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2 Download: 0

중학생의 음악 사교육 경험에 따른 음악흥미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Title
중학생의 음악 사교육 경험에 따른 음악흥미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interes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 middle schooler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private music lesson
Authors
한다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미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음악 사교육의 현황과 음악 사교육 경험에 따른 음악 흥미도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음악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음악 사교육 경험을 음악 사교육 시작나이, 음악 사교육 기간, 음악 사교육 시작 동기로 구분하여 음악 흥미와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충북 지역의 중학교를 선정하여 중학생 총 234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크게 인구 통계학적 특성, 음악 사교육과 관련된 행동양식, 음악 흥미도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총 4부분으로 구분하였으며 총 7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일원 배치 분산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사교육 경험이 있는 중학생들은 8세 이상~10세 미만에 시작한 경우가 많았으며, 5년 이상 경험한 학생들이 많았다. 또한 음악 사교육을 받은 장소는 학원이 가장 많았고 음악 사교육 종류로는 반주법이 가장 많았다. 음악 사교육을 시작한 이유로는 스스로 음악을 배우고 싶어서가 가장 많았으며, 현재 음악 사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 역시 스스로 음악을 배우고 싶어서가 가장 많았다. 둘째, 음악 사교육에 참여한 중학생의 음악 흥미도는 4세 이상~6세 미만에 시작할수록, 5년 이상 경험 할수록, 자의로 시작 할수록 음악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음악 사교육에 참여한 중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은 시작 나이, 기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음악 사교육을 시작 한 이유가 자의인 학생이 타의인 학생보다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학생들은 대부분 어린나이에 음악 사교육을 시작하였으며 스스로 배우고 싶어 음악 사교육을 시작한 학생들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음악 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사교육의 시작 나이가 빠를수록, 기간이 길수록 음악 흥미도가 높다는 것은 학생들에게 이른 시기부터 지속적인 음악 경험을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기존에 조기음악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므로, 본 연구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음악 교육이 이루어지는 학교, 사교육 기관, 문화센터 등에서 체계적이고 질 높은 음악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음악 흥미도 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녕감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음악 사교육의 시작 이유는 주로 스스로 음악을 배우고 싶어 선택하는 학생들이 많았으며 음악 사교육 종류로 반주법이 가장 높았다. 이는 음악에 대해 흥미를 가지고 배우고자 하는 학생들이 많다고 할 수 있으므로 학생들의 음악 선호를 파악하여 음악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음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음악을 가치화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음악 사교육을 받은 중학생의 현황을 파악하고, 음악 사교육 경험에 따른 음악 활동의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음악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음악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음악이 주는 긍정적인 측면을 발달시킬 수 있는 음악 교육 환경이 마련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e of private music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interes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private music lesson of middle schoolers, and suggest a way to pursue for music education. The experience of private music education was analyzed by the starting age, duration, and motivation to see the difference in music interes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has conducted a research to 234 middle school students across the areas of Seoul, Gyeonggi, and Chungbuk.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four parts including demographic factors, patterns of behavior in relation to private music education, scale of interest level in music, and sca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sum up to a total of 75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is verifi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according to the type of question.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experience of private music lesson in middle schoolers was found out to have begun from eight to ten years of age, and a majority of them had continued for more than five years. The place of education was mostly in music academy and the type of lesson was accompaniment. The reasons for taking private lesson was mostly to learn to play music for themselves, and the ones currently taking lessons also had the same reason. Second, the music interest of middle schoolers was found out to have higher level when had begun from the age of four to six, have continued for more than five years, and had voluntarily started. Thir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found out not to have much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tarting age and duration. However, students who have started on their own will showed higher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ignificant sub factors included self-acceptance, positive personal relations, and autonom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large number of students have started taking private music education since early childhood mostly on their own will. Next are some suggestions for music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fact that students showed higher interest in music when have started taking private lessons earlier and longer in time implies that we need to provide consistent musical experience to students from early childhood. The importance of early music education has already been much studied, thus this study and further researches must be done to establish systematic and high in quality music program in schools, private institutes, and cultural centers to not only promote music interest but also give positive influ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of students. Second, a majority of students had started private music education to learn music themselves and took classes in accompaniment. This shows that quite a number of students are eager to learn music which leads to our effort in forming music programs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and help them internalize and value music by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with enthusiasm. This study has grasped the current stat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experience in private music education, and have suggested ways for music education by understanding the effect of music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rivate lesson. Hence, it is our task to be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music education and contribute in developing the positive aspects for a better musical education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