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4 Download: 0

창의·융합 독서-토의 교육 방안 연구

Title
창의·융합 독서-토의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learning Method of Creative-Convergent Reading-discussion
Authors
김윤지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4차 산업혁명에 따라 사회 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인간의 노동력이 기계화, 자동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급속한 사회 변화에 따라 기계는 대체할 수 없는 일, 즉 창의·융합적 사고력이 주목받으며, 시대적으로 교육 패러다임도 달라질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국어과 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방법과 시스템은 기존의 것을 답습한 채 대부분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사회 변화와 시대가 요구하는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래 인재상으로 삼은 ‘창의 융합형 인재’에 주목했다. 학교 현장에서는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STEAM교육과 자유학기제를 실시하고 있다. STEAM교육은 프로젝트법, 팀티칭으로 실행되어 실행 부담이 크고 일반 학급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자유학기제는 초기 실행 단계에서 국어 교육 부실화와 프로그램 미흡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되 자유학기제의 취지를 살려, 국어과 내에서 학생들에게 실제적이고 전인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면서, 학업 성취에도 소홀하지 않은 창의·융합형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말하는 ‘창의’는 학습자의 창의성을 기르는 교수·학습의 목표를 의미하고, 융합은 교과 간 통합을 넘어 학습자의 진로, 일상생활과 연결 짓는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가리킨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Ⅱ장에서는 사고력, 창의·융합 교육에 대한 이론을 검토한 뒤 창의·융합적 사고력을 재개념화했다. 창의·융합적 사고력을 신장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을 독서-토의라 보고, 독서-토의에 대한 기존 연구와 이론을 검토했다. 제 Ⅲ장에서는 기존의 독서-토의 연구를 사고력 측면, 제재 선정 측면, 통합 양상 측면에 따라 나누어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Ⅱ장과 Ⅲ장의 분석을 바탕으로 창의·융합적 사고력에 가장 적합한 독서-토의 교수·학습 방법의 체계를 도출해내고, 독서-토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적용되어야 할 원리를 융합성의 원리, 상호연결성의 원리, 주체성의 원리로 정의했다. 그리고 창의·융합 독서-토의 교수·학습 방법을 서울 소재 구립 도서관에서 중학교 2,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주 1회 2시간씩 총 8차시에 걸쳐 수업을 적용했다.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관찰 분석, 인터뷰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과정과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학습을 경험하였다. 둘째, 대부분의 학생들에게서 독서-토의에 흥미가 증가했고,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상승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셋째, 독서-토의 활동을 통해 해당 주제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삶과 연결시켜 적극적이고 주체적으로 사고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본 수업 모형은 정규 학교와 수업 환경이 다르다는 한계가 있다. 앞으로 보완을 위해 본 교수·학습 방법을 자유학기제의 국어 수업에서 활용하며, 확대 적용하여 검증할 필요가 있다.;The social structure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not-too-distant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human labor force will be mechanized and automated as th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s. With rapid social transformations, creativity, the ability that cannot be replaced by machines, is more emphasized, and the relevant educational paradigms for such changing era are also required. However, the existing education remains in only knowledge-delivering system. Focusing on such social changes and education demanded by the times, this study highlighted the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set as the future competence in the 2015-revised curriculum. At actual education fields, STEAM education and free-semester system are implemented to cultivate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Nevertheless, since STEAM education is carried out by project and team teaching,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general classes due to the heavy burden of practices. Also, in terms of the free-semester system, the programs at the initial stage of implementation and relevant Korean language education seem to be insufficient. In order to complement these problems and take advantage of the free-semester system, this study proposed a creative and converg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not only provides students with practical and holistic learning experiences but also helps their academic achievements. In this study, 'creativity' refers to the goal of education to foster learners' originality, and ‘convergence’ refers to an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ombined with students' career and everyday life beyond interdepartmental integration.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 Ⅱ, after reviewing the theories of thinking, creative and convergent education, it re-conceptualized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ability. This study examined the existing studies and theories on reading- discussion, considering that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developing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skills is reading-discussion. In chapter Ⅲ, the existing reading-discussion studies were analyzed critically by classifying them into the aspect of thinking competence, materials selection, and integration. In Chapter IV, based on the analysis in Chapters II and III, a system of reading-discuss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est suited for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was derived. Also, the principles that should be applied in reading- discussio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ere defined as integration, interconnectivity, and subjectivity. In addition, the author of the study appli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reative and convergent reading-discussion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a municipal library located in Seoul for eight sessions, two and three times a week. Through pre-test and post-test, observation analysis, and interviews, students' learning process and change pattern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experienced creative and convergent learning. Second, the majority of students showed increased interest in reading-discussion, and their awareness on its necessity grew. Third, students deeply understood the subjects through reading-discussion activities, positively and subjectively connecting them with their own life.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in applying this model to the actual classroom environment. In order to supplement such limitation, it is necessary to use thi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the Korean language class of the free-semester syst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