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성-
dc.contributor.author서민영-
dc.creator서민영-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6:57Z-
dc.date.available2018-04-04T11:56:57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9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94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45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문장 부호와 관련한 교육과정의 분석을 토대로 하여 초중고 국어과 교과서에 나타난 문장 부호 교육 내용을 역사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문장 부호 교육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통신 매체의 발달로 인한 문자 언어 사용의 증가에 따라 문장 부호 사용도 함께 증가하였다. 또한, 통신 매체에서의 문장 부호는 기존의 형식과는 다른 다양한 형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통신 매체에서나 볼 수 있었던 이러한 문장 부호의 다양한 형태가 인쇄매체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바라보고 어떤 교육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의 일환으로 문장 부호 교육의 역사적 변천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고는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주목하였는데 이는 교육의 계획과 실천이라는 측면으로의 접근이다.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긴밀한 연관성을 갖는다. 그러나 문장 부호의 경우 한글 맞춤법의 부록이라는 특수한 위상으로 인해 한글 맞춤법 교육 내용에 포함되지 못하는 경우가 다수이다. 이에 본고는 2장에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에 주목하여 6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우선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 검토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당 교과서를 선별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육의 중심이 된 학교급을 기준으로 추출하여 초등학교 중심 교육 시기와 고등학교 중심 교육 시기로 나누었다. 또한, 2015년은 개정된 문장 부호가 적용되기 시작한 해이므로 이 시기를 기점으로 하여 개정 전과 후로 다시 분류하였다. 이상의 기준을 토대로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반영된 층위를 검토하였으며, 교육 내용이 제시된 방식과 교육 내용의 분류를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문장 부호 교육은 점차 축소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문장 부호가 초․중․고 전체에 활발히 교육된 것은 7차 교육과정이다. 중학교 생활국어와 고등학교 국어생활에도 문장 부호가 어느 정도의 비중을 지니고 제시되어 있다. 또한, 문장 부호 교육이 가장 내실 있게 잘 이루어진 교과서는 2007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고등학교 선택․심화 과목인 ‘독서와 문법’이다. 이 시기는 중등 교육과정 성취기준에서 유일하게 문장 부호를 명시하였으며, 중등 교과서에서 유일한 문장 부호 소단원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2009개정 교육과정 시기에는 성취기준의 축소로 인해 문장 부호 교육 또한 축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통해 유독 중학교 교과서에는 문장 부호 교육 제시 비율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문장 부호가 초등 저학년 학습자에게는 읽기와 쓰기의 기본 부호로 교육되지만 이후에는 고등학교 선택 ․ 심화 과정에서나 다루는 어려운, 혹은 가외의 것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장에서는 3장에서 검토된 결과를 분석하여 문장 부호 교육이 갖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문장 부호 교육의 개선을 위해서는 위계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개정이 시급하며, 타 영역과의 연계를 기반으로 한 통합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다. 그리고 학습자가 교육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생활문법을 지향해야 함을 제안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storically review the contents of punctuation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related to punctuation mark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effective punctuation mark education. Punctuation marks are often not included in Hangul spelling education contents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as Hangul spelling supplement. Therefore, Chapter 2 primarily examines the educational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from the sixth educational curriculum period to the 2009-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by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curriculums and textbooks. In chapter 3, this study classifies the school levels, the central points of education, into the elementary school-centered education period and the high school-centered education period. Also, since 2015 is the year in which the revised punctuation marks have been applied, the period is reclassified before and after revision. Based on the above criteria, the levels of the curriculum reflected in the textbook were examined, and the methods of teaching contents and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 contents were attempted. Chapter 4 presents the problems of punctuation mark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reviewed in Chapter 3. In order to improve punctuation mark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consideration of the systematical levels, and research on integrated education based on linkage with other areas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Moreover, it is suggested that daily grammar in which learners can be the agents of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Modern learners use punctuation marks frequently in various forms. In particular, recent learners who are exposed to communication media at a young age recognize and use punctuation marks as symbols for communicating with peers before recognizing them as nor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experiences to apply, explore, and establish knowledge and attitude by examining their language lives; school education should play a part in such proc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3 C. 연구 대상 및 방법 9 Ⅱ. 문장 부호 교육의 위상과 국어과 교육과정의 검토 12 A. 문장 부호 교육의 위상 및 가치 12 1. 문장 부호에 대한 기본 논의 12 2. 문장 부호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15 B.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문장 부호 교육 20 1. 국정 교과서 시기 20 2. 검정 교과서 시기 24 Ⅲ. 교과서에 나타난 문장 부호 교육의 역사적 변천 양상 분석 29 A. 교과서 분석의 기준과 틀 29 1. 문장 부호 교육 분석을 위한 기본 관점 설정 29 2. 교과서 분석 범위와 기준 설정 29 B. 교과서 분석을 통한 문장 부호 교육의 역사적 변천 연구 42 1. 교육 중점 학교 급에 따른 시기 구분과 역사적 변천 44 2. 규정 개정 전후에 따른 시기 구분과 역사적 변천 76 Ⅳ. 문장 부호 교육의 문제점 제시와 개선을 위한 제언 88 A.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의 문장 부호 교육의 문제점 88 1. 중등 교육과정에서의 문장 부호 제시의 낮은 비율 88 2. 학교급 별 균형 있는 문장 부호 교육의 부재 89 3. 문장 부호 규정의 변화에 대한 민감성 부족 90 B. 개선 방향 제안 90 1. 위계를 고려한 교육과정의 개정 91 2. 국어과 타 영역과의 연계를 통한 교수 방법 개발 93 3. 학습 환경의 변화를 반영한 생활 문법으로의 변화 96 Ⅴ. 결론 100 참고문헌 102 부록 107 ABSTRACT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246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문장 부호 교육의 역사적 변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Historical Transition of Punctuation mark Education : Focusing o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dc.format.pageviii, 118 p.-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서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