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민주-
dc.contributor.author노재령-
dc.creator노재령-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08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08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4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46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966-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우리는 전례 없이 풍요로운 문자의 시대에 살고 있다. 모바일 컨텐츠를 통한 수많은 문자와 텍스트로 이루어진 정보의 홍수 속에, 한국의 프랑스어 학습자들도 이전보다 쉽고 빠른 방법으로 프랑스어를 접하고 배울 수 있게 되었다.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소셜네트워크(SNS)에서 학습자들은 글을 통해 세계 각지의 사용자들과 소통하고 교류하며 문화를 공유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연구자는 언어 학습자로서 그들이 의사소통의 전달에 편중된 쓰기 활동이나 문장 단위의 번역 식 작문 활동에서 발전된 형태인 에세이 쓰기에 대한 지도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에세이는 유럽공통참조기준(CECR)에서 자립 수준에 해당하는 B1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쓰기 형태로, 자기의 의견과 견해를 표현하고 입증하며, 상대를 설득하는 논증의 입문 단계에 해당되는 글의 유형이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논리적 구조의 글쓰기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한 수업을 진행하며, 효과적인 지도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다음과 같은 절차와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자가 강의하는 어학원에 수강중인 학습자 26명에 대하여 1달 동안 총 10회에 걸쳐 논리적 구조의 글쓰기에 대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과 동시에 매 차시마다 DELF B1 자격증 시험에 다뤄지는 주제들에 대한 쓰기 과제물을 주고 작문을 하여 제출하도록 하였다. 1차시와 10차시에는 사전과 인터넷 검색을 통제한 후 현장에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고, 나머지 차시에는 자율적으로 자료를 검색하며 쓰기 과제를 수행하여 제출하도록 하였다. 과제물은 DELF B1 자격증 시험의 쓰기 영역 평가 기준에 따라 채점하고 첨삭하였고, 발생한 오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시의 과제물과 10차시의 과제물을 비교한 결과, 전체 참여자들의 평균 점수가 상승하였고 표준 편차가 줄어들었다. 평가 항목 가운데에서는 제시문의 준수 여부에 대한 항목에서 가장 큰 성취도를 보였고, 어휘 사용 능력이 가장 낮은 성취도를 보였다. 둘째, 평균 점수가 높은 참여자들은 다른 참여자들에 비하여 철자법의 사용 능력이 더 뛰어났다. 전체 참여자들은 그 외의 항목에서 수행 정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철자법 이외의 항목들에서 학습 효과로 인하여 점수가 상승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철자법 사용 능력의 신장을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학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프랑스어 전공자들은 생각과 의견 표현 능력에 있어 비전공자들보다 우수하였으며, 비전공자들은 사건과 경험 서술 능력이 더 뛰어났다. 전공자들은 여러 가지 담화 유형에 대한 표현을 대학에서 학습하였기 때문으로 보이고, 비전공자들은 프랑스어 외의 다양한 분야에의 관심과 경험들이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파악된다. 넷째, 오류 분석과 오류 개선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논리적 구조의 글을 쓰는 데 있어 언어 사용 능력과 더불어 글의 구성 능력에 대한 학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학습자의 오류에 대한 교수자의 개방적인 지도와 지속적인 피드백은 정의적 차원에서 학습자의 학습 의지를 고취시키고 쓰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도움을 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논리적 구조의 글쓰기는 언어 지식의 습득을 넘어 글의 구성과 논리적 전개 능력을 요하고, 이와 관련된 교수자의 지도와 오류에 대한 피드백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도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자의 정의적 요소들을 긍정적으로 자극하여 쓰기 능력을 신장시킨 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Aujourd'hui, nous vivons dans une ère d’affluence du texte diffusé à travers les contenus mobiles par lesquels les apprenants du français langue étrangère en Corée sont en mesure d’apprendre le français de manière plus facile et rapide que jamais. Dans les réseaux sociaux (SNS) qui se développe jour après jour, ils communiquent, échangent et partagent la culture avec des utilisateurs de partout dans le monde. Cependant il s’avère que ces utilisateurs en tant qu’ apprenants de langue n’atteignent pas les compétences qui correspondent à la norme académique attendue dans le Cadre de référence européen commun de références (CECR). Ils devraient être capable de produire des textes en forme de dissertation et d’essai, les formes développées dans l'activité d'écriture. L'essai est une forme écrite requise pour les apprenants B1, utilisateurs indépendants exprimant et prouvant leurs opinions et points de vue. C’est dans un tel contexte que ce déroule l’étude présentée ici, dont le but est d’esquisser un plan didactique efficace visant à améliorer la capacité d'écriture argumentative. Durant cette étude, exploratoire, nous avons mené une série de 10 séances de cours sur la production écrite dans une structure logique où 26 participants étudiants on été invités chaque séance à rédiger un essai sur les sujets des domaines abordés dans l’épreuve de DELF B1. Pour le premier et le dernier devoir, nous avons interdit l’utilisation du dictionnaire et d’Internet afin de vérifier leur évolution. Les devoirs ont été notés conformément aux critères de la grille d’évaluation de la production écrite B1, corrigés et rendus afin qu’ils prennent conscience de leurs fautes et erreurs. Les résultats obtenus grâce à cette expérience sont les suivants. Premièrement, suite à la comparaison des devoirs de la première séance à la dernière, la moyenne de tous les participants a augmenté et l'écart type a diminué. Parmi les critères d'évaluation, la meilleure réussite a été démontrée en termes de respect de la consigne, et la plus faible en termes de maitrise du vocabulaire. Deuxièmement, les participants ayant la moyenne élevée se sont montrés plus susceptibles de maîtriser l'orthographe que les autres participants. Ne révélant pas de différence significative au niveau de performance dans d'autres critères, ce résultat nous montre l'effet d'apprentissage dans d'autres éléments que l'orthographe dont l’apprentissage à long terme semble nécessaire. Troisièmement, les étudiants en langue française à l’université étaient supérieurs dans leur capacité à exprimer leurs pensées et opinions alors que les participants en d’autres disciplines étaient meilleurs dans leur capacité à présenter des faits. Cela pourrait s'expliquer par le fait que les étudiants en langue française semblent avoir appris des expressions sur divers types de discours à la faculté tandis que les non-apprenants ont davantage d'intérêts et d'expériences dans divers domaines autres que le français. Quatrièmement, à travers l'analyse des erreurs et de ses évolutions, nous avons pu constater que pour l'apprentissage au niveau syntaxique ainsi que linguistique est primordial pour acquérir la compétence à structurer un texte logique. En outre, d'un point de vue définitoire, la rétroaction de l'enseignant et ses commentaires continus sur les erreurs de l'apprenant contribuent à encourager la volonté de l'apprenant de manière positive et à participer activement aux activités d'écriture. Les résultats de cette étude suggèrent que la production d'un texte argumentatif exige à la fois les compétences linguistiques et logiques. De même, la rétroaction de l'enseignant sur les erreurs qui en découlent consolide la relation entre l'enseignant et l'apprenant, et conduit à l'amélioration de la capacité d'écriture dans un laps de temps relativement cou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내용 및 방법 3 C. 연구의 제한점 3 D. 선행연구 4 Ⅱ. 이론적 배경 7 A. CECR에서의 언어능력 13 B. CECR에서의 쓰기 15 C. B1 수준의 쓰기 19 1. B1 수준의 쓰기 목표와 내용 21 2. 논리적 구조의 글쓰기 22 3. B1 수준 교재에서의 쓰기 학습 방법 25 4. CECR에서의 쓰기 평가 방법 29 D. 학습자 오류에 대한 이론적 접근 34 1. 학습자 쓰기 오류 34 2. 쓰기 오류의 개선 방안 37 Ⅲ. 연구방법 40 A. 연구대상 및 진행 방법 40 1. 연구대상 40 2. 연구 진행 방법 41 B. 연구도구 43 1. 설문지 43 2. 쓰기 과제지 44 3. 평가 도구 46 B. 자료 분석 계획 47 C. 실험 전 설문 48 Ⅳ. 연구결과 분석 및 해석 64 A. 과제물 분석 및 해석 65 1. 점수 변화량에 따른 분석 및 해석 65 2. 주제 별 성취도에 따른 분석 및 해석 77 3. 평가 항목 별 성취도에 따른 분석 및 해석 78 B. 참여자 요인 별 분석 및 해석 84 1. 전공 여부에 따른 분석 및 해석 84 2. 프랑스어 쓰기 활동 여부에 따른 분석 및 해석 90 3. DELF B1 소지 여부에 따른 분석 및 해석 91 C. 대표적 오류의 유형 및 특성 분석 92 1. 참여자 S의 사례 분석 92 2. 참여자 X의 사례 분석 98 Ⅴ. 결론 및 제언 108 참고문헌 113 RSUM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097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B1 수준 성인 프랑스어 학습자의 논리적 구조의 글쓰기 지도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Étude sur les méthodes d'enseignement au niveau de la production écrite dans une structure logique : pour les apprenants du niveau B1-
dc.format.pagevii, 124 p.-
dc.contributor.examiner장한업-
dc.contributor.examiner김도훈-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불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불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