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5 Download: 0

대입전략으로 홈스쿨링을 선택한 고교 자퇴생들의 학습에 대한 인식

Title
대입전략으로 홈스쿨링을 선택한 고교 자퇴생들의 학습에 대한 인식
Other Titles
Homeschooling high school dropout students' perception of learning
Authors
윤의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learning by high school dropouts who selected home schooling as a way to enter college. Students who opted out of college did not drop out of school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maladjustment or family disagreement. Because they have a need for learning and a sense of purpose, they feel dissatisfied with school education and opt out. Thus, recognizing their perceptions of schooling and home schooling, their need for schooling, and their dissatisfaction with schooling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ing.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what motivates high school dropouts to drop out of school and opt for home schooling? What are their expectations for learning? Second, what is the percep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home schooling learning goals and school learning goals? Third, what is the percep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cess of home schooling and the process of schooling? Fourth,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me schooling and learning in school?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out-of-school youth who opted for home schooling after dropping out of high schoo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reason for choosing home schooling after dropping out of high school is to study in a way that they prefer more. They think home schooling is better for them than for school because of the flexibility of time and space. Schools are only preparing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but the process is not efficient and they consider home schooling to be effective. In other words, home schooling was selected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learning. Second, the learning goals they set through school and home schooling are the same because they advance to higher education or acquire similar qualifications.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achieving learning goals in and out of school. In school, learning goals must be as planned, but in home schooling, they determine their own learning goals. At school, the learning goals must be followed exactly as the school has set, but in contrast to home schooling, they decide their own learning goals by themselves. As a result, they are not clearly aware of learning objectives at school. This is because in schools, the goal of learning is usually focused on ranking progress in class or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outside the school, there is a clear goal to be decided by self-determination, such as passing the GED examination or performing well in the SAT. It is similar to the learning goals set in the school but it is characterized by self-determined and planned study. Third, they recognize that there is a noticeable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learning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Because they have to prepare both SAT and school exams at school, they are confused about the need to do two types of learning that a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types of study. According to them, learning for school exam and learning for SAT are different. Learning for the school exam requires a low level of learning methods such as simple memorization, and learning for the SAT requires furthe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However, since learning for the SAT is conducted in the form of lectures, it is difficult to learn effectively considering differences among individuals. On the other hand, they think that the efficiency of learning is higher because they can focus on SAT preparation because they do not need to prepare for school exams outside the school. In particular, they think that the lack of regular assessments such as midterm and final exams is a big advantage of out-of-school learning, because learning for assessment is not a good way to learn knowledge. Studying simple memorization for evaluation preparation is considered wasted because it is not knowledgeable. They also think that the biggest advantage of home schooling is that they do not waste time and effort in preparing for the test. Fourt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me schooling and learning in school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urpose and value of learning itself are not much different from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The purpose of learning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is the same in that it recognizes that learning is to advance to a higher school or to obtain a qualification equivalent to that. However, they think that the purpose of learning at school is not what they intended, and that the purpose of learning outside the school is their own. (2) Students who choose home schooling believe that home schooling is more effective than schooling as a way to achieve their learning goals. They should study for school examinations and performance evaluations within the school, and I think that these studies are often for the level of memorization or evaluation only, so they do not acquire proper knowledge. Also, a good GPA for university admission is only available to a small number of students, and if they are not good at GAP for the first year, they think it is unnecessary to prepare for the school exam. For this reason, studying for a SAT that does not require a GPA is more important, so an out-of-school learning environment where more time and effort can be invested in SAT study is chosen. (3) Studying outside the school is considered to be more autonomous. Autonomy refers to the way of learning, including time and space. Although it is compulsory for students to study in the same way in the time and space set in the school, it causes displeasure, but the study outside the school makes the need for learning more because it can set time and space by oneself. In addition, the unilateral lecture class in the school was considered inappropriate, but because it has different understanding and abilities depending on the student, the learning method that does not consider it is inappropriate. In other words, they consider the advantage of learning outside the school that they can find out the most suitable way for them outside the school, and that they are able to study autonomously because there is no periodic evalu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high school dropouts who opted for home schooling as a strategy to enter college have left their schools for home schooling because they are not aware that the school does not provide appropriate help for their entrance examinations. In particular, the perception that evaluation-oriented school education does not contribute to correct knowledge learning, and that it does not adequately provide SA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low GPA who need to prepare for SAT, can be considered as the main reason for home schooling . The recognition of the meaning of school education as a process of preparing students for entrance examination is an important reflection and reflection for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school education and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It is not new that high school education is influenced by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but it is a big challenge to the meaning, purpose and value of education in the situation of leaving home and schooling for the preparation of effective substitute. The implication is that this study provided empirical evidence that home-schooling ‘out-of-school youths’ can use to look for ways to ‘normalize public education’ through their thoughts on the characteristics of in-school and out-of-school learning. Key words : dropout, home schooling, youth out of school, differences in perception, self-directed learning, out-of-school youths;이 연구의 목적은 대입전략의 방안으로 고등학교를 자퇴한 후 홈스쿨링을 선택한 학교 밖 청소년들의 학습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대입전략으로 자퇴를 선택한 학생들은 학교 내 부적응이나 가정불화 등 외적 요인에 의해 자퇴한 경우와 달리 학습에 대한 뚜렷한 요구와 목적의식을 바탕으로 학교 교육에 대한 모종의 불만족에 의해 학교 밖 교육을 자발적으로 선택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이 학교 안과 밖의 교육이나 학습에 대하여 갖고 있는 인식과 학교 교육에 대한 요구 및 불만족 요인 등을 확인하는 것은 학교 교육의 실태를 점검하고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 자퇴생들이 학교를 자퇴하고 홈스쿨링을 선택하는 동기는 무엇인가? 학습에 대한 이들의 기대는 무엇인가? 둘째, 홈스쿨링에서 기대하는 학습목표와 학교에서 추구되는 학습목표 사이의 차이는 무엇이라고 인식하는가? 셋째, 홈스쿨링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과정과 학교에서의 학습의 과정의 차이는 무엇이라고 인식하는가? 넷째, 홈스쿨링에서 이루어지는 학습과 학교에서의 이루어지는 학습의 일반적 특징의 차이는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 문제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자퇴 후 홈스쿨링을 선택한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이 고교 자퇴 후 홈스쿨링을 선택한 주된 동기는 자신에게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방식으로 공부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공부에 비해 홈스쿨링이 시간과 공간의 자율성을 부여해 준다는 점에서 자신에게 더 맞는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들은 학교 교육은 입시를 위한 준비 과정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입시를 위한 준비 면에서 학교 교육은 자신에게 효율적이지 못하고, 오히려 홈스쿨링이 더 효과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해 준다고 인식하고 있다. 즉 학습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홈스쿨링을 선택하였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이들이 인식한 학교 안과 학교 밖 학습의 목표는 모두 상급학교로의 진학이나 그에 준하는 자격을 얻기 위한 공부를 한다는 측면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학습목표에 대한 의식을 갖게 된 과정은 학교 안과 학교 밖에서 차이가 있다고 보았다. 학교 안에서의 학습목표는 자신이 자율적으로 생각하고 정한다기보다는 이미 학교 안에서 정해진 대로 따라야 하는 것으로 인식한 반면, 홈스쿨링에서는 상대적으로 자신들의 의지와 판단에 의해 학습목표를 정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학교에서의 학습목표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인지하기가 어렵다고 보며, 대체로 진도 나가기나 평가에 의해 순위를 매기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본다. 반면 학교 밖에서는 검정고시 합격이나 수능에서 좋은 성과를 내는 것과 같이 스스로 정한 뚜렷한 목표가 있다고 보며, 비록 추구하는 목적이 유사하더라도 스스로 찾아서 고민한 후에 결정하고 계획해서 공부한다는 것이 학교 밖 학습목표의 특징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이들은 학교 안과 밖에서의 학습의 과정이 두드러진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학교 안에서는 수능과 내신을 동시에 준비해야하기 때문에 공부하는 과정이 이원화 되어 있으며, 이렇게 두 가지 유형의 학습을 병행해야 하므로 학습과정에서 혼란을 느낀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들에 의하면 내신을 위한 학습과 수능을 위한 학습은 다른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내신을 위한 학습이 단순 암기 등의 낮은 수준의 학습방법을 요구하며, 상대적으로 수능을 위한 학습은 내신을 위한 공부 방식보다는 주입식을 덜 활용한다. 다만 수능의 경우에도 학교 안에서는 강의식 수업 형태로 진행되므로 개인의 차이를 고려한 효과적인 학습은 어렵다고 본다. 이에 비해 학교 밖에서는 내신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 수능준비에만 집중하기 때문에 학습의 효율성이 더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중간고사나 기말고사와 같은 정기적인 평가가 없는 것을 학교 밖 학습의 큰 장점으로 꼽았는데, 이들은 평가만을 위한 학습은 지식을 제대로 익힐 수 있는 학습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다. 단순 암기 등을 통한 평가준비 공부는 지식을 머릿속에 남길 수 없다는 점에서 일종의 낭비가 된다고 보며, 따라서 이와 같이 자신의 지식으로 남지 않는 내신 대비 공부에 필요이상의 시간과 노력을 쏟지 않아도 되는 것이 학교 밖 학습과정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넷째, 홈스쿨링에서 이루어지는 학습과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일반적 특징 사이의 차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학습의 목적과 가치 자체는 학교 안과 밖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는 않다. 학습은 상급학교로 진학하거나 그에 준하는 자격을 얻기 위한 것이라고 인식한다는 점에서 학교 안과 밖의 학습의 목적은 모두 같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학교 안에서의 학습목적은 자신이 의도해서 갖게 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반면 학교 밖에서의 학습 목적은 자신이 스스로 갖게 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2) 홈스쿨링을 선택한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목표를 이루기 위한 방안으로서 홈스쿨링이 학교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학교 안에서는 내신평가나 수행평가를 위한 공부를 해야 하는데, 이러한 공부는 단순 암기나 평가만을 위한 과정에 머무는 경우가 많아 제대로 된 지식을 얻지 못한다고 보았다. 또한 수시 입시전형에 필요한 내신 성적은 소수의 학생들에게만 혜택이 돌아간다고 인식하고 있는데, 이미 저학년의 내신 성적이 좋지 않은 경우 내신 준비는 불필요한 공부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들은 자신이 지원할 수 있는 수능 전형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할 수 있는 학교 밖에서의 학습 환경을 선택하게 된다. (3) 학교 안에서보다 학교 밖에서 공부하는 것이 더 자율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자율적이라는 것은 시간과 공간을 포함해서 학습의 방법까지를 지칭하는 것으로, 학교 안에서 정해진 시간과 공간에 같은 방식으로 공부를 해야 하는 것은 강제적인 것이라는 점에서 거부감을 갖고 있는 반면 학교 밖의 공부는 자기 스스로 시간과 공간을 정할 수 있으므로 학습에 대한 욕구를 더 불러일으킨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학교 안의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은 적합하지 않다고 보았는데 학생에 따라 각기 다른 이해력과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지 않은 학습방식은 적절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요컨대 학교 밖에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방식을 찾아 그에 맞추어 공부할 수 있다는 점이 학교 밖 학습의 장점이라고 보고 있으며, 또한 정기적인 평가가 없어 자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다는 점도 학교 밖 학습의 장점으로 인식하고 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입전략으로 홈스쿨링을 선택한 고교 자퇴생들은 학습을 대학입시를 위한 준비 과정으로 인식하는 가운데, 학교가 자신의 입시 준비에 적합한 도움을 개별적으로 제공해 주지 못한다는 인식에 따라 학교를 이탈해 홈스쿨링을 선택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내신 준비를 위한 평가위주 학교 교육이 올바른 지식 학습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수능을 준비해야 하는 내신 성적이 낮은 학생들에게 적절한 수능 준비 교육을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이 홈스쿨링을 선택하게 하는 주요 이유가 된다고 볼 수 있다. 학생들이 학교 교육의 의미를 입시 준비의 과정으로만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은 학교 교육의 발전 방향이나 공교육 내실화 방안을 모색함에 있어서 중요한 반성과 성찰의 과제가 되어야 한다. 고등학교 교육이 대입 제도의 영향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은 전혀 새로울 것이 없는 사실이지만 대입 준비의 효율성을 목적으로 하여 적극적으로 학교를 이탈하여 홈스쿨링을 선택하는 상황은 교육의 의미와 목적 및 가치에 대하여 큰 도전이라고 보아야 한다. 이 연구는 홈스쿨링 ‘학교 밖 청소년’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교 안과 밖의 학습의 제반 특징에 대한 생각들을 확인 ‘공교육 정상화’의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 자료를 제시해 주었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