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이지은-
dc.creator이지은-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47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47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5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57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81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의 구어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반성적 교사 교육(reflective teacher education)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로 적용하여 그 실효성을 검증한 실행연구이다. 제 2언어 습득을 촉진시키는 효과적인 구어 수정적 피드백의 제공을 위해서는 교사가 스스로 어떻게 피드백을 주고 있는가에 대한 인식 고취와 더불어 구어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학습 효과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이때 교사의 인식 고취는 교사가 가지는 신념에 대한 내적 인식 고취와 실제 수업에서는 이를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가에 대한 외적 인식 고취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교사의 인식 고취는 자기 관찰을 통해 가능한데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관찰을 위해서는 관찰을 위한 틀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구어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지식 습득을 위해 교사 교육도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구어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반성적 교사 교육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구어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반성적 교사 교육 모형은 총 4단계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이 구안하였다. 1. 자기 신념 깨닫기 단계: 오류와 오류 수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고취를 위해 선행 연구와 문헌 고찰을 기반으로 한 기준과 질문을 마련하였다. 자기 신념 깨닫기는 총 12개의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오류 수정의 필요성 및 효과, 오류 판단 기준 및 오류 수정 우선순위, 오류 수정 빈도 및 시기, 효과적인 피드백 특성 및 유형, 주로 제공하는 피드백 유형, 수정 주체, 수정적 피드백 계획 및 전략에 대한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다. 2. 증거 기반 교사 교육 단계: 이번 단계는 수정적 피드백에 대해 이해하고 객관적 지식, 정보를 얻는 단계이다. 교사 교육의 목적은 학습자 오류 처리에 대한 교사의 선택을 돕고, 나아가 학습자들의 제 2언어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 오류, 수정적 피드백 유형, 수정적 피드백 효과, 메타 분석 결과, 한국어 교실 연구 결과로 나누어 증거 기반 교사 교육 자료를 제작하였다. 자료는 30분 정도 분량의 동영상으로 교사들이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3. 자기 관찰 단계: 본 단계는 교사가 실제 수업 중 어떻게 구어 수정적 피드백을 제공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관찰을 위해서 SOSOCF(Self-Observation Scheme of Oral Corrective Feedback)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4. 분석 및 성찰 단계: 교사들이 각 단계별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신념 및 실행에 대해 분석하고 반성하는 단계이다. 각 단계를 비교할 수 있는 분석 및 성찰 표를 마련하여 교사들이 스스로 비교 결과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 개발 후 이를 실제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예비 실행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각 단계의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타당도를 높였다. 특별히 SOSOCF는 제 3의 평정자를 두어 평정자 간 일치도를 확인함으로써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3차에 걸친 실행과 관찰을 통해 모형의 개선된 활용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의 반성적 교사 교육 참여가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지식을 얻는 기회가 될 뿐만 아니라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하여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처음으로 자기 주도적이면서 동시에 자기 성찰적인 새로운 교사 교육 모형을 제시했다는 데 있다. 또한 반성적 교사 교육 모형의 각 세부 단계 도구를 개발하여 제시했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 있어 현직 교사들이 참여한 교사 교육 실행연구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 교사들의 자발적인 교사 교육 참여 동기를 유발하기 위한 연구들과 좀 더 넓은 개념의 교사 말, 교실 상호작용, 수업 과제, 쓰기 피드백 등에 대한 반성적 교사 교육 연구가 이뤄지길 기대한다.;This study is an action research that develops a model of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on oral corrective feedback and applies it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through self-observation and evidence-based education on oral corrective feedback. For providing effective oral feedback to promot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 teacher needs awareness raising on their corrective feedback. Also, they need to have complete understanding of corrective feedback and information regarding its effect. Awareness raising of teachers should be accompanied simultaneously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awareness raising of oral corrective feedback. Awareness raising of teachers is possible through self-observation that requires a framework of objective and systematic observations. Also, there must be prior knowledge related to oral corrective feedback. For such needs, this study has developed a model of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on oral corrective feedback. The model from this study consists of four stages: 1. Realizing one’s own belief: A questionnaire for awareness raising of ones own beliefs about errors and error correction has been prepar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consists of twelve questions relating to the necessity and effects of error correction, standards of judging errors, priorities of error correction, frequency and time of error correction,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effective feedback, the type of feedback most provided, principal agent of correction, and strategies of corrective feedback. 2.Evidence-based teacher education: This stage is about understanding corrective feedback and obtaining objectiv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aim of this teacher education is to help teacher’s choice of error correction which further positively influences the student’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For this purpose, based on literary review and relevant previous studies, an evidence-based teacher education video was produced. It covers learner error, types of corrective feedback, effects of corrective feedback, results of meta-analyses, and study results of Korean classes. The video is approximately 30 minutes long and is available on the internet for teachers to utilize conveniently,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3.Self-observation: This is the stage of identifying how teachers themselves are providing oral corrective feedback in actual lessons. The Self-Observation Scheme of Oral Corrective Feedback(SOSOCF) was developed by this study for objective and systematic observations. 4.Analysis and reflection: This is the stage of analyzing and reflecting upon a teachers’ own beliefs and practices of corrective feedback by comparing the results of each stage. Teachers can analyze each stage with a results comparison chart. After pilot practices and modifications to SOSOCF, involving a third rater to secure reliability through measuring a Cohen’s Kappa Coefficient, the model was implemented on current Korean language teachers. A more effectual use of this model was sought throughout the proces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teachers not only gathered knowledge about corrective feedback, but also had the opportunity to develop themselves through reflection on their own use of corrective feedback. The first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esented a new model for teacher education in which it is self-directed, a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first self-reflective teacher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ly, this study developed and presented detailed stages of the model for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on oral corrective feedback. Last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n action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where current teach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ok part.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how to motivate teacher initiated participation in teacher re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more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mode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용어 정의 8 1. 오류 8 2. 구어 수정적 피드백 10 3. 증거 기반 교사 교육 11 4. 반성 12 C. 논문의 구성 15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고찰 17 A. 학습자 오류 17 1. 오류를 보는 관점 17 2. 오류의 유형 19 B. 구어 수정적 피드백 21 1. 수정적 피드백의 역할 21 2. 구어 수정적 피드백의 유형 24 3.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 반응 33 C. 교사 교육 35 1. 교사 교육에 대한 이해 35 2. 교사 교육 모형 41 D. 관련 선행 연구 48 1. 구어 수정적 피드백 선행 연구 48 2. 한국어 교육 분야의 선행 연구 71 3. 한국어 교사를 위한 재교육 과정 및 선행 연구 81 E. 연구 문제 90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93 A. 실행연구 93 1. 실행연구의 정의 93 2. 실행연구의 자료 수집 방법 95 3. 실행연구 절차 99 B. 구어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반성적 교사 교육의 연구 방법 및 절차 101 1. 자기 관찰 101 2. 연구 도구 104 3. 구어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반성적 교사 교육 실행 절차 107 Ⅳ. 교사 인식 고취를 위한 준거 개발 및 교사 교육 자료 개발 110 A. 교사 인식 고취를 위한 준거 110 1. 자기 신념 깨닫기 단계 110 2. 교사의 구어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자기 관찰 도구 118 B. 교사 교육 자료 구성 129 1. 수정 대상 131 2. 수정 방법 132 3. 수정 시점 134 4. 그 밖의 주의할 점 135 Ⅴ. 반성적 교사 교육 실행 및 관찰 136 A. 예비 실행 및 관찰 136 1. 교사 P-1 137 2. 교사 P-2 143 3. 교사 P-3 148 4. 예비 실행 및 관찰 결과 적용 154 B. 1차 실행 및 관찰 164 1. 교사 1-1 164 2. 교사 1-2 171 3. 1차 실행 및 관찰에 대한 평가 175 C. 2차 실행 및 관찰 177 1. 교사 2-1 177 2. 교사 2-2 185 3. 연구 참여자 토론과 2차 실행 및 관찰에 대한 평가 192 D. 3차 실행 및 관찰 196 1. 교사 3 196 2. 교사 3과의 심층 면담 및 제언 204 Ⅵ. 구어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반성적 교사 교육 모형의 활용 208 A. 단계별 활용 방법 208 1. 0단계: 수업 녹음/녹화 208 2. 1단계: 교사의 자기 신념 깨닫기 209 3. 2단계: 증거 기반 교사 교육 단계 209 4. 3단계: 자기 관찰 단계 210 5. 4단계: 분석 및 성찰 단계 213 B. 기타 활용 방법 214 1. 세미나 형식의 반성적 교사 교육 214 2. 기관 차원에서의 재교육 216 3. 신입 교사 훈련 216 Ⅶ. 결론 218 A. 연구의 요약 218 B. 연구의 의의, 한계점 및 제언 229 참고문헌 233 부록 1 연구 동의서 251 부록 2 자기 신념 깨닫기 질문지 253 부록 3 구어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자기 관찰 도구 258 부록 4 분석 및 성찰을 위한 틀 259 부록 5 증거 기반 교사 교육 자료 264 Abstract 2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102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반성적 교사 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실행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한국어 교사의 구어 수정적 피드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ction Research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Model : Based on the oral corrective feedback by Korean language teachers-
dc.creator.othernameLee, Ji Eun-
dc.format.pagexiii, 28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