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5 Download: 0

중학교 초임 교사의 교직 적응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Title
중학교 초임 교사의 교직 적응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Novice English Teachers' Experience on Adapting to a Middle School Working Environment,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Authors
송민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유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pict what novice English teachers experience when adapting to public middle schools in Incheon, and what roles other experienced teachers play in that scene, as well as what ideas mentoring programs can suggest to assist those novice teachers in functioning as well as experienced ones. Novice teachers generally experience the following: First, they feel helpless and often "thrown into" teaching careers without much guidance or assistance in starting their teaching profession. This often leads them to make many mistakes such as skipping administrative procedures or missing deadlines for reports and finding themselves in a position where they have to give students career advice without much information about career paths themselves. Since novice teachers have limited understanding in what they are supposed to be doing, most of the time they feel confused or uncertain, and thus exhausted. Second, when it comes to people who novice teachers ask for help, the head teacher of the same grade is the most accessible and helpful. They also get advice from more expert colleagues through daily formal and informal communications. Without help, novice teachers waste too much time figuring out how administrative systems work since there is no guidance available. In short, novice teachers feel there is no clear guidance on describing their job so they often get help from teachers who are in the same office or close enough to have access directly or indirectly. This is why novice teachers believe that it is important to have their desk in the teachers' main office, and not in a separate department. Third, novice teachers struggle the most in dealing with administrative tasks. This is understandable since they haven't had enough training in performing administrative tasks in pre-service teacher preparation. Novice teachers feel frustrated and isolated when their office is in a separate department based solely on their administrative work. This disconnects them from communicating with their peers who teach the same students and thus are more likely to share ideas about said students and what is happening in their working environment. Interestingly, novice teachers do feel that they need mentors for administrative work, not because administrative work is more important than teaching, but because it is more challenging. Expert teachers express the following ideas about novice teachers' career adaption: First, experienced teachers feel there is no concrete system for them to assist novice teachers. Since all teachers are isolated professionally in the school system, it is hard for expert ones to step up to help novice teachers unless help is specifically requested. Moreover, there is no obvious direction teachers should follow in terms of supporting novice teachers at schools. Rather, schools tend to organize their systems based on how work should be done efficiently without much consideration for individuals. Expert teachers might provide a novice teacher with help once they are given hints by other teachers that the novice teacher is having a hard time in classroom management, for instance. Most cases in which help is given, however, are still limited to those official occasions such as open classes, class conference meetings, etc. Second, experienced teachers believe an induction program is necessary in order to educate novice teachers in how impactful they will be on their students' lives and the gravity of their chosen profession. Teachers with more experience find novice teachers these days are much more equipped with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an before through pre-service teacher preparation. Novice teachers, however, need to more fully consider their commitment to what they do and to who they teach. How much a teacher is committed to their job can affect not only their self-efficacy but also their students. Experienced teachers believe mentoring programs with novice teachers can give them opportunities to highlight this key factor. Third, experienced teachers consider mentoring as a collaborative process, in which even they can learn by working together with novice teachers. Experienced teachers believe the notion of a learning community can work well with all participants committed to the idea of continuous improvement and experimentation. Having fewer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does not necessarily make for a lesser teacher. Likewise, having mor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does not mean a teacher has mastered all aspects of pedagogy. With novice teachers' enthusiasm, passion, and fresh ideas and experienced teachers'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expertise, they can compliment each other to grow professionally.;한국 교사들은 임용되기까지 험난한 과정을 거쳐 교직 현장에 나오게 된다. 높은 경쟁률을 뚫고 학교에 임용된 교사들은 그동안의 훈련 과정에도 불구하고 교직에 ‘던져졌다’라는 느낌을 받으며,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준비가 안 된 느낌을 받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그들이 느끼는 무력감과 좌절감을 단지 개인의 능력 부족으로 기인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예비교사들이 교사로서 필요한 역량을 갖추도록 교육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와 더불어 그들의 역량을 학교에서 발휘할 수 있게 지원해주는 교직 입문 과정 역시 중요하다. 초임 교사들이 예비교사에서 교사로 넘어가는 시기에 간극이 크다고 느낀다. 본 본문은 이 간극의 원인에 대해서 탐구해보고, 그 간극을 채워줄 교직 입문과정에 대한 논의를 통해 초임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 수월하게 적응하여 그들의 역량을 펼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현재 신규 교사 연수와, 저경력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청 차원에서 학교 적응 연수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임 교사들은 그들의 교직 적응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교육 과정이 부재하다고 느낀다. 시·도 교육청 주관의 멘토링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경우에도 그 내용이 수업 지도에 제한되어 초임교사들의 교직 적응 과정에서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교직 입문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실현 가능성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학교조직이 지닌 특성에 주목한다. 교사가 하는 일이 지닌 복잡성, 맥락성, 고립성, 독창성과 느슨하게 결합된 조직으로서의 학교 특성은 초임 교사들의 교직 적응을 어렵게 느끼는 데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경력교사들의 행동 양식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경력교사들은 현재 초임 교사의 교직 적응과정에서 방관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그 원인 역시 학교 조직이 지니는 특성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직 입문과정에 있어 경력교사들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경력교사와의 연계가 중요한 이유는 그들이 초임교사들과 비슷한 교직 적응과정을 겪어왔기에 초임교사가 겪고 있을 문제 상황에 대해 인식하고 있을 것이라 기대하기 때문이다. 또한 경력 교사는 초임 교사와 가장 가까이에서 교육 현장을 공유하며 개별 교사의 특수한 상황에 맞는 최적의 조력자가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교직의 특성이라는 분석틀로 초임교사들의 교직 적응의 경험을 기술하고 그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교직 입문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교사 교직 적응의 실제는 어떠한가? 둘째, 경력교사들은 초임교사 입문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셋째, 교직이 지닌 특성을 고려하여 초임 교사의 입문교육이 보완할 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임 교사 세 명, 경력 교사 세 명, 총 여섯 명의 교사들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초임 교사들의 교직 입문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의 선정 기준으로는 중학교, 영어과목, 인천광역시교육청 소속 교사이다. 자료 수집은 교사와의 심층 면담을 위주로 이루어졌으며, 자료 분석의 틀은 교사가 하는 직무의 복잡성, 맥락성, 고립성, 독창성과 느슨하게 결합된 조직으로서의 학교 특성의 다섯 가지 분석 개념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초임 교사들은 교직 입문 후 발령부터 험난한 과정을 겪으며, 체계적인 교직 입문교육이 없이 교직에 ‘던져지는’ 느낌을 받으며 그 과정에서 때론 좌절하며, 에너지가 소진되는 경험을 하고 있다. 그들은 교직에 적응해 가는데 있어 주로 학년 부장님의 도움을 받으며, 주변의 동료교사들로부터 직·간접적인 도움을 받기도 하고, 스스로 탐구하며 교직에 적응해 나간다. 초임 교사들은 교직적응이 힘든 원인으로 초임 교사의 요구를 파악하지 못한 학교 상황, 낯선 행정업무, 체계적인 멘토링의 부재를 지적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경력 교사들은 초임 교사의 교직 적응에 적극적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 원인으로 도움을 제공할 시스템의 부재, 초임 시기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학교 문화를 지적하였다. 그들은 초임 교사들에게 학생을 바라보는 교사의 태도, 교육철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며, 그들의 경험담을 초임 교사들과 공유하고자 한다. 경력 교사들은 초임교사의 교직 적응과정에 함께 함으로써 그들이 솔선수범하는 태도를 갖추고 훌륭한 조력관계를 이룬다면 멘토와 멘티 모두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초임 교사들은 교사가 하는 직무의 복잡성을 익히기 위하여 여러 선생님들과의 직·간접적 상호작용이 가능한 학년 교무실에서 근무하길 희망한다. 또한, 교육 활동의 상황적인 맥락을 고려한 현장 맞춤형 연수가 필요하다고 느끼며 기존 학교 문화 및 조직의 운영 원리를 파악할 수 있는 있을 때 비로소 독창적인 교육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자신감을 얻을 것이라 기대된다. 그들은 고립된 상황에서 벗어나 문제를 공유할 수 있는 교내 및 교외 교사 공동체를 필요로 하며, 초임교사 교직 입문교육에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유인책을 마련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 분석을 통해 초임 교사의 교직 적응에 경력교사와의 연계를 통한 입문교육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과 함께, 초임 교사들이 겪는 교직 적응의 어려움을 개인적인 문제가 아닌 학교 조직이 지닌 특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