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매체 전환 텍스트를 활용한 서사 교육 방안 연구

Title
매체 전환 텍스트를 활용한 서사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narrative educational method using media transformation text : Focused on case of transformation from webtoons to Movie·Drama
Authors
서선영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무선 인터넷의 발달과 개인 PC의 보급은 현대인들의 삶을 크게 바꿔 놓았다. 언제 어디서든 전자책이나 오디오북의 형태로 문학 작품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으며, 스마트폰 하나로 길거리에서 영화나 드라마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국어 교육에서는 이와 같은 매체의 발전을 염두에 두고 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매체 교육을 실시하였다. 특히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매체 언어’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언어와 매체’라는 선택 과목을 개설하는 등 깊이 있는 매체 교육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매체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동시에 다중매체성을 띤다. 이는 국어 교육에서 매체 전환 텍스트를 활용한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에 치우쳐 있으며, 디지털 매체 시대라는 흐름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중매체성의 대표적 사례인 웹툰과 이를 원작으로 하는 매체 전환 텍스트를 활용한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웹툰은 다양한 주제를 아우르는 서사 장르의 하나로서 영화, 드라마, 연극, 뮤지컬 등 수많은 매체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매체이기 때문에 실시간 상호소통성을 기반으로 한 작가와 독자의 원활한 교류나 영화적 연출 및 배경음악 같은 다양한 표현 기법이 가능하다. 그리고 높은 접근성으로 많은 중등 학습자가 웹툰을 즐기고 있기 때문에 흥미를 이끌어내기에도 유리하다. 본고에서는 타 매체로 전환이 이루어진 웹툰 중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것들을 텍스트로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웹툰과 영화 <그대를 사랑합니다>, 웹툰과 드라마 <사춘기 메들리>, 웹툰과 드라마 <오렌지 마말레이드>로 선정하였으며, 스토리와 플롯, 인물 등의 서사구조와 매체적 특성을 연구 방법으로 삼아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서사구조에서는 사건이 생략 및 확대되는 양상과 인물이 삭제되거나 성격 변화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매체적 측면에서는 웹툰의 매체적 특성이 영화·드라마라는 매체에서 어떻게 재현되는지 그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매체 전환 텍스트를 활용한 교육과 관련된 성취기준을 근거로 하여 학습의 단계를 구성하고, 분석 결과를 활용한 학습 활동의 예시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본고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갖는다. 첫째, 매체 전환 텍스트가 영상 매체에 한정되었다. 웹툰이 연극이나 뮤지컬과 같은 매체로도 전환되고 있음에도 여건상 연구 대상에서 제외되어 보다 다양한 변화 양상을 파악하지 못하였다. 둘째, 학습 자료로서 웹툰을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의 문제가 있다. 웹툰이 교과서에 실리는 순간 스캔만화와 다를 바가 없는 형태로 제시된다. 때문에 웹툰을 제재로 다룬다고 할 때 제시 방법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실제 적용 전이어서 현장에서 발생할 여러 변수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아직까지 웹툰은 국어 교육 내에서 생소한 매체이다. 때문에 교육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나 현장에서 검증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여러 변수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차후 수정·보완이 필요하다.;The development of wireless Internet and the spread of personal PC have greatly changed the lives of modern people. Now people can enjoy literary works in the form of e-books or audiobooks anytime and anywhere, and enjoy movies and dramas on the street with a smartphon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sidering such changes, media education have been conducted from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aimed to provide in-depth media education by establishing 'Media Language' in the 2007-revised curriculum and the 'Language and Media' in the 2015-revised curriculum as elective courses. Today, media are developing at a fast pace, and at the same time, the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multi-media. This suggests the need for education using media transformation tex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 current curriculum and textbooks are biased towards movies based on novels, which cannot reflect the trend of digital media ag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n educational method using webtoon, a representative example of multimedia, and media transformation text based on it. Webtoon, one of the narrative genres that cover a variety of themes, is transformed into a number of media including movies, dramas, plays, and musicals. Also, due to its nature as digital media, it is possible to make a variety of expression techniques including film directing and background music, and proactive interactions between writers and readers based on real-time interactive communication. Besides, many middle school students enjoy webtoons due to the high accessibility, so it is also advantageous to draw their attentions and interest. This study analyzed the texts that were determined to have educational values among the webtoons converted into other media.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Webtoon/Movie "I Love You, Webtoon/Drama "Teenage Medley", and webtoon/Drama "Orange Marmalade" and their narrative structures such as story, plot, characters, and their media features. In terms of the narrative structures, it was explored how the events were omitted and expanded, how the characters were deleted or their personality were changed. In terms of media feature, it was identified how the media features of webtoons were reproduced in the medium of movie and drama. Then,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media transformation education in the 2015-revised curriculum, the stage of learning was constructed, and examples of the learning activities using the analysis findings were suggested. However,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media transformation texts were restricted to video media. Although webtoons are transformed into a medium such as drama or musical, they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subjects for certain reasons. Therefore, it could not embrace more multi-dimensional changes. Second, there was a problem of how to present webtoons as learning materials. When a webtoon is put on a textbook, it is hardly distinguished from the form of a scanned comic book. Accordingly, the methodology of presenting webtoons in school textbooks should be investigated. Third, it is necessary to predict a variety of variables that may occur in the actual field before the practical application, since webtoon is an unfamiliar gen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o far. Thus, in spite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mbrace webtoon as an educational direction, webtoon is not thoroughly verified in the educational field, which requires further corrections and supple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