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혜욱-
dc.contributor.author박은지-
dc.creator박은지-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15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15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1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15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021-
dc.description.abstract최근 교육계는 미래사회 인재양성 측면으로 핵심역량에 주목하고, 이를 반영한 핵심역량기반교육과정 시행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이 교육현장에서 발현되기까지는 교육과정 수행자로서 교사의 인식이 중요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차원 핵심역량기반 유아교육과정을 시행하고 있는 대구지역의‘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에 대한 대구지역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에 나타난 핵심역량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핵심역량별 구성요소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2. 핵심역량별 중요도와 교육활동 실행정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의 개선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 실행의 저해요인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2. 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지원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교육청에 소속된 유치원(공립 14곳, 사립 20곳)에 근무하는 교사 2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김위정 외(2014), 이근호 외(2012)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와 관련 선행연구(교육부, 2013; 교육부. 2015; 박은혜 외, 2012)의 내용을 토대로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다중응답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에 나타난 핵심역량 별로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을 역량별로 살펴본 결과, 신체적 역량 증진을 위해서는 기본생활습관형성, 안전한 생활 등이 구성요소로 반영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았다. 지적 역량 증진을 위해서는 자기주도 학습능력, 창조(창의성), 호기심과 같은 단순한 지식이 아닌 지식을 생성할 수 있는 힘으로써 역량의 구성요소에 대한 필요성이 높았다. 정서적 역량 증진을 위해서 긍정, 자신감, 감정조절능력과 같이 개인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구성요소에 대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역량 증진을 위한 요소로는 협동, 배려, 공감, 소통과 같이 타인과의 상호작용하는 구성요소를 중요시하였다. 도덕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구성요소로는 책임, 정직, 성실과 같은 인성 함양과 관련된 구성요소를 중요시 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에 나타난 핵심역량별 중요도와 교육활동 실행 정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핵심역량 중요도에 대한 전체 평균은 4.32(SD=.44)였으며, 교육활동 실행정도의 전체 평균은 3.94(SD=.66)으로 핵심역량 전체에 대한 중요도에 비해 교육활동 실행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역량 별 중요도와 교육활동 실행정도는 정서적 역량, 사회적 역량에 대해서 높은 중요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에 비해 지적 역량은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핵심역량 별 교육활동 실행 정도는 사회적 역량과 도덕적 역량이 높았으며, 지적 역량에 대해서는 낮은 실행정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유치원 교사들은 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중 사회적 역량에 대해서는 높은 중요도와 함께 실행정도를 가지고 있으며, 지적 역량은 중요도와 교육활동 실행정도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있어 저해요인으로 유치원 교사들은 구체적인 핵심역량 증진과 관련된 내용과 방법제시의 부족,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교사 연구시간 부족을 제기하였다. 한편 유치원 교사들은 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국가차원의 지원방안으로는 교육과정과 연계된 교수・학습방법과 평가체제 개발 및 보급을 필요로 하였다. 지역 교육청 차원의 지원방안으로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인적 . 물적 지원과 관련 교원 연수 실시를 필요로 하였다. 교사 전문성 신장 측면의 지원으로는 양질의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및 보급과 교사 간 협력적 연구시간 지원을 필요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유치원 교사들의 핵심역량에 대한 생각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기에 적합한 유아역량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을 실행한 교사들의 의견 및 경험을 들어봄으로써 지역수준 교육과정의 개발의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고 사료된다.;The educational world has recently took note of key competencies in terms of training future talents and are making efforts to implement key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the emergence of key competency-based curricula in the education fiel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s the implementers of curriculum play an important role.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Daegu area about the 'Daegu Happiness Competency Curriculum' which is being implemented in Daegu as a key competency-bas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on a regional level. The research questions develop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perceptions about the key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Daegu Happiness Competency Curriculum? 1-1. What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components of each key competency? 2-2. What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importance and educational activity execution level of each key competency? 2. What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perceptions about improving the Daegu Happiness Competency Curriculum? 2-1. What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perceptions about the impediments to implementing the Daegu Happiness Competency Curriculum? 2-2. What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perceptions about the support for improving Daegu Happiness Competency Curriculum?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219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14 public schools and 20 private schools) affiliated to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research tool used in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e study by Kim et al. (2014) and Lee et al. (2012) as well as contents from related previous studies (Ministry of Education, 2013; Ministry of Education, 2015; Park et al., 2012). Responses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nalyzed based on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examining the teachers’perceptions about the compon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key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Daegu Happiness Competency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components such as ‘basic life habit education’ and ‘safe living education’are perceived as required components for the improvement of physical competency. For the improvement of intellectual competency, there was a high need among the teachers for components such a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eativity and curiosity that work as a strength to generate knowledge instead of simple knowledge. For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competence, there was a high need among the teachers for components such as positivity, self-confid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at will improve personal competency. In terms of components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competency, components involved with interacting with others such as cooperation, consideration, empathy and communication we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terms of components for the improvement of moral competency,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consider highly of components related to cultivating personality such as responsibility, honesty and sincerity. Next, results from examining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importance and educational activity execution level of each key competency reflected in the Daegu Happiness Competency Curriculum showed that the educational activity execution level of the key competency are relatively lower than the overall importance of the key competency since the overall mean score for importance of key competency was 4.32 (SD=.44), while that the overall mean score for educational activity execution level was 3.96 (SD=.66). Examining the importance and educational activity execution level of each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teachers place high importance on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ies and relatively lower importance on intellectual competency. Also,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execution level for social and moral competencies are high while their execution level for intellectual competency is low. Thu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key competencies of the Deagu Happiness Competency Curriculum, the kindergarten teachers place high importance on social competency and frequently execute educational activity related to that competency, whereas they place low importance on intellectual competency and show low execution level for educational activity related to it. Secondly, the impediments to implementing the Daegu Happiness Competency Curriculum noted by the kindergarten teachers were the lack of contents and presentation method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specific key competency and the lack teacher’s research time for reorganizing the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eanwhile,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system related to the curriculum as a national level support plan for the improvement of Daegu Happiness Competency Curriculum. The teachers also called for human and material support as well as relevant teacher training for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s support plans on a regional level from the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terms of support for the enhancement of teacher expertise, the teachers called for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high quality teaching-learning material and cooperative research time support among teach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the perceptions of the teachers in the field about appropriate early childhood competencies by examining the kindergarten teachers’ view on key competencies. Also, this study presents implications for improved development of regional level curricula by taking into account the opinions and experiences of the teachers who have implemented the Daegu Happiness Competency Curriculu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핵심역량 5 1. 핵심역량의 개념 5 2.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 9 3. 유아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 13 4. 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 17 B.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과 교사의 역할 22 Ⅲ. 연구방법 27 A. 연구대상 27 B. 연구도구 28 C. 연구절차 30 D. 자료분석 31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2 A. 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에 나타난 핵심역량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32 1. 핵심역량별 중요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32 2. 핵심역량별 교육활동 실행정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38 B. 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의 개선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39 1. 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 실행의 저해요인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39 2. 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지원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41 Ⅴ. 논의 및 결론 44 A. 논의 44 1. 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에 나타난 핵심역량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44 2. 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의 개선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47 B. 결론 및 제언 51 참고문헌 54 부록 66 ABSTRACT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30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대구행복역량교육과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Daegu Happiness Competency Curriculum-
dc.format.pagev, 80 p.-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