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6 Download: 0

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Title
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play at educational institution
Authors
이소영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욱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가 놀이의 특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상정하였다. 1. 유치원 교사의 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초등학교 교사의 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대구시에 근무하고 있으며 유치원 교사 5명과 초등학교 교사 6명 등 총 11명이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7년 4월 6일부터 2017년 5월 12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들은 개인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자는 면담 시 녹음한 녹음파일과 현장 노트를 중심으로 면담 전사본을 만들었고, 수집된 자료는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들은 기관에서의 놀이가 유치원 일과 어디든 일어날 수 있는 일상적인 성격의 것이며, 놀이는 어떤 결과를 위한 것이 아닌 과정 자체가 의미 있는 활동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놀이는 유아들의 전인발달에 기반이 되고,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학습의 시작점으로 놀이가 기능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놀이를 1-2학년 저학년 아동들에게 놀이란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연결의 고리로서, 초등학교의 생활에 적응하고, 학습에 대해 즐거운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활동이라고 보았다. 이렇듯 초등학교 교사들은 놀이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으나, 여전히 초등학교 교실에서 놀이를 허용하고, 이를 계획-실행-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한편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은 놀이는 사교육에 지친 이 시기 아동들에게 휴식이 될 수 있는 활동이라고 보았다. 또한 학업 성취와 이에 대한 평가를 할 때 초등학교 저학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활동이 바로 놀이라고 인식하였다. 종합해보면, 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해 유치원 교사들은 일과 중 언제 어디서든 일어날 수 있는 일상적인 것이라고 생각한 반면, 초등학교 교사들은 일과에서 놀이가 일어나고 활용하는 것을 낯설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 모두 놀이가 이 시기 아동들에게 꼭 필요한 것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교수·학습 방법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을 확보하고 교사의 놀이에 대한 연수를 지원한다면, 유아들의 유치원 이후 초등학교 적응을 돕고 두 집단의 교사 간 놀이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how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the play at educational institution.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the play in educational institutions? 2.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the play in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 teachers in total including 5 kindergarten teachers and 6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Daegu.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participant teachers from 6th April, 2017 to 12th May, 2017. 154 page of transcripts and 10 page of field notes were collected. The research read and reread the data, and categorized and coded them according to the themes emerged from what the participants sai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play at school as normal routines, process itself, foundation of holistic development and beginning of learning. Secondly, elementary school teacher perceived play as the things for connection of kindergarten, unfamiliar routine, a rest, and a tool of learning. To sum it up,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play at educational institution as normal one that can happen anywhere and anytime in the day. On the Contr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play as unfamiliar which teachers cannot control and expect. However, teachers on the both groups recognized that play is essential for children for childre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concepts that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have on play.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play as a teaching method should be discussed in terms of the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