀일수록 학업실패와 같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융통성 있게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과 학업적 실패내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감정조절을 잘하고 낙관적인 태도를 가지고 스트레스에 융통성 있게 적응하는 청소년일수록 학업적 실패상황에 보다 건설적인 태도와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녀가 지각한 부모 각각의 양육태도와 학업적 실패내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의 양육태도는 자녀의 자아탄력성을 거쳐서 학업적 실패내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버지 양육태도와 학업적 실패내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완전매개함을 의미한다. 다섯째, 자녀가 지각한 부모 각각의 양육태도와 학업적 실패내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모의 양육태도는 학업적 실패내성에 직접영향을 주는 겻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 양육태도와 학업적 실패내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없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를 아버지와 어머니로 각각 나눠서 분석하였기 때문에, 부모 양육태도와 학업적 실패내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차이를 살펴볼 수 있었다. 그 결과,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자녀의 자아탄력성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과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학업적 실패내성에 매우 강력한 영향력을 갖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자녀양육에서 아버지와 어머니가 담당해야 할 역할과 아버지 양육태도와 어머니 양육태도가 갖는 의미가 각각 다르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의미 있는 연구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부모교육을 할 때, 아버지와 어머니 교육을 분리시킴으로써 앞으로 전문화되고 체계적인 부모교육이 실행되어 학업성취에 대한 과도한 기대와 관심 그리고 실패와 좌절에 대한 스트레스로 인해 그 어느 때보다 힘겨운 시기를 보내고 있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높은 학업적 실패내성과 자아탄력성을 가지고 학교생활을 하기를 제안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412 student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articipated for this study and in the study the three instruments were used; the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de by O Seongsim, Lee Jongseung(1982) and revised Kim Inok(2008), academic failure tolerance made by Kim Ayeong(2002) and reconstructed by O Huisuk(2002) and ego-resilience made by Park Eunhee(1997) and revised by Song Hyeri(2009).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mean and standard deviation, Cronbach'α to test the reliability of each scal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and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variables. In addition, AMOS 23.0 program was used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the Sobel test was used to reverify the mediating effect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higher affective-antagonistic, autonomous-control, achievement-non-achievement, and rational-unreasonable parenting attitude scores were also more likely to have academic failure tolerance scores. This study result means that the more the adolescents perceive positively th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have the ability to cope more constructively with the failure situa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 perceiv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ego-resilience, higher affective-antagonistic, autonomous-control, achievement-non-achievement, and rational-unreasonable parenting style scores were also more likely to have ego-resilience scores. This study result means that the more the adolescents perceive positively th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react positively and flexibly to adaptation in stress situations such as academic failur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the mo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good at controlling emotion and adapt to stress with a more optimistic attitude, the more constructive attitude and reaction in academic failure.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father's parenting attitude effects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through the ego-resilience. In other words, ego-resilience means complete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mother's parenting attitude directly affects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In other words, ego - resilience has no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s parenting attitude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In this study, because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s father and mother, respectively,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As a result, meaningful findings were found: fathers' parenting attitud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ego-resilience of their children and mothers' parenting attitude has a powerful influence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This means that the roles that father and the mother have in taking care of the child and the meanings of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mothers' parenting attitude are differ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by separating father and mother education, specialized and systematic parents education helps the korean students who have a great deal of difficult time due to the excessive expectations, interest i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stress of failure or frustration to improve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ego-resili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부모 양육태도 7 1. 부모 양육태도의 개념 7 2. 부모 양육태도의 유형 9 B. 학업적 실패내성 12 1. 학업적 실패내성의 개념 12 2. 학업적 실패내성의 구성요소 14 C. 자아탄력성 16 1. 자아탄력성의 개념 16 2. 자아탄력성의 구성요소 18 D. 부모 양육태도, 학업적 실패내성,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19 1. 부모 양육태도와 학업적 실패내성과의 관계 19 2. 부모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20 3. 자아탄력성과 학업적 실패내성과의 관계 21 Ⅲ. 연구방법 23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B. 측정도구 24 1. 부모 양육태도 24 2. 학업적 실패내성 27 3. 자아탄력성 28 C. 자료 분석 2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1 A.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1 1. 부모 양육태도, 학업적 실패내성, 자아탄력성의 기술통계 31 2. 부모 양육태도, 학업적 실패내성, 자아탄력성의 상관분석 32 B. 측정모형의 검증 36 C. 구조모형의 검증 39 1. 연구모형의 적합도 분석 39 2. 최종모형 경로계수 40 Ⅴ. 결론 및 논의 42 A.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42 B. 연구의 의의 48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9 참고문헌 51 부록1. 설문지 61 ABSTRACT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88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A study on understanding about-
dc.format.pagevi, 72 p.-
dc.contributor.examiner신태섭-
dc.contributor.examiner박철옥-
dc.contributor.examiner이지은-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