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음악교사의 교수유형이 중학생의 음악흥미에 미치는 영향

Title
음악교사의 교수유형이 중학생의 음악흥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n Influence of Music Teachers’Teaching Styles on Music Interest of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정유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근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making students participate in music class and activities with positive music value and attitude by researching the influence of teaching behaviors which is deciding quality of education on music interest of learner and effectiveness of student-aware teaching styles toward music interes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129 students attending two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measure variables of this study. It was consisted of student-aware ‘teaching styles’ and ‘music interest’ scale. All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The abstract and discus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from analyzing a cogniz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teaching behaviors of music teacher, leads to that most of the students admit teacher-directed teaching style rather than students-directed teaching style. This result infers that it is hard to change curriculum due to obstacles such as the education solely focusing on college entrance exams and the pressure of nation-oriented standard curriculum. Secondly, the result of musical interest of middle school students shows that an average of whole music interest is 3.17 and its sub dimensions are‘music interest’, ‘music attitude’, ‘music value’ in descending order. The descending order shows that three components of music interest are hierarchical and the hierarchy reflects internalizing process of music interest. Thirdly, the result of teaching style of music teachers between music interest of students conduct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style and music interest among whole and partial sub dimensions. So, these consequences indicate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style of music teachers and music interest of students. Fourthl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hich teacher-directed teaching style affects more to music interest of students presents prevailing student-directed teaching style could not be perfect for educational environment in Korea. But when a reform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 work properly, student-directed teaching style will get truly achievement. Consequently, a lecture balancing between student-direct and teacher-directed teaching style would be a effective music class, not choosing whether student-directed or teacher-directed teaching style. By this method, music teachers need to guide students to have music interest, positive posture and a internalized music value.;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교수행동이 학습자의 음악흥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 봄으로써, 학생에 의해 지각된 음악교사의 교수유형의 효과성과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음악교사의 교수유형과 중학생의 음악흥미를 변인으로 설정한 후, 각각의 변인들 간의 관계 및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 3학년과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 1학년 남녀 129명을 대상으로 자기평가 기입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학생이 지각하는 ‘음악교사의 교수행동’과 ‘음악흥미’의 두 가지 영역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도출된 본 연구결과의 요약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사의 교수행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음악교사의 교수유형을 학생 주도적 유형보다 교사 주도적 유형으로 더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은 학생 주도적 교육활동을 진행하기에는 교육적인 환경이 갖춰지지 않았고(김지영, 2009), 입시로 인한 주요과목의 치중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수업시수가 적게 편성되어 있기 때문에 교사들이 재량적으로 교과과정을 재구성하거나 학습자들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등을 함양시킬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천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보인다(강인애, 주현재, 2009). 즉, 학습자 중심 교육이 본래의 의미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교사 주도적 교수·학습이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한 중학생들의 음악흥미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체 음악흥미도의 평균 점수는 3.17점이었으며, 각 하위요인은 ‘음악흥미’, ‘음악태도’, ‘음악가치’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전체 음악흥미도는 하위 음악흥미, 태도, 가치의 순서로 위계적으로 구성되는데, 음악흥미와 태도의 평균은 중간값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음악가치의 평균은 중간값 이하로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음악흥미가 음악태도와 가치로 발전되지 않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의 음악에 대한 흥미유발에 그치지 않고, 이를 음악 활동에의 참여, 그리고 일관성 있게 음악을 옹호하는 정의적인 태도로 연계시킴으로서 음악에 대한 가치를 내면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음악교사의 교수유형과 중학생의 음악흥미의 관계를 상관분석과 다중회귀 분석한 결과, 음악교수유형과 전체 음악흥미도는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음악교사의 교수유형과 학생의 음악흥미 간에는 관련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음악교사의 교수행동을 통해 학생의 음악흥미를 유발하여 음악에 대한 학습동기와 수업에의 참여를 장려해야 한다. 넷째, 두 음악교수유형과 학생의 음악흥미 관계를 비교한 결과, 학생 주도적 교수방법이 효과적이라는 최근 교수법의 동향과 달리, 두 음악교수유형과 음악흥미의 관련성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오히려 학생 주도적 교수유형보다 교사 주도적 교수유형이 전체 음악흥미도와의 관련성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 중심 교육은 학생이 학습의 주체가 되어 스스로 학습의 전 과정을 계획하고 전개하며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데, 교사와 학생의 적극적인 태도와 실천의지의 부족으로 인해 학습자 중심 교육의 실효성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강인애, 주현재, 2009). 결과적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표방하고 있는 학습자 중심 교육이 아직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 및 실행되고 있지 않으며, 이는 교사들과 학생들이 기존의 강의법 수업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학습자 중심 교육이 현장에서 그 본래의 의미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의 행정담당자와 동료교사 그리고 사회와 정부의 상호보완적인 지원 및 협력 체제의 구성이 전제되어야 하며,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을 통해 교사의 역할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개선을 통하여 참된 의미의 학습자 중심 교육을 실현하여 학생들의 음악흥미를 유발하고, 긍정적인 음악적 태도와 가치 함양으로의 연계를 통해 음악에 대한 정의적 태도가 내면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