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7 Download: 0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내용의 구체화를 위한 연구

Title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내용의 구체화를 위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Authors
임현성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내용의 구체화를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우선, 사회정의에 관련된 실제적인 수학교육의 주제를 찾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이에 따른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반영이 되어있는지, 또 반영되어 있다면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사회정의에 관련된 실제적인 수학교육의 주제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2. 사회 정의적 관점이 수학교육에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가? 2-1.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가? 2-2. 2009 개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사회정의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와 국내․외로 연구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의 포괄적인 내용들을 바탕으로 사회정의에 관련된 구체적인 사례에 가까운 실제적인 주제를 찾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이에 따른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를 분석하여 반영 정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5가지의 사회정의에 관련된 실제적인 수학교육의 주제 및 내용을 선정하였다. 민주적 선거 방법에 대한 교육과 특권 의식을 배제시키고, 분배를 공평히 하며 비민주적 권위주의를 타파하기 위한 민주적 회의 진행법 교육이다. 그리고, (비)물질적 배려와 이해 및 도덕에 대한 교육과 업무 성실성 및 인내심과 책임감 등의 직업윤리에 대한 교육이다. 마지막으로 현대적 지식 및 기구의 인본주의적 활용에 대한 교육이다. 둘째, 사회정의에 관련된 실제적인 수학교육의 주제 및 내용이 현행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이에 따른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반영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교육과정에서는 전반적으로 사회정의와 관련된 내용들이 찾아보기 어려웠다. 특권 의식을 배제 시키고, 분배를 공평히 하며, 비민주적 권위주의를 타파하기 위한 민주적 회의 진행법 교육의 주제에 해당되는 내용만이 교육․학습 방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전반적인 교육과정에서의 일반적인 진술 속에서 사회정의와 관련된 내용의 직접적인 언급을 찾기 어려워 교육과정의 내용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반영되어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을 실현할 수 있을지에 대해 명확히 알 수 없었다. 다음으로 교과서에서는 사회정의와 관련된 내용들이 매우 적게 구성되어 있고 특정 주제들만 매우 비중 있게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총 8종의 교과서에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과 관련된 자료가 총 45개 산출되었다. 특권 의식을 배제 시키고, 분배를 공평히 하며, 비민주적 권위주의를 타파하기 위한 민주적 회의 진행법 교육과 관련된 문항이 31개(68.9%)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비)물질적 배려와 이해 및 도덕에 대한 교육과 관련된 문항은 11개(24.4%)이고, 현대적 지식 및 기구의 인본주의적 활용에 대한 교육과 관련된 문항은 2개(4.4%)이며, 민주적 선거 방법에 대한 교육과 관련된 문항은 1개(2.2%)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업윤리에 대한 교육과 관련된 문항은 0개(0.0%)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교과서에 사회정의와 관련된 내용들이 반영되어 있지만 극히 적었으며 특정 주제만 비중 있게 다루고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수학교육에서 사회정의를 위한 교육을 위해 본 연구자가 제안한 5가지 주제들이 구체적인 지침으로 활용되어 교과서의 집필 기준이나 교육과정의 내용에 반영되길 바란다. 아울러 교사들이 학교현장에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을 실질적으로 다룰 수 있게 교사용 지도서에도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사회정의를 위한 교육에서 수학교육의 역할이 확대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사회정의에 관련된 실제적인 수학교육의 주제들을 제안하였지만 일부 누락될 우려가 있어 현재 제시된 주제 외에 추가로 후속 연구를 통해 사회정의에 관련된 주제들을 더 발굴해 나갔으면 한다. 셋째, 학교현장에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 수업이 실현되기 위해서 교사의 신념이나 기대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재인식, 교사의 전문성 개발과 교사 교육을 위해 수학교육 관련 연구진들은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과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깊이 있는 문헌 연구 및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삶에 보다 의미 있게 접근하기 위해 실제 학생들이 겪는 삶 속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바탕으로 한 학습 소재와 수업 설계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수학 수업 사례 연구가 필요하며, 사회적 정의 관점을 반영하여 수업을 실천하는 수학 교사들의 숨겨진 사례를 발굴하여 사례 연구할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mbody the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To this end, first, find the actual subject of mathematics education related to social justice and based on this, I will examine how it is reflected i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The major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What is the actual subject of mathematics education related to social justice? Research problem 2. How much is the social justice perspective reflected in mathematics education? 2-1. How much is reflected i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2-2. How much is reflected in the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2009 revision? To solve research problems, first, based on the comprehensive viewpoint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social justice that has been studied both of home and abroad, I have looked for a practical subject that is close to the specific case related to social justice. Based on this, I analyzed the curriculum of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and contents of practical mathematics education related to the five social justice were selected. Education on democratic election methods, and education on democratic conference proceedings to exclude privilege awareness, to make the distribution fair and to break down non-democratic authoritarianism. And, education on (non)material consideration, understanding and morality, and education about work ethics such as work integrity, patience and responsibility. Finally, education on the humanistic use of modern knowledge and instrument. Second, I examined how the subject and contents of actual mathematics education related to social justice are reflected in the current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First, in the curriculum, it was difficult to find contents related to social justice entirely. Onl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opic of democratic congress proceeding education for excluding privilege consciousness, fairness of distribution and democratic authoritarianism could be confirmed in the education and learning method. It is difficult to find a direct reference to the contents related to social justice in general statements in the overall curriculum, so it is unclear as to how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re reflected in concrete ways to realize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Next, in the textbooks,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social justice are very small, and only specific topics are treated very heavily. A total of 45 data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were calculated in 8 kinds of textbooks. 31 items (68.9%) were the most frequent items related to democratic congressional education to exclude privilege rituals, to equalize distribution, and to overcome undemocratic authoritarianism. Next, there were 11 (24.4%) questions related to (non)material consideration, understanding and moral education, and 2 (4.4%) questions related to the humanistic use of modern knowledge and institutions, 1 item (2.2%) related to education about election method appeared. Finally, there were 0 (0.0%) items related to education on job ethics. Although textbooks reflect social justice, they were extremely few and covered only specific topic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First, I hope that the five topics proposed by the researcher will be used as concrete guidelines for the education of social justice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reflected in the textbook writing standards and curriculum contents.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hat teachers should be reflected in the teacher's guidebook so that they can deal with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in school practically. Second, I hope to help expand the role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I have proposed some practical topics of mathematics education related to social justice.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of missing some parts. In addition to the present topics, I would like to find more related topics. Third, Teachers' beliefs and expectation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achieving mathematics instruction for social justice at school. Therefore, for the re-recognition of teachers on social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the education of teacher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ers need to continuously develop in-depth literature and teach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Fourth, In order to gain a more meaningful approach of students' lives through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a case study of continuous mathematics teaching on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and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the phenomenon in actual students' lives is needed. It is necessary to find out hidden cases of mathematics teachers who practice class by reflecting their perspectives and to do case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