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0 Download: 0

일상적 대화에서의 자기노출 화법 교육 방안

Title
일상적 대화에서의 자기노출 화법 교육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 plan for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in daily conversations : focusing on the dialogue analysis of reality entertainment programs
Authors
권희영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순희
Abstract
이 연구는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대화 자료를 분석하여 일상적 대화에서의 자기노출 화법의 양상을 살펴보고 학습자들이 적절한 자기노출 화법을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이룰 수 있도록 실제적인 자기노출 화법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상 대화에서 자기노출을 통해 상호작용이 자주 일어나는 만큼 자기노출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기노출 행위를 통해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타인과 자신의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자아를 찾으며 성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자기노출에 대한 중요성은 화법 교육에서도 이미 강조하고 있는 부분 중에 하나이다. 국어과 교육과정의 화법 영역을 살펴보면 대인관계의 발전 및 유지를 위해서 '자아를 노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기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자기표현은 타인에게 자신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것이다.'와 같이 제시하여 자기를 노출하는 행위가 필요하다고 계속해서 언급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합의된 용어가 없어서 통일성 없이 '자아노출', '자기표현'과 같은 용어들과 함께 혼돈되어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고찰한 후 자기노출 화법이 화법 교육에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개념과 원리를 재정립하였다. 자기노출의 개념을 '언어적·비언어적 수단을 통해 자신에 관한 정보를 의도적으로 드러내어 상대방과 공유하는 행위'라고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노출 화법의 층위를 '자기노출 표현의 층위', '노출 수용의 층위', '상호 교환의 층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 계층에서 준수되어야 할 규범으로 노출자에 따른 원리, 수용자에 따른 원리, 상호 간의 공유 행위를 위한 원리를 제시하였다. 이 원리에 따라 자기노출 화법이 화자와 청자의 역할에 맞게 잘 수행되어서 상호수용이 일치하고 의사소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적극적 자기노출 화법', 이와 반대로 나타나면 '소극적 자기노출 화법'으로 보았다. 또한 일상적 대화에서는 자기노출을 하는 목적에 따라 표현적 자기노출 화법과 관계적 자기노출 화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적극적·소극적 자기노출 화법은 이와 같이 목적에 따른 자기노출 화법에서 각각 나타난다. 예를 들어 화자가 자신의 의도에 맞게 발화하여 청자와 긍정적으로 공유가 이루어지면 그 의도에 따라 표현적·적극적 자기노출 화법 또는 관계적·적극적 자기노출 화법의 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이처럼 다양한 상황을 제시하기 위해서 대화 참여자의 관계를 친밀도의 수준이 낮거나 높은 상황으로 설정하였고 대화 참여자의 수에 따라 1:1의 대화와 다수의 대화로 나누었다. 이와 같이 네 가지의 상황에 따라 표현적 자기노출 화법의 적극적·소극적 자기노출 화법과 관계적 자기노출 화법의 적극적·소극적 자기노출 화법으로 구분하여 분석의 틀을 총 16가지의 유형으로 설계하였다. 이 유형에 따라 일상적 대화에서의 자기노출 화법이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대상은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인 '룸메이트 시즌2'와 '내 귀에 캔디', '삼시세끼 고창편'의 대화 자료로 선정하였다. 이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은 관계를 형성하고 소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사람과 사람이 처음 만나는 순간부터 시간이 흘러 친밀한 관계로 발전하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고 1:1 또는 3명 이상의 구성원이 대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대화의 주제는 대체로 일상에서 많이 언급되는 이성, 꿈, 직업, 음식 등과 같이 청소년들의 주요 관심사의 내용으로 대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대화 자료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선택하였으며, 이 프로그램에서 자기노출 화법이 드러나는 내용을 발췌하여 16가지의 유형에 맞게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자기노출 화법의 양상을 분석해 본 결과, 상황과 상대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자기노출 화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바람직한 자기노출 화법에서는 공통적으로 화자가 자기노출 행위를 할 때 명확하고 긍정적인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며 청자가 화자의 노출에 대해 호의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로 반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언어적 표현만으로 화자의 의도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을 경우 비언어적 표현이 화자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외에도 Ⅱ장에서 제시한 자기노출 화법의 원리에 따라 자신의 역할에 맞게 상호작용을 하였을 때 성공적인 자기노출 화법에 도달하는지 대화 자료의 상황 하나하나를 면밀히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자기노출 수준의 적절성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대화 분석을 바탕으로 자기노출 화법의 교수·학습 방향에 대해 제안을 하였다. 국어교육 측면에서 자기노출 화법이라는 개념이 확립되어야 하고, 자기노출 화법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학습자가 자기노출의 필요성과 자기노출 행위의 위험성을 이해하여 스스로 자기노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자기노출 화법 교육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상황의 맥락과 상대의 상태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여러 유형의 상황을 제시하여 자기노출 화법의 대화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자신의 자기노출 행위에 대한 점검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육 방향에 따라 자기노출 화법의 교육 목표를 제시하였고 자기노출 화법의 교육 내용에 대해 이해 과정과 적용 과정 그리고 태도를 위한 교육 내용으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시적 교수·학습 방법에 과제중심 모형을 적용하여 자기노출 화법의 교수·학습 모형을 새롭게 구안하였다. 이 모형은 '안내 - 자기노출 화법의 이해 - 실제 대화 활동 - 적용 및 평가'의 순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대화 분석 활동과 실제적 대화 활동이 있고 활동 전과 후로 자기점검을 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자기노출 화법'이라는 개념 자체가 아직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혼동된 용어로 연구되고 있는 부분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지금까지 국어교육에서 거의 다뤄지고 있지 않는 자기노출 화법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실제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2015 교육과정에 따라 현재 제작 중인 교과서에서 일상적 대화에서의 자기노출 화법에 관한 교육 내용이 적용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앞으로 자기노출 화법의 교육 체계가 잡혀서 학습자 스스로가 자기 점검할 수 있고 자기노출 수준의 적절성에 대한 판단력이 향상되어 대인관계가 발전할 수 있는 실제적인 교육 방안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alogue data of reality entertainment program and to examine the aspects of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in daily conversation. It also aims to provide learners with practical education plans for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so that they can successfully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with appropriate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Interactions through self-exposure in everyday life are as important as they often occur. Generally, people form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self-disclosure and share information with others. In this process, people grow up in search of self. Therefore, the importance of self-exposure is one of the areas that have already been emphasized in speech education. When exploring the speech area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 order to develop and mainta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necessity to 'expose self', 'be able to express oneself', and the statement of 'self-expression is to inform others about self' have been continuously mentioned. However, there is no agreed term, so a variety of terms such as 'self-disclosure' and 'self-expression' have been used without the sense of unity.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these problems and redefines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that can be positioned in speech education. The concept of self-exposition is defined as 'intentionally revealing information about oneself through linguistic and non-verbal means and sharing with others'. Based on this, the operational levels of self-disclosure dialogue method are classified into 'the level of self-exposure', 'the acceptance of exposure', and 'the level of interchange'. Moreover, the principles to be observed in each level are suggested as the principles according to the exposer, the principle according to the acceptor, and the principle for mutual sharing. According to this principle, 'the active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is designated when the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is performed well according to the role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with reciprocal acceptance and the communication is successful, while, 'the passive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is designated to the contrary case. Furthermore, daily conversation can be divided into expressive self-exposure and relational self-exposur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self-exposure, which can appear in the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according to such purposes respectively. For example, if a speaker speaks in accordance with his/her intention and is positively shared with a listener, it can be classified into expressive·active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or relational·active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according to the intention. In order to present such various situations, the relationship of the participants of the conversation is set to a low or high level of intimacy, and the conversations are divided into 1: 1 conversation and multiple conversations depending on the number of participants. Likewise, according to the four situations, the framework is classified into total 16 types: the active·passive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in terms of expressive self-exposure and the positive·negative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in terms of relational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In doing s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atterns of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in everyday conversa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selected as dialogue materials for the reality entertainment programs including "roommate season 2", "candy in my ears", and "3 times 3 meals: Gochang". Since reality entertainment programs show people living everyday life while forming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entire process from the moment of the first encounter of individuals to the establishment of intimate personal relationships, with 1:1 or multiple conversations more than three people.. In addition, the topic of the conversation is usually a dialogue with the contents of the youth's main interests, such as girls or boys, dreams, jobs, and meals, which are often mentioned in everyday life. For this reason, this study uses them as a dialogue material, selecting and extracting the contents of the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based on 16 types. As a result of analyzing aspects of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it was found that understanding of situations and conversation members is highly important in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In the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it is common that the speaker uses clear and positive expressions when performing desirable self-exposure and the listener responds to the speaker's exposure with a favorable and receptive attitude. Also, non-verbal expressions help understand the speaker's intention if the speaker's intention is not clearly revealed by linguistic expression alone. Moreover, this study conducts in-depth analysis for each situation of conversation materials whether the conversation participants reach a successful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when appropriately interacting each other with their given role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presented in chapter II. Based on the analysis of dialogue,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of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oncept of self-exposure should be established and its guidance is needed to comprehend the principles of self-exposure; the education for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should be adopted to lead learners to understand the necessity and risk of self-exposure educate self - disclosure method and independently adjust the method. It should also provide opportunities for analyzing the dialogue data of the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by presenting various types of situations so that the contexts of the situation and conversation participants can be understood. Above all, it is essential that the learners' own self-exposure behaviors are examined.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self –exposure dialogue metho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and divides the contents of the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into contents for understanding, application process and attitude. Based on this, a task-oriented model is implemented to the curr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is model is composed of "guidance - understanding of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 actual conversation activity - application and evaluation". The representative activities include conversation analysis activity and actual conversation activity, and self-check before and after the activity. Eventually,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at it discusses the concept of 'self-exposure' as a confused term, which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self-exposure, which is rarely discuss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provide practical education pla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pplication of the contents on the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in everyday conversations in the current textbook according to the 2015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future,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education system of self-exposure dialogue method can be settled in the education field so that the learners can check themselves and improve the judgments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the self-exposure level for enhanc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