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경아-
dc.contributor.author박진영-
dc.creator박진영-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30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3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91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919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68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연구를 통해 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명시적·암묵적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명시적·암묵적 자존감이 낮은 한부모 가정 아동의 미술작업을 통해 얻은 시각적 결과물을 매개로, 본 연구자와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명시적·암묵적 자존감이 낮은 한부모 가정 학령기 아동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2016년 4월 15일부터 2016년 10월 25일까지 주1회 회기당 60분씩, 사전·사후 검사를 제외하고 총 19회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명시적 자존감으로 Rosenberg(1965)의 자존감척도와 암묵적 자존감으로 Nuttin(1985)의 이름철자 선호(NLT)척도를 양적자료로 사용하여 사전·사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회기별 질적 분석하고, 동적 가족화(KFD)와 빗속의 사람그림(PITR)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고 질적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부정적인 인지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명시적 자존감을 향상시켰다. 둘째, 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에게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들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도록 도움으로써 암묵적 자존감을 향상시켰다. 셋째, 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명시적·암묵적 자존감을 향상시켜 줌으로써 정서와 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해 개인미술치료가 한부모 가정 아동의 명시적·암묵적 자존감을 향상시켜 정서 및 행동문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정서 및 사회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명시적·암묵적 자존감이 낮은 한부모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개인미술치료를 실시한 본 사례연구가 향후 아동의 명시적·암묵적 자존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임상현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길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actically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of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y through case studies. To do so, a measure was made to make enough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ased on the visual results of the art programs of the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y, a lack of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with the researcher. The art therapy programs whose subjects were school age children, a lack of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in single-parent family were held 19 times once weekly for 60 minutes from April 15th to October 25th in 2016 and pre, post-test were excluded. This study used The Rosenberg`s Self-Esteem Scale (1965) test to determine explicit self-esteem of the participants, The Name Letter Task (Nuttin, 1985) test to determine implicit self-esteem of the participants for quantitative data and pre, post-test was held to make a comparison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each session were held as well and pre, post-tests of Kinetic Family Drawing(KFD) and Person In The Rain(PITR) for qualitative analysis and the results of all are as follows. First, cognition of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y changed from negative to positive and explicit self-esteem of the participants was improved through the art therapy. Second, implicit self-esteem of the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y positively changed by repeated exposure to positive experiences related to themselves through the art therapy. Third, improvement of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by the art therapy positively influenced conduct and emotion of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of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y can be positively influenced by personal art therapy program so it can be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their emotional and social health. Thus, the case study of the personal art therapy aimed at children, a lack of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in single-parent family suggests that it would be a basic data in the art therapy field for improving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of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한 부모 가정 아동 5 B. 자아존중감 7 1. 명시적 자존감 7 2. 암묵적 자존감 8 3. 암묵적 자존감과 명시적 자존감의 관계 9 C. 한부모 가정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11 Ⅲ. 연구방법 15 A. 사례연구 15 B. 연구 참여자 15 1. 연구 참여자의 특징 16 2. 발달사 및 가족사항 17 3. 주 호소 문제 17 C. 자료수집 19 1. 양적자료 20 2. 질적자료 21 D. 자료분석 23 E. 연구 참여자의 윤리적 고려 24 F.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24 Ⅳ. 연구결과 26 A. 명시적암묵적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26 B. 미술치료 진행과정 및 분석 29 C. 그림검사 결과 분석 64 D. 종합분석 68 Ⅴ. 결론 및 제언 74 참고문헌 77 부록1. 연구 동의서 86 부록2. 명시적 자존감: 로젠버그 자존감검사 87 부록3. 암묵적 자존감: 이름철자 선호검사(NLT) 88 부록4. 미술치료 프로그램 89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097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한부모 가정 아동의 명시적·암묵적 자존감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ingle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of child in single-parent family-
dc.format.pagev, 91 p.-
dc.contributor.examiner강애란-
dc.contributor.examiner임하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