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3 Download: 0

文化创意产业经理人专用汉语口语教材设计

Title
文化创意产业经理人专用汉语口语教材设计
Other Titles
문화콘텐츠 정책 담당자를 위한 중국어 회화 교재 개발
Authors
최희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국제중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승희
Abstract
韩国与中国自1992年建交以来在经济、贸易等各领域继续保持友好关系。在中韩交流中最值得注目的是两国在文化领域中交流的不断深入。上世纪90年代末,随着韩国电视剧在中国的热播以及韩国音乐的流行,中国人对韩国文化的兴趣越来越浓厚,进而掀起了一股“韩流”热潮,文化交流不仅仅在电视节目和音乐方面,也扩展到时尚、饮食、信息技术等其他方面。根据韩国文化产业振兴院发表的《2015文化创意产业统计报告》,从2014年韩国文化创意产业向各国输出的出口额列表可以看出,对中国(包括香港)的出口额为13.4123亿美元,居世界第2位。日本则以15.9747亿美元名列第一。而且预计一直到2019年,中国文化创意产业的规模会呈现出年均增长率为10.6%的发展势头。 2014年韩国与中国共同签署了中韩自由贸易协定(FTA),给未来两国的经济发展和交流提供了动力。在细节协商过程中,中国增加了中韩电影及电视剧合拍协议的附件,还开放了剧场经营及演出中介等业务,从而放宽了中韩两国之间文化创意项目交流的各种限制,逐渐打开了中国文化创意市场的大门。;중국어 교육은 중국의 경제 성장 및 글로벌 위상과 더불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특히 산업 측면에서 볼 때 무역, 의료, 관광 등 한중 교류가 활발히 이뤄지는 분야의 해당 업무 종사자를 위한 중국어 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일반 회화 뿐 만 아니라 특수목적을 위한 중국어 교육의 필요성도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과 중국은 한류 열풍에 힘입어 방송, 음악, 패션, 게임, 식문화 등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교류하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의 정책 논의도 끊이지 않고 진행되고 있다. 이에 문화콘텐츠 정책 분야에 종사하는 업무 담당자들에게도 중국어 및 중국 문화 이해에 대한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콘텐츠 정책 분야 담당자들의 글로벌 역량 함양의 기초 단계인 중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실질적 교육은 진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 업무 담당자들의 업무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의 중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 조사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업무 담당자를 위한 중국어 교재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 목적 중국어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특수목적 중국어 교육의 개념과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와 더불어 중국어 말하기 교육 및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에 대한 개념과 특징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 정책 담당자를 위한 중국어 회화 교재의 이론적 체계를 마련하였다. 둘째, 문화콘텐츠에 대한 개념과 업무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주요 대상인 문화콘텐츠 정책 업무 담당자의 특징과 이들이 필요로 하는 중국어의 범주를 정리하였다. 셋째, 문화콘텐츠 분야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존의 중국어 학습방법 및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중국어 학습의 난점과 학습 후 활용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종사하고 있는 분야의 전문 중국어 교재에 대한 수요와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통해 문화콘텐츠 분야 업무 담당자들이 실제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내용을 수집하여 교재의 주제 및 소재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수요조사에 기초한 문화콘텐츠 정책 담당자를 위한 중국어 교재 개발 방안은 다음과 같다. 문화콘텐츠 업무 담당자들이 업무 시 가장 필요로 하는 기능인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하여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하는 교재를 구상하였다. 또한 실제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내용, 빈번하게 접할 수 있는 상황을 단원별 주제로 채택하여 기존의 사용 교재가 실제 업무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던 이유 중 하나인 실용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문화콘텐츠 관련 용어를 정리하여 한국과 중국의 문화콘텐츠 분야 어휘를 비교 학습할 수 있게 하였으며, 중국과의 업무 교류 시 참고할 수 있는 비즈니스 문화 및 에티켓에 관한 내용을 제공하여 언어 뿐 아니라 문화적인 상식도 익힐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라는 특정 분야에 종사하는 잠재적 중국어 학습자에게 실제 업무 환경에 필요한 중국어를 익히고 즉각적으로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실용성 있는 교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서 시작하였다. 이에 향후 문화콘텐츠 분야에 대한 전문적이고 실제적인 중국어 교육이 이뤄지기를 기대하며, 이를 통해 해당 업무 종사자들과 중국 담당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escription
석사학위를 수여받기 위해 제출된 포트폴리오임.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 국제중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