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승희-
dc.contributor.author최희진-
dc.creator최희진-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58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58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3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32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896-
dc.description석사학위를 수여받기 위해 제출된 포트폴리오임.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韩国与中国自1992年建交以来在经济、贸易等各领域继续保持友好关系。在中韩交流中最值得注目的是两国在文化领域中交流的不断深入。上世纪90年代末,随着韩国电视剧在中国的热播以及韩国音乐的流行,中国人对韩国文化的兴趣越来越浓厚,进而掀起了一股“韩流”热潮,文化交流不仅仅在电视节目和音乐方面,也扩展到时尚、饮食、信息技术等其他方面。根据韩国文化产业振兴院发表的《2015文化创意产业统计报告》,从2014年韩国文化创意产业向各国输出的出口额列表可以看出,对中国(包括香港)的出口额为13.4123亿美元,居世界第2位。日本则以15.9747亿美元名列第一。而且预计一直到2019年,中国文化创意产业的规模会呈现出年均增长率为10.6%的发展势头。 2014年韩国与中国共同签署了中韩自由贸易协定(FTA),给未来两国的经济发展和交流提供了动力。在细节协商过程中,中国增加了中韩电影及电视剧合拍协议的附件,还开放了剧场经营及演出中介等业务,从而放宽了中韩两国之间文化创意项目交流的各种限制,逐渐打开了中国文化创意市场的大门。;중국어 교육은 중국의 경제 성장 및 글로벌 위상과 더불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특히 산업 측면에서 볼 때 무역, 의료, 관광 등 한중 교류가 활발히 이뤄지는 분야의 해당 업무 종사자를 위한 중국어 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일반 회화 뿐 만 아니라 특수목적을 위한 중국어 교육의 필요성도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과 중국은 한류 열풍에 힘입어 방송, 음악, 패션, 게임, 식문화 등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교류하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의 정책 논의도 끊이지 않고 진행되고 있다. 이에 문화콘텐츠 정책 분야에 종사하는 업무 담당자들에게도 중국어 및 중국 문화 이해에 대한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콘텐츠 정책 분야 담당자들의 글로벌 역량 함양의 기초 단계인 중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실질적 교육은 진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 업무 담당자들의 업무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의 중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 조사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업무 담당자를 위한 중국어 교재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 목적 중국어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특수목적 중국어 교육의 개념과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와 더불어 중국어 말하기 교육 및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에 대한 개념과 특징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 정책 담당자를 위한 중국어 회화 교재의 이론적 체계를 마련하였다. 둘째, 문화콘텐츠에 대한 개념과 업무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주요 대상인 문화콘텐츠 정책 업무 담당자의 특징과 이들이 필요로 하는 중국어의 범주를 정리하였다. 셋째, 문화콘텐츠 분야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존의 중국어 학습방법 및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중국어 학습의 난점과 학습 후 활용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종사하고 있는 분야의 전문 중국어 교재에 대한 수요와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통해 문화콘텐츠 분야 업무 담당자들이 실제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내용을 수집하여 교재의 주제 및 소재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수요조사에 기초한 문화콘텐츠 정책 담당자를 위한 중국어 교재 개발 방안은 다음과 같다. 문화콘텐츠 업무 담당자들이 업무 시 가장 필요로 하는 기능인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하여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하는 교재를 구상하였다. 또한 실제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내용, 빈번하게 접할 수 있는 상황을 단원별 주제로 채택하여 기존의 사용 교재가 실제 업무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던 이유 중 하나인 실용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문화콘텐츠 관련 용어를 정리하여 한국과 중국의 문화콘텐츠 분야 어휘를 비교 학습할 수 있게 하였으며, 중국과의 업무 교류 시 참고할 수 있는 비즈니스 문화 및 에티켓에 관한 내용을 제공하여 언어 뿐 아니라 문화적인 상식도 익힐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라는 특정 분야에 종사하는 잠재적 중국어 학습자에게 실제 업무 환경에 필요한 중국어를 익히고 즉각적으로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실용성 있는 교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서 시작하였다. 이에 향후 문화콘텐츠 분야에 대한 전문적이고 실제적인 중국어 교육이 이뤄지기를 기대하며, 이를 통해 해당 업무 종사자들과 중국 담당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第一章 教材开发设计 1 1.1 课题 1 1.2 适用对象 1 1.3 选题意义 1 1.4 教材设计的基本方向 3 1.4.1 理论背景 3 1.4.2 文化创意产业政策业务 9 1.4.3 问卷调查 16 1.4.4 设计方案 29 1.5 预期效果 30 第二章 教材设计 31 2.1 教材名 31 2.2 教材的特征 31 2.3 单元构成 32 2.4 学习目录 34 2.5 课堂概要 36 第三章 教材制作及指导 48 3.1 教材制作 48 3.2 单元指导计划 48 3.2.1 学习目标 48 3.2.2 学习内容及教学方法 ·48 3.3 课时指导计划 50 3.3.1 教学环节 50 3.3.2 第七课的课时指导计划 50 3.4 指导实际 51 3.4.1 第7课 《我十分关注K-pop 市场》概要 51 3.4.2 各学习阶段的指导内容 ·51 参考文献 59 [附录1] 附录 教材样课 63 [附录2] 附录 调查问卷 75 국문초록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64811 bytes-
dc.languagechi-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文化创意产业经理人专用汉语口语教材设计-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문화콘텐츠 정책 담당자를 위한 중국어 회화 교재 개발-
dc.creator.othername崔僖珍-
dc.format.page80 p.-
dc.contributor.examiner손지봉-
dc.contributor.examiner장잉-
dc.contributor.examiner신승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국제중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 국제중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