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6 Download: 0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에 외삽법을 적용하여 산출한 자해자살 손상의 기전별 발생률 및 현황 분석 연구

Title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에 외삽법을 적용하여 산출한 자해자살 손상의 기전별 발생률 및 현황 분석 연구
Other Titles
Estimation and analysis of the incidence of suicidal attempts extrapolated from the Emergency Department based Injury Surveillance System
Authors
정시영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구영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3개 병원에서 수집되는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자료에 외삽지수를 적용하여 전국 지역응급의료센터 이상 급 응급실로 내원하는 손상의 규모를 산출하는 외삽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외삽하여 산출한 자해자살 손상의 기전별 발생률과 연도별 추세를 분석하고 자해자살의 손상 피라미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외삽법을 이용한 자해자살손상의 발생률 산출에 앞서 외삽으로 추정한 수치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대표성이 확인된 퇴원손상심층조사와 비교하였다. 외삽지수의 정확성 검증을 위해 응급실 내원 후 입원가능성이 높은 손상지표인 고관절 골절의 추정 입원률과 퇴원손상심층조사의 고관절 골절의 입원률을 비교하였다. 이때 두 조사의 모집단 규모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전국 환자 수준으로 가중치를 적용하여 한번 더 외삽하였다. 가중치를 적용한 고관절 골절의 추정 입원률은 퇴원손상심층조사 입원률과 일치하여 대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가응급진료정보망의 자해자살 손상 환자수(N)를 응급실손상환자 심층조사의 자해자살 손상 환자수(S)로 나눈 값(N/S)을 자해자살의 외삽지수 (extrapolation factor, EF)로 산출하였고, 외삽지수에 세부 자살기전별 손상환자수를 적용하여 지역응급의료센터 이상 급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해자살 손상의 기전별 발생률을 산출하였다. 2011-2015년 지역응급의료센터 이상 급 응급실로 내원하는 자해자살의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 당 41.8-52.1명으로 이 중 목맴 자해자살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 당 3.1-3.1명, 추락 자해자살은1.4-2.2명, 농약 자해자살은 6.6-7.2명, 가스 자해자살은 2.2-4.8명이었다. 자해자살 손상의 연령표준화 발생률의 5년간 추세를 분석한 결과, 전체 자해자살 손상의 발생률은 증가하고 있고, 가스 중독 자살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파라쿼트 중독 자살은 크게 감소하였다. 외삽법을 통해 산출한 자해자살 손상의 발생률은 사망원인통계,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와 통합하여 자해자살의 손상 피라미드를 제시하였다.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와 퇴원손상심층조사,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자료로 산출한 자해자살의 손상 피라미드의 비는 1.0:1.2:2.8 (사망:입원:응급실내원)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외삽법을 이용하여 현재 운영 중인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와 국가응급진료정보망의 자료를 활용하여 외삽된 자료의 대표성을 확인하고 자해자살 손상의 기전별 발생률을 추정할 수 있었고, 사망원인통계,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와 통합하여 자해자살의 손상 피라미드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추후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자료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incidence rate of suicidal attempts in the emergency rooms extrapolated from the emergency department(ED) based injury surveillance system and to evaluate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data. Based on the surveillance data, the extrapolation method is used to estimate the incidence rate per 100,000 of suicidal attempts by age, gender and suicidal mechanism in 2011-2015. The extrapolation factor (EF) is calculated as the weights from the reciprocal of the extraction rate from the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NEDIS) to data of the ED based injury surveillance system. To assess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data, the admission rates of indicator (fracture of hip) extrapolated from the ED based injury surveillance system are compared with the admission rates from the hospital discharge registry. And we analyzed the trends and change of estimated incidence and mortality of the suicidal attempts related ED attendance in 5 years. The EF of suicidal attempts calculated from data from NEDIS and ED based injury surveillance systems was 4.0-4.5 in 2011-2015. The incidence rate of suicidal attempts by hanging was 3.1-3.8/100,000 in 2011-2015 and the incidence of suicidal attempts by fall was 1.4-2.2/100,000. The incidence of suicidal attempts by poisoning was 25.6-32.9/100,000. Among them, suicidal attempts by pesticide was 6.3-7.2/100,000 and suicidal attempts by gas was 2.2-4.8/100,000. The injury pyramid of suicidal attempts was 1:1.2:2.8(death:admission:ED). The incidence rate of suicidal attempts has been increased. The incidence of suicidal attempts by gas has been increased and the incidence of paraquat poisoning has been decreased. Extrapolation from the data of the ED based injury surveillance was able to estimate the magnitude of the suicidal attempts in the emergency medical centers in South Korea. The representativeness of extrapolated data was confirmed by assessed to compare with Hospital Discharge Registry.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possible to complement the weaknesses of each hospital-based injury surveillance and to calculate the incidence rate at national level, and it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injury indicators at the national level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