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4 Download: 0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 부모의 말더듬에 대한 고정관념,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 비교

Title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 부모의 말더듬에 대한 고정관념,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Stereotype toward Stuttering, Parenting Stress and Child-rearing Behavior of Stuttering Children’s Parents at Preschool Ages
Authors
국수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현섭
Abstract
Treatment of stuttering children in preschool ages mostly include parents’ participation. These days, not only speaking communication with parents is subject of interest, but overall family environment wher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occur such as child-rearing behaviors and discipline consistency is also the subject of interest.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mothers of stuttering children do not have confidence in nurturing, but get parental stress, and also tend to show more negative child-rearing behaviors. Such parenting stress of stuttering children’s parents are deemed as main element that affect the child-rearing behaviors and attitudes. Speech Language Therapists in the actual clinical settings assess mothers of stuttering children as showing inappropriate and inconsistent nurturing behaviors. Therapists perce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utteri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child-rearing behaviors of stuttering children’s parents as important factors related with stuttering, and the key to curing stuttering is to appropriately deal with these important factors. In other words, the type of attitudes parents treat their children have important influence on treatment of stuttering children. Thus, for effective indirect treatment for stuttering children, it may be important for the parents to provide consistent and favorable nurturing environment. To provide consistent nurturing environment to children, it can be important to check the stereotype parents of stuttering children have toward stuttering. If parents participating in indirect treatment of children have different levels of stereotype in stuttering, this may provide inconsist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If difference in level of stereotype of stuttering children’s parents towards stuttering provide inconsist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child-rearing behaviors, it is likely that the children’s stuttering may get worse. In this case, the partner who participates more actively in the indirect treatment gets more stressed, and this affects the child-rearing behaviors as well, worsening the children’s stuttering even more. So far, there has not been much studies on comparison of the parenting stress, child-rearing behaviors and stereotypes toward stuttering children between mothers and fathers of stuttering children.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go over the difference in the parenting stress, child-rearing behaviors of stuttering children’s parents, and stereotypes toward stuttering children between mothers and fathers in family environmen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 where preschool children spend most of the time, and we will use this as an effective material for educating stuttering children’s pare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surveys on parenting stress, child-rearing behaviors of stuttering children’s parents, and stereotypes toward stuttering children and case interview for 15 mothers and 15 fathers of stuttering children in preschool ages. Independent sample t – test was us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scores of parenting stress and stereotype of mother group and father group toward stuttering children. To check for an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ubordinate scope of child-rearing behaviors between mother group and father group of stuttering children, two way mixed ANOVA was conducted.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parenting stress has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other group than in the father group. Second, the total score of child-rearing behaviors of the mother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father group. This indicates that the mother group has more favorable child-rearing behaviors compared to the father group. Main effect of in-group subordinate test was significan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he subordinate scope of child-rearing behavior was significant as well. Third, the difference in stereotype of the father group and mother group toward stuttering children seems to be not significant. Most of existing indirect treatment assigns most of rules to mothers. Such burden of nurturing and treatment may be the causes of mothers’parenting stress. Thus, therapists should sufficiently explain during the parents consulting that not only mother’s participation, but father’s active participation in indirect treatment can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children’s recovering from stuttering, and in the process of mediation, recognize both the mother and father as subjects of mediation in a broad sense, so appropriate education and consulting can be done. This study shows that mothers tend to show more favorable child-rearing behaviors than fathers do. Thus, the therapist should sufficiently explain child-rearing behaviors to the children’s parents during the clinic, and have the father bring up the children with the mother with appropriate attitudes. This study shows that the average scores of stereotype stuttering children’s parents have toward stuttering do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other group and father group, but this does not mean that parents’stereotype toward stuttering need not be considered for curing the stuttering children. Since stuttering is an interaction of complicated factors, therapists should keep in mind that there are not clearly expressed stereotype of parents towards stuttering children, find out this in early consulting, so they can continue appropriate parents consulting then on.;말더듬은 타고난 요인들과 환경적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발생하는 복잡한 의사소통 장애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아동의 경우 환경이 말더듬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더라도 말더듬을 악화시키고 지속시키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학령전기 말더듬아동의 치료가 치료목표와 대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치료는 말더듬아동의 부모참여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최근에는 부모의 구어적인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양육행동이나 훈육의 일관성과 같은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전반적인 가정환경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에서는 유창성 장애아동 어머니들이 양육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으며, 또한 부정적 양육행동을 더 많이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행동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으로 여겨졌다. 양육스트레스는 부모의 정신건강 뿐만 아니라 부모와 자녀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자녀의 언어적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실제 임상 현장에 있는 언어치료사들은 말더듬 아동 어머니들이 부적절한 양육행동을 취하거나 비일관적인 양육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치료사들은 말더듬 아동의 심리적 특성과 부모의 심리적 특성 및 양육행동이 말더듬에 관련된 중요한 요인이며, 이러한 중요한 요인들을 적절하게 다루는 것이 말더듬 치료의 관건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즉 아동의 부모가 어떤 유형의 태도를 취하느냐에 따라 아동의 말더듬 치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말더듬아동의 효과적인 간접치료를 위해서는 부모가 일관적이고 바람직한 양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아동에게 일관적인 양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말더듬 아동 부모의 아동의 말더듬에 대한 고정관념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이는 아동의 간접치료에 참여하는 부모가 아동의 말더듬 대한 고정관념에 차이가 있을 경우 일관적이지 않은 의사소통 환경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말더듬 아동에 대한 부모간의 고정관념이 차이로 아동에게 일관되지 않은 의사소통환경과 양육태도를 제공한다면, 아이의 말더듬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경우 간접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배우자가 큰 양육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이는 아동의 양육태도에도 영향을 끼쳐 아동의 말더듬이 더 악화되는 현상을 낳을 수 있다. 현재까지 말더듬 아동 어머니와 말더듬 아동 아버지에 대한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 고정관념을 직접적으로 비교한 연구는 매우 미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 아동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가장 중요한 환경이라 할 수 있는 가정환경에서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태도, 말더듬에 대한 고정관념의 차이를 알아보고, 말더듬 아동의 중재를 위한 부모교육에 효과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말더듬 아동 어머니 15명과 말더듬 아동 아버지 15명을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 설문지, 양육태도 설문지, 고정관념설문지, 사례면담지를 아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은 말더듬 아동 어머니 집단과 아버지 집단 간의 양육스트레스 점수와 고정관념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독립표본 t – 검정을 실시하였고, 말더듬 아동 어머니 집단과 말더듬 아동 아버지 집단 간의 양육태도 하위영역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말더듬 아동 어머니 집단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버지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말더듬 아동 어머니 집단과 말더듬 아동 아버지 집단 간 양육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말더듬 아동 어머니 집단의 양육태도 총점이 아버지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는 어머니 집단이 아버지 집단에 비해 더 바람직한 양육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말더듬 아동 아버지 집단과 어머니 집단간의 말더듬에 대한 고정관념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 태도 하위 영역에서는 어머니 집단의 애정적, 자율적 태도가 아버지 집단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양육태도 영역은 말더듬 아동의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반면 통제적 양육태도와 거부적 양육태도에서는 부모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태도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아버지가 어머니에 비해 아동에게 더 통제적이고 거부적인 양육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말더듬 아동 부모의 전체 고정관념 평균 점수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는 말더듬 아동의 치료에 있어 부모들의 고정관념에 대해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말더듬 발생이 복합적인 요인들의 상호작용인 만큼 가정환경, 특히 객관적으로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 부모의 말더듬 아동에 대한 고정관념이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초기 면담에서 파악하여 그에 대한 적절한 부모 상담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말더듬 아동에 대한 고정관념의 차이가 아동에게 일관적이지 않은 의사소통 환경과 양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이는 까다로운 기질을 갖고 있다고 알려진 말더듬 아동의 치료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아동의 말더듬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말더듬의 악화는 주 양육자의 양육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태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접치료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부모간의 말더듬에 대한 고정관념, 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아동의 중재를 위한 부모 교육에 효과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