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순희-
dc.contributor.author이수빈-
dc.creator이수빈-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6:58Z-
dc.date.available2018-04-04T11:56:58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8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85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46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영상 매체를 활용하여 공감화법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공감하는 듣기·말하기는 의사소통의 질을 높여주어 더욱 효과적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타인과의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에도 영향을 주며, 조화로운 공동체를 형성해 가는 데 도움을 주는 화법이다. 본 연구는 공감화법이 소통의 문제 차원을 넘어 개인 삶의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개념이라는 점에서 이를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화법 교육 내의 공감화법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며 공감화법의 개념과 그 중요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방법으로 매체를 활용할 것을 주장한다. 매체는 정보 통신의 발달과 함께 우리의 삶에서 분리될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 하지만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매체의 영향력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 반해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매체를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들의 자발적인 학습 참여와 학습 동기 유발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활용도가 높다. 특히 언어적 요소에 못지않게 비언어적 요소의 역할이 강조되는 공감화법에서는 시각과 청각적 자극이 복합적으로 전달되는 영상 매체를 활용하는 것을 통해 학습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자료는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와 다큐프라임 '우리 엄마가 달라졌어요.'를 선정하였다. 이는 갈등을 겪고 있는 출연자들이 대화를 하며 갈등을 대처하는 방식에 따라 어떠한 결과가 도출되는지를 효과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 점, 영화나 드라마 같은 허구의 이야기가 아닌 실제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언어의 실제성을 충족시켜 줄 수 있다는 점, 영상자료라는 특성에 기인하여 언어적 및 비언어적 요소를 함께 살펴보며 공감화법에 관한 구체적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자료로 선정되었다. 이 영상자료와 교과서를 함께 살펴보며 현재 교육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모형을 제안한다. Ⅱ장에서는 공감의 개념과 성격에 대한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여러 분야에서 다룬 공감의 특성에 관해 다방면에서 살펴보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공감화법의 성격과 요소를 재정의한다. 공감화법의 핵심이 되는 성격은 1인칭 '나'의 측면, 2인칭 '우리'의 측면, 3인칭 '사회'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자기노출성', '관계지향성', '친사회성'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공감화법의 요소로 언어적 요소는 이창덕(2000), 정상섭(2005), 박재현(2013)의 연구를 참조하여 재분류한 후 '소극적 공감하기', '적극적 공감하기'로 범주화한다. 마지막으로는 현재 출판된 14종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서의 공감화법 단원을 분석해 보며 장점과 개선점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리한 '소극적 공감하기'에는 '격려하기', '경청하기'가 있으며 '적극적 공감하기'에는 '재진술하기', '반영하기', '재구성하기'가 있다. 비언어적 요소는 Chaney & Burk(Chaney & Burk, 1998; 박재현, 2013:65 재인용)의 분류를 활용하여 '열린 행위'와 '닫힌 행위'로 나누었다. Ⅱ장에 다룬 바는 Ⅲ장에서의 대화 분석 및 Ⅳ장에서의 구체적인 교육 모형을 추출하는데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Ⅲ장에서는 예능 프로그램인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와 다큐프라임 '우리 엄마가 달라졌어요.'의 대화를 대화분석법을 통해 내용을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비공감대화의 유형을 '자기중심적 말하기', '강압적·명령조 말하기', '거절하는 말하기', '단절의 말하기'로 분류하였으며 공감대화의 유형을 '격려하기', '경청하기', '재진술하기', '반영하기', '재구성하기'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그 후 대화 방식에 따른 인물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며 공감대화를 나누었을 때 갈등과 대화의 단절을 해소하고 상대방의 생각과 감정에 대해 수용하려는 태도로의 변화가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Ⅱ장에서 다뤘던 교과서 현행 중학교 국어 교과서 14종을 분석에서 발견한 보완점을 바탕으로 하여 공감화법 교육의 방향과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공감화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의 방향으로는 첫째, 자기노출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수업, 둘째, 상황·맥락의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수업, 셋째, '듣기·말하기 내용에 관한 분석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공감화법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의 모형으로는 '말하기 경험 자극하기', '담화 분석 활동하기', '절차적 지식 정리하기', '전략 탐색 및 적용하기', '정리하기'의 순으로 수업이 진행 되도록 구안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학습 모형은 화법에 있어서의 상호교섭성과 학습자의 능동적 화법 수행 경험을 추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구안되었다. 또한 기존의 공감화법 교육이 언어적 요소에 초점이 맞추어 수행된다는 한계점을 보완하고 듣기·말하기의 균형을 맞춘 화법 수업을 지향하기 위해 영상 매체를 활용한 공감화법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함을 논의한다. 공감화법은 상대방의 입장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이해하려 노력하는 듣기·말하기로 사람의 마음을 열게 하고 정서적 친밀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상호간의 긍정적 관계를 맺는 데 도움을 준다. 현대인이 직면한 '인간 소외', '소통의 부재' 등의 사회적 문제점들을 해소하는 데 있어서 공감적 듣기·말하기에 대한 성찰과 탐구는 진정한 소통을 가능케 하고 건강한 인간관계를 기반으로 한 긍정적 가치관을 지닐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ive ways to teach empathic expression by utilizing video media. Empathizing listening and speaking not only helps to improve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but also affects the formation of desirabl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helps to form harmonious communities. A new educational model that can effectively teach the empathizing method was viewed to be essential because it is an important concept that has an effect on the domain of personal life beyond the communication problem. For this purpose, the studies of empathic expression in narrative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concept of empathy and its importance were explored. This study also insists on using media as a way to educate them effectively. The media has become necessary in our lives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contrast to the fact that media influence keeps increasing, there is a lack of concrete research on how to use it educationally. The use of media is highly utilized because it can positively affect learners' participation in voluntary learning and motivation to learn. Teaching students by using media has high availability in that it positively leads students to participate in voluntary learning and to motivate. The effect of learning is able to be much more enhanced by utilizing a visual medium in which visual and auditory stimuli work complexly, especially, in the empathic method in which the role of non-verbal elements is emphasized as well as the linguistic element. Research objects were 'Same Bed, Different Dreams, That's alright, That's alright.' and 'My mother has changed'. These materials were chosen in that it was possible to effectively see how the results come out according to the way in which participants in conflict with each other had a conversation and resolved the problems, in that it could show realistic language since it was not a fictional story such as a movie or a drama but a real story of ordinary people around us, in that it was able to see the specific analyzing of empathic expression exploring linguistic and non-verbal elemen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image data.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 new specific educational model to compensate the limitation of current education by looking through video and textbook. In chapter Ⅱ,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and nature of empathy were reconsidered, and the nature and elements of empathic speech were redefin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mpathy from various field. The gist of empathic speech was organized as 'the tendency of self-exposure', 'relationship orientation', and 'pro-sociality', respectively, focusing on aspects of first person 'I', second person 'us', and third person 'society'. In addition, the linguistic factors as elements of empathic speech were categorized as 'passively empathizing' and 'aggressively empathizing' after reclassifying by referring to the research of Changduk Lee(2000), Seongseop Seong(2005) and Jaehyun Park(2013). Finally, the merits and improvements of the empathic speech unit in the 14 Korean middle school textbooks was analyzed. There were 'encouragement' and 'listening with attention' as 'passively empathizing' and there were 'reaffirmation', 'reflection', and 'reconstruction' as 'aggressively empathizing'. Non-verbal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open action' and 'closed action', using the classification of Chaney & Burk (Chaney & Burk, 1998; as cited in Jeahyun Park, 2013:65) for the theoretical foundation in order to analysis the dialogue in Chapter III and to form the particular educational model in Chapter IV. In Chapter III, the content were selected and studied by analyzing the dialogue of SBS's Program, 'Same Bed, Different Dreams, That's alright, That's alright.' and 'My mother has changed.' The types of non-empathy dialogues were divided as 'self-centered speaking', 'speaking in a commanding and controlling tone', 'speaking of rejection', and 'speaking of disconnection'. The type of empathy dialogue was 'encouraging', 'listening with attention', 'reaffirmation', 'reflection', and 'reconstruction'. Following that,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of the person's attitude according to the conversation style, and when the conversation of empathy was carried out, there was the change to the attitude of accepting the other person' s thoughts and feelings occurred. In chapter Ⅳ, the direction and teaching model of empathic speech was suggested to compensate the defect in the analysis of 14 textbooks in current Korean middle school textbooks which was discussed in chapter Ⅱ. The directions of lesson in order to enhance the ability of empathic speech were suggested as follows: the first, the lesson that helps to improve self-exposure, the second, the lesson that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situation and context, and the third, the lesson that can offer the opportunity to analyze the contents of listening'. Finally, The model of lesson in order to enhance the ability of empathic speech was made in the order of 'stimulating speaking experience', 'analyzing discourse', 'arranging procedural knowledge', 'exploring and applying strategy', 'arranging'. The learning model designed in this study focused on the pursuit of interactive negotiation and the experience of learner's aggressive speech act. It was discussed that the empathic narrative lesson using video media was necessary for pursuing the speaking lesson which balanced listening and speaking an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empathic education method focusing on the linguistic elements. The empathic approach, which is the way of listening and speaking trying to understand the problem from the other's perspective, helps to establish a mutual positive relationship by opening the mind and feeling emotional intimacy. It also will enable true communication in solving social problems such as 'human alienation' and 'lack of communication' faced by modern people, and provide positive values ​​based on healthy relationship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연구 2 1. 영상 매체 활용을 통한 화법교육 연구 3 2. 공감화법 교육 연구 6 C. 연구 대상 및 방법 11 Ⅱ. 이론적 배경 15 A. 공감의 개념 15 B. 공감화법의 성격 및 요소 재범주화 18 1. 공감화법의 성격 19 2. 공감화법의 요소 24 C. 현행 교과서 내 공감화법 교육의 비판적 검토 30 Ⅲ. 영상 매체 대화 자료를 활용한 화법 양상 분석 40 A. 비공감대화 화법 양상 분석 40 B. 공감대화 화법 양상 분석 61 C. 대화 방식에 따른 관계 변화 분석 82 1. 공감대화 이후 인지적 인식의 변화 82 2. 공감대화 이후 정의적 행동의 변화 86 Ⅳ. 공감화법 수업 방향 및 수업 모형 제시 90 A. 공감화법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의 방향 93 1. 자기노출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수업 94 2. 상황맥락의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수업 95 3. 듣기말하기 내용에 관한 분석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 95 B. 공감화법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모형 제시 97 Ⅴ. 결론 105 참고문헌 109 부록1. 안면타당도 검사 114 ABSTRACT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11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영상 매체의 대화 자료를 활용한 공감화법 교육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ducational Method for Empathic Speech by Using the Conversation of Media Resources-
dc.format.pageviii, 122 p.-
dc.contributor.examiner서 혁-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김은성-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