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영찬-
dc.contributor.author이윤주-
dc.creator이윤주-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01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01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9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95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485-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학생들이 생각하는 전통시대 여성상은 조선 후기에 형성된 것으로 '순종, 종속, 소극' 등으로 단순 포괄적이게 이해되고 있다. 이 때문에 고려여성은 성리학 도입·정착 이후 조선후기의 여성상에 매몰되어 그 특수성이 주목받지 못했다. 2009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사』 고려시대 영역 성취기준에서 직접적으로 '여성의 지위'에 대해 명시되어 있어 출간된 8종의 교과서 모두에 '고려여성'에 대한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고려 여성지위의 바탕이 되는 친족제도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고, 다른 시대와의 연속선상 위에서 알 수 있는 부분 또한 찾기 힘들다. 우리나라 여성사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가지는 고려시대 여성의 지위가 왜 높았는지에 대한 것과 이후 시대와의 연결성이 함께 서술되지 못함으로써 전통적인 여성상에 대한 생각을 조선 후기 이후의 시기에 묶어 놓은 결과를 초래하게 된 것이다. 고려시대 여성과 가족에 대한 자료는 소수의 단편적인 사례나 고려 중·후기 호적과 가족관계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어서, 당시 현상을 알기는 쉽지 않지만, 비유교적 사회 여건 속에서 개방성과 주체성을 가지고 있었고, 서류부가혼(壻留婦家婚)의 사회에서 일정한 지위를 누리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고등학교 『한국사』 영역 고려시대 성취기준인 고려시대 여성의 지위에 중점을 두고 현행 교과서에 다뤄지지 못한 친족관계 부분을 보완함과 함께, 이후 시대와의 연계성을 살려 '고려시대 여성의 지위 수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크게 세 단계로 전개된다. 일단 고등학교 『한국사』의 분석과 수업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게 위해 고려시대 여성사에 대한 선행연구를 '친족제도', '혼인', '가족 內 여성의 지위'로 구분하여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2009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다음 단계로는 위의 검토내용을 토대로 현재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8종의 모든 고등학교 『한국사』 의 고려시대 여성 서술부분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8종의 교과서 모두 고려여성에 대해 지위가 높았다는 단편적인 서술만이 주를 이뤘다. 서술 분량의 차이와 방식이 모두 제각각 이었지만 공통적으로 나타난 것은 고려여성의 지위가 왜 높았는가에 대한 서술이 전무했고, 이후 시대와의 연결성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여 교과서 서술의 부족한 점을 보완할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사』교과서 속에 서술되지 않은 친족제도가 고려여성의 지위의 바탕이 되었다는 것과, 우리가 알고 있는 전통시대 여성상이 주로 조선후기의 것이라는 것을 중점으로 하여, 기존 교과서에 서술된 내용과 함께 여성지위의 바탕이 되는 친족제도 부분을 보완하여 활동지와 함께 수업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고려시대 여성이 가졌던 그들의 지위와 생활을 찾아 되새겨보면서, 성리학적 규범에 갇혀있던 전통적인 여성상의 관념에서 벗어나 현재 여성의 삶과 미래의 여성의 삶에 대해 학생들이 좀 더 깊이 고찰 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기를 바란다.;The traditional image of women that is familiar to today's students had its roots form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Women are simply and generally understood to be "obedient, subordinate, and passive." For this reason, the characteristics of Koryo women were obscured by the typified image of women form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which occurred after Sung Confucianism was introduced and established.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component of "Korean history," revised in 2009, "women's status" is clearly includ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Koryo Dynasty area, and thus all eight textbooks include content that describes "Koryo Women." However, the explanation of the kinship system, which is the foundation of Koryo women's status, is not adequate; it is hard to find any aspect of women's status that can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at of later era. The reasons why women of the Koryo Dynasty occupied an elevated status, which is considered an important period in Korean women's history, are not adequately explained in connection with the later period. Consequently, the traditional characterization of women is tied primarily to the post-Chosun period. It is not easy to know what women's lives were like during the Koryo Dynasty, because data about women and family life in the Koryo period derives mostly from a few fragmentary examples or data related to Koryo's middle and late family registers and family relations. However, it is safe to say that women enjoyed openness and autonomy in a non-Confucian social atmosphere and benefitted from stable social status in the society of the marriage custom called "Seo-ryu-bu-ga marriage (壻留婦家婚)", according to which the newly married husband lives in a small house in his wife's home. This paper aims to identify a teaching plan to articulate the "status of women in the Koryo period" by supplementing descriptions of the kinship relation component― which is not addressed in the current textbooks―and articulating its connections to the later era. This discussion focuses on the status of women during the Koryo period, which is the achievement standard set out for the Koryo era in the high school "Korean history" area. This paper is developed in the following three stages. First, in order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high school "Korean history" syllabus and identifying strategies for improving teaching, I examined existing studies on women’s history during the Koryo Dynasty under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kinship system, marriage, and the status of women in the family." Based on this research, I analyzed the high school curriculum component that addressed "Korean history," as revised in 2009. In the second stage, based on the above review, I analyzed the "Korean history" content presented in the eight high school texts that describe Koryo wome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evant textbook material, only the fragmentary and simple statements that the status of Koryo women was high were found. While high school textbooks make use of different descriptions and methods, as a whole, the textbooks commonly neglect to explain why the status of women in Koryo Dynasy was so elevated. Those texts also fail to articulate any connections between this and the later eras. Taking these elements into consideration, in the third stage, I proposed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current textbook materials. I have supplemented the basic kinship system, which is the foundation upon which women’s status was built, and linked this with the content of existing textbooks. I have also tried to find teaching plans with activity sheets. In this process, I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kinship system—not currently described in "Korean history" textbooks—was the foundation of Koryo women's status a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women familiar to us are primarily associated with the late Chosun period. Through this study, I hope to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think more deeply about the current and future lives of women, while also reflecting on Koryo women's status and lives. I hope to exp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ventional depictions of traditional women, conventions that were restricted by the imposition of Sung Confucian nor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를 위한 기본적 검토 5 A. 고려 여성의 지위에 대한 선행 연구 5 1. 친족관계 5 2. 혼인 8 3. 가족 內 여성의 지위 12 B. 2009개정 고등학교 『한국사』교육과정 분석 13 1. 고등학교 『한국사』의 교육 목표 13 2. 고등학교 『한국사』의 내용체계 및 영역별 내용 14 Ⅲ. 고등학교『한국사』의 고려시대 여성사 내용분석 16 A. 단원 및 본문 서술 분석 16 B. 학습자료, 과제 및 기타 관련분석 24 Ⅳ. 수업 기획 및 설계 26 A. 교수학습지도안의 제작 26 B. 활동지의 제작 37 Ⅴ. 결론 및 논의 42 참고문헌 45 부록 48 ABSTRACT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15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고등학교 『한국사』의 고려시대 여성의 지위 수업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the Teaching Plan for the Status of Women of the Koryo Dynasty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dc.format.pagev, 61 p.-
dc.contributor.examiner오영찬-
dc.contributor.examiner차미희-
dc.contributor.examiner노대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