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5 Download: 0

의도적 표기 변용에 초점을 둔 한글 맞춤법 교육 내용 연구

Title
의도적 표기 변용에 초점을 둔 한글 맞춤법 교육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language spelling educational contents focusing on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Authors
조분경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글 맞춤법 교육 내용으로서 의도적 표기 변용이 갖는 교육적 가치를 확인하고 의도적 표기 변용을 활용한 한글 맞춤법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한글 맞춤법 교육은 한글 맞춤법 규정 자체를 중심 교육 내용으로 하여, 한글 맞춤법 규정에 따른 정확한 표기를 암기하는 지식 중심의 학습으로 이루어져왔다. 이에 따라 한글 맞춤법 규정에 맞지 않는 표기는 모두 올바른 표기로 교정해야 하는 대상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실제 국어 생활에서는 특정한 목적을 갖고 의도적으로 국어 규범에 어긋나게 변형한 표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표기는 정확한 표기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발생한 오류가 아닌, 의도적 변형이기 때문에 단순 교정의 대상으로 접근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비의도적 표기 오류와 의도적 표기 변용은 변별되어야 하며, 의도적 표기 변용은 교정의 대상이 아닌 탐구의 대상으로 볼 것을 제안한다. Ⅱ장 A절에서는 교육 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 한글 맞춤법 교육 현황 검토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한글 맞춤법 교육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현행 한글 맞춤법 교육은 교사 중심 그리고 한글 맞춤법 규정 중심의 지식 학습이 주가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생활 언어 자료가 한글 맞춤법 학습의 탐구 활동의 제재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못했음을 확인하였다. 한글 맞춤법 교육 현황 검토를 통해 의도적 표기 변용이 갖는 교육적 필요성을 재확인한 후, Ⅱ장에서는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개념화된 바 없던 ‘의도적 표기 변용’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교육적 가치를 제시하였다. 위의 논의를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의도적 표기 변용 사례를 분석하여 한글 맞춤법교육 내용으로 활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매체 유형별로 분석 대상을 설정하고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유형과 기능에 초점을 둔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의도적 표기 변용 사례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여 의도적 표기 변용 현상의 실제적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의도적 표기 변용 사례의 매체 유형, 언어학적 특성을 근거로 하여, 표기 변용에 담긴 의도 파악의 단서로서 의도적 표기 변용이 갖는 ‘기능’을 도출해내는 데 초점을 두었다. 분석 결과, 의도적 표기 변용 사례는 단순하게 재미를 추구하거나 편의성을 추구하기보다는 정보적, 표현적 기능을 가진 효과적 소통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의도적 표기 변용을 둘러싼 매체, 유형, 기능 간의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의도적 표기 변용 사례의 매체 유형, 언어학적 특성을 근거로 의도적 표기 변용이 갖는‘기능’을 추리하여, 궁극적으로 의도적 표기 변용에 담긴 의도를 파악하는 하나의 문제 해결 과정으로서 탐구 활동 구성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의도적 표기 변용 사례 분석을 통해 확인한 국어 교육 내용으로서의 가능태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한글 맞춤법 교육 내용으로서 의도적 표기 변용 사례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의도적 표기 변용 사례를 바탕으로 한 교육 내용 선정 방안과 탐구 학습 활동 방안을 제시하였다. 내용 선정 기준으로는 의도적 표기 변용의 유형과 기능 간 관련성이 있는 사례, 배경 자료가 풍부한 사례를 선정하는 기준을 제안하였다. 또한 내용 선정 기준에 따라 선정된 의도적 표기 변용 사례를 한글 맞춤법 교육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탐구 활동의 예시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문법 심화 선택 교육 과정으로 <매체와 언어> 교과가 신설된 것을 토대로, 매체 언어 교육과 연계한 의도적 표기 변용 사례를 활용한 탐구 학습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매체 언어 교육과 연계한 탐구 활동의 가능성을 살펴본 후에는 의도적 표기 변용을 활용한 탐구 활동의 사례를 토대로 의도적 표기 변용 사례를 활용한 한글 맞춤법 교육의 탐구 학습 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의도적 표기 변용을 활용한 한글 맞춤법 교육의 실제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지 못하였다는 점을 밝힌다. 또한 제한적인 의도적 표기 변용의 사례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기에 본고의 분석 결과를 의도적 표기 변용 현상으로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의도적 표기 변용은 앞으로도 활발하게 나타날 언어 현상이기 때문에, 국어 교육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이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기를 바란다. 이 연구를 통해 국어 교육에서 의도적 표기 변용이 가치 있는 탐구 학습의 대상으로 조명되기를 바란다. 또한 학습자에게도 흥미로운 한글 맞춤법 교육 내용으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실제 문법 교육 현장에서 문법 현상에 대한 비판적 수용 능력을 길러 줄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한글 맞춤법 교육으로 나아가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의도적 표기 변용, 표기 변용, 의도적 변용, 문법 교육, 한글 맞춤법 교육, 표기 교육, 한글 맞춤법, 한글 맞춤법 교육 내용 연구, 국어 규범 교육.;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ducational values of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as an educational content for Korean language (Hangul) spelling and to explore the spelling education teaching method using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Until now, Hangul spelling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with knowledge-based learning in which students should memorize correct notation confirming to Hangul spelling regulations per se. Therefore, all notations not satisfying Hangul spelling regulations have been recognized to be revised by correct notation. Given that notation sometimes can be deliberately transformed for a specific objective against usual Korean language norms in actual daily Korean usage, however, it is not appropriate to regard such notation as an object of mere correction; it is not an mistake caused by a lack of knowledge of correct notation, but an intentional alternation. Thus, this study suggested that unintentional notation error and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should be distinguished, and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should be viewed as an object of inquiry rather than correction. In chapter Ⅱ-A of this study, Hangul spelling education was critically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its current status on curriculum and textbook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recent Hangul spelling education has mainly consisted of Hangul spelling regulations-centered knowledge learning. Accordingly, learners played only a passive role to obtain the knowledge about Hangul spelling so that they did not have an opportunity to think critically and creatively about the actual language phenomenon associated with Hangul spelling.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language data in actual daily usage was not effectively utilized as materials for inquiry activities. After reaffirming the educational necessity of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educational status on Hangul spelling education, chapter Ⅱ established the concept of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which was not specifically conceptualized before, and presented its educational values. Based on the discussions above, Chapter Ⅲ analyzed the cases of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and explored the possibilities to apply them to the contents for Hangul spelling education. The analysis subjects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media types, and the analysis criteria focusing on the types and functions were set. Then, the collected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cases were systematically classified to scrutinize the realization of its phenomenon.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deriving the ‘function’ of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as a clue to the intent implied by the alternation, based on the media types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ca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was used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tool with informational and expressive functions rather than simple pursuit of fun or convenience. Also, the link between medium, type, and function surrounding the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was identified.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ies to construct inquiry activities as a problem-solving process by inferring the ‘function’ of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and understanding its final aim on the basis of its media types and linguistic features. With its potentiality a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dentified by the actual case analysis, in chapter Ⅳ,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using the cases of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as Hangul spelling education contents was explored. To be specific, the methods of content selection and inquiry learning activiti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cases of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As a content selection criterion, the study proposed standards for choosing the examples related to the types and functions of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and the examples with sufficient background data. In addition, the examples of inquiry activities in which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can be applied to Hangul spelling education were provided. Above all, in terms of the newly establishment of as an optional curriculum for grammar enhancement in the 2015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the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inquiry activities using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in connection with media language education. After examining the possibilities of inquiry activities combined with media language education, the inquiry learning model for Hangul spelling education using generally applicable cases of intentional notation was constructed. It is hoped that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can be considered as a worthy object of inquiry learn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led to learners’ increased interest. It is also hoped that the study can contribute to the learner-centered Hangul spelling education to cultivate critical capacity for grammatical phenomenon in the actual field. [Keywords] Intentional notation transformation, Notation transformation, Intentional transformation, Korean grammar education , Hangul spelling education, Notation education, Hangul spell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