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1 Download: 0

음악적 개념이 포함된 음악활동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실행과 어려움

Title
음악적 개념이 포함된 음악활동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실행과 어려움
Other Titles
Kindergarten Teachers’Actual Practices and Difficulties in Music Activities with Musical Concepts
Authors
박유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만 4~5세를 담임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음악적 개념이 포함된 음악활동에 대한 실행은 어떠하며, 이에 대한 어려움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음악적 개념이 포함된 음악활동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실행은 어떠한가? 2. 음악적 개념이 포함된 음악활동 실행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에 소재하고 있는 공 ‧ 사립 유치원에서 재직 중인 만 4~5세를 담임하고 있는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7년 2월 11일부터 2017년 3월 15일까지 각 연구참여자와 1회의 반구조적인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내용은 사전에 연구참여자의 동의를 받아 녹음하여 이를 전사하였다. 전사된 면담 내용은 집중적, 반복적 읽기를 통해 주제별로 분류하였으며, 범주 조정과정을 거쳐 최종 범주화 한 후에 각 범주 별로 대표성 있는 사례를 선정하여 이를 분석 및 해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음악활동에서 음악적 개념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유아들에게 음악을 접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을 마련하고 교사 자신의 음악적 능력을 증진하기 위해 나름의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노력을 기반으로 교사들은 음악적 개념이 포함된 음악활동을 자연스러운 일과와 집단활동을 통해 실행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일과 중 전이시간, 귀가지도시간, 놀이시간에 유아들에게 음악적 개념을 지도하거나 음악적 개념 경험의 기회를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집단활동 중 유아에게 음악적 개념을 경험시킬 수 있는 우연한 기회를 활용하거나 음악적 개념이 고려된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해 음악적 개념을 지도하고 있었다. 한편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음악활동을 실행할 때, 음악적 개념을 잘못 사용하여 유아들에게 오개념을 전달하기도 하였고, 한두 가지의 치중된 음악활동을 통해 편중된 음악적 개념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둘째, 음악적 개념이 포함된 음악활동 실행의 어려움은 먼저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가치관 및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음악활동의 궁극적 가치는 즐거움이라는 인식, 음악교육에 대한 비체계적인 인식, 음악교육에 대한 소홀한 책임의식과 같은 교사의 가치관과 인식은 음악적 개념이 포함된 음악활동을 실행하는데 장애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낮은 효능감은 음악적 개념이 포함된 음악활동을 실행하는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음악교과에 대한 비전문성으로 인해 음악활동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확신을 갖지 못하고 있었으며, 교사 본인의 음악적 능력에 대한 자신감 부족에서 비롯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음악적 개념 이해와 이를 음악활동에 연계시키는 방법을 몰라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이와 같은 낮은 교수 효능감의 원인은 교사들이 과거 학교교육에서 접했던 음악교육에 대한 불충분하고 부정적인 경험, 미흡한 예비교사교육과 현직교사연수의 한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교사가 처한 여러 상황들은 음악교육을 실행하는데 어려움의 요인이 되었다. 교사들은 음악적 개념이 포함된 음악활동을 실행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적절한 교사용 도서와 교수 ‧ 학습 자료가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음악교육에 대한 유치원의 무관심, 활동의 결과물과 학습적인 것을 기대하는 학부모로 인해 음악활동 실행에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가르쳐야 할 것이 많아 수업시간이 부족하고 유아를 교육하는 것과 무관한 업무의 과중함 또한 교사들이 질 높은 음악교육을 실행하는데 방해가 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음악교육의 본질과 방향을 제시하는 교사교육을 마련하여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교사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음악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및 지원과, 교사가 처해진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교사교육의 개선과 음악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실제적인 지원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iscover the actual practices of music activities with musical concepts by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4-5 years old children and its accompanied difficulties.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actual practices of music activities with musical concepts? 2. What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difficulties in practice music activities with musical concept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3 teachers who taught 4 ~ 5 years old children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 Each participant had one time of semi-structured interview between February 11, 2017, and March 15, 2017, and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with prior consent. The transcribed content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themes through repeated and focused reading. After modification, the categories were finalized and a representative case was chosen for each category before it is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thought it was necessary to reflect musical concept in music activities and they have been working hard to provide various exposures for the children to experience music as well as to improve their musical abilities in their own ways. Within such effort, the teachers were already implementing music activities including musical concepts through daily routine experience and group activities. The teachers have been teaching musical concepts or providing opportunities to experience musical concepts to the children using various methods during the transition time, commuting time, and playing time. Moreover, the teachers have also been utilizing coincidences to let the children experience musical concepts during group activities and have been teaching musical concepts through diverse music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musical concepts. On the other hand, teachers have also transferred misconceptions to children by using wrong musical concepts during their implementation or they provided biased education by having only one or two concentrated music activities. Second, th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music activities with musical concepts have come from the teachers’ values and perception towards music education. The teachers’ values and perceptions that the ultimate values of music activities are having fun, their unstructured perception towards music education, and feeling less responsibility for music education seem to have been the obstacles for them to implement music activities with musical concepts. In addition, the low efficacy of the teachers towards music education has been also working as a difficulty in implementing music activities with musical concepts. Due to their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on music education, the teachers seemed to lack confidence in implementing music activities and they faced many difficulties in being unsure of their own musical capabilities. They also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 not having the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and not knowing how to connect them to music activities. Such low teaching efficacy seems to be caused by the teachers’ insufficient and negative experiences with music education in their schools, inadequat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and the limitations of in-service teachers training. Along with them, many situations that the teachers are facing have become the reasons for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music education. The teachers do not have sufficient teacher’s manuals and teaching materials appropriate for reference when implementing music activities with musical concepts. They also feel the limits in implementing music activities because of the kindergarten’s lack of interest in music education as well as the parents’ expectation on more of learned results. They don’t have enough time to cover everything they have to teach and they also have other heavy workloads unrelated to teaching the children. All of these have become the reasons for hindering the implementation of high-quality music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needs for providing teacher’s training that proposes the essence and direction of child music education in order to raise recognition of music education, for training and support that help the teachers to implement music education with confidence as well as for a measure to improve the teachers’ current condition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vide the primary material to realistic support measures for improving the teachers’ training and the quality of music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