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7 Download: 0

음악대학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 조사

Title
음악대학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 조사
Other Titles
Survey 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of Music College Students
Authors
차혜윤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석문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usic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n their major and career path in depth. To discuss the problems, in 11 music colleges – 189 students were sampled 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of music college student, and out of the 189 students 5 students were interviewed in depth and was collected. Total 62 questionnaires were consisted of questions on personal character, career ,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In order to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ss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Among career path inquiry, answers of essay questions were classified by its category and were qualitatively analyzed. Interview questions were made under thesis advisor’s guidance and were consisted of questions on personal, major relation, and career relation.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were translated in text. The contents of interview conten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nd categorized. The summary of the thesis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out of the 5 sub factors - “curriculum”, “interpersonal relation”, “general interest in major”, “department perception”, “college perception”- on major satisfaction of music college students, the most satisfying factor shown was “curriculum” but “college perception” and “department perception” were the least satisfying factors. Second, out of the 5 sub factors - “decisiveness”, “confidence”, “planning”, “independence”, “preferred occupational group” - on career path maturity of music college students, “independence” was shown as the highest factor but “decisiveness” as the lowest factor. Third, the correlation of music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was shown as r=.505. As the correlation were examined in detail, each sub factor withi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was closely related under each factor but the correlation result shown between one’s sub factors and the other’s were not much related. The most related sub-factor in major satisfaction was “department perception(r=.867)” and the most related sub factors in career maturity were “planning (r=.757)”and “preferred occupational group(r=.757)”, Between sub factors in both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interpersonal relation” under major satisfaction and “decisiveness”under career maturity were shown most related(r=.495). Fourth, Along the open essay question, questionnaire and interview, career related answers can be classified into “problem related to career”and “concrete career plan”, Problems that music college students perceived in career path were mostly “instability of employment” because of a limited number of jobs and “financial side(economic burden, unstabled income)”, “personal capability”, “whether successful”etc. were followed. For the specific career plan, “study abroad”was most responded and many responded “have not planned yet specifically”, To major related “difficulty of college life” questions, responds were shown “needs of facilities maintenance (rooms for practicing, properly tuned piano etc.)”, “curriculum”, “career path counseling”, “interpersonal relation”, “lack of personal practice time” etc. This study used existing major satisfaction questionnaires and career maturity tests which were evaluated and revised to music college students. In regard to the matter, interviewing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of music college students and examining in depth were significant.;본 연구는 음악대학 학생들의 전공 및 진로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1개교의 음악대학 학생 189명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189명 중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한 설문지는 개인적 특성, 개인 진로관련 질문,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로 구성하였으며 총 62문항이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 교차분석,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을 하였다. 진로관련 질문 중 자유기술형(주관식) 문항의 응답은 범주화하여 분류하고, 이를 빈도분석 하였다. 심층면담 질문지는 지도교수의 지도아래 제작하였으며, 개별적 질문, 전공 관련 질문, 진로 관련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심층면담은 모든 내용을 녹음하여 전사하였으며, 전사내용을 범주화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대학 학생들의 전공만족은 ‘전공교과만족’, ‘교수-학생 관계만족’, ‘전공학문 관심과 만족’, ‘학과인식만족’, ‘학교인식만족’의 다섯 가지 하위요인 중 ‘전공교과만족’이 만족도가 가장 높은 요인으로 나났으며, ‘학교인식만족’과 ‘학과인식만족’이 가장 낮았다. 둘째, 음악대학 학생들의 진로성숙은 ‘결정성’, ‘확신성’, ‘계획성’, ‘독립성’, ‘선호하는 직업에 대한 지식’의 다섯 가지 하위요인 중 ‘독립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결정성’이 가장 낮았다. 셋째, 음악대학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는 r=.505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과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세부적으로 본 결과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 혹은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는 높았지만,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과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는 크게 높지 않았다.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은 학교인식만족과 학과인식만족의 상관관계(r=.867)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은 계획성과 선호직업지식의 상관관계(r=.757)가 가장 높게 나왔다.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과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의 상관관계는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교수-학생 관계만족과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 중 결정성의 상관관계(r=.495)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설문지의 자유기술형 문항과 심층면담에서 ‘진로’에 대한 응답은 진로관련 문제점과 구체적 진로계획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음악대학 학생들이 인식하는 진로와 관련한 문제점은 한정된 직업에 따른 취업의 불안정성이 가장 많았고, 경제적 측면(경제적 부담, 불안정한 수입), 본인의 실력, 성공여부 등이다. 구체적 진로계획으로는 해외유학이 가장 많았고, 아직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는 응답도 많이 나타났다. 전공에 대한 응답 중 ‘대학생활의 어려움’에 관한 응답은 시설보수필요(연습실, 피아노 조율 등), 커리큘럼, 진로상담, 교수-학생 관계, 개인연습시간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전공만족도 질문지와 진로성숙도 측정도구를 음악대학 학생들에게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음악대학 학생들의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를 심층적으로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