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김민진-
dc.creator김민진-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2:49Z-
dc.date.available2018-03-06T16:32:49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73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738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11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의 차이를 알아보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현직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은 어떠한가? 1-1. 현직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은 전반적으로 어떠한가? 1-2. 현직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은 변인(교직경력, 교육정도, 기관유형, 신체운동 관련과목 수강 과목 수, 신체운동 관련 연수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은 어떠한가? 2-1.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은 전반적으로 어떠한가? 2-2.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은 변인(학년, 신체운동 관련과목 수강 과목 수, 교생실습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15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현직 유아교사 122명과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지식을 알아보기 위해 McCray와 Chen(2012)이 유아 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던 ‘유치원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인터뷰(Preschool Mathematics PCK Interview)’를 수정하여 사용한 김나연(2015)의 설문지 형식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신체운동에 대한 교과교육학 지식을 측정하는데 사용한 개념 범주는 2015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내용을 기준으로 재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최대값과 최소값,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t검정, 교차분석(chi-square),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지식의 점수는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마다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현직 유아교사는 신체운동에 대한 장면은 잘 발견하나 개념과 이유에 대해서는 비교적 잘 발견하지 못하였다. 영역별로 비교했을 때에는 체력요소를 가장 잘 발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변인별 차이에서는 교직경력, 교사의 기관 유형, 신체운동 관련과목 수강 과목 수, 신체운동 관련 연수 경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육 정도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현직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은 교육 정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의 점수는 낮게 나타났으며 개인별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예비 유아교사는 장면, 개념, 이유 중 장면을 가장 많이 발견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이유를 가장 적게 발견하였다. 영역별로 비교했을 때 체력요소를 가장 많이 발견하였으며, 단서가 주어질 경우에는 움직임 요소를 가장 많이 발견하였다. 변인별 차이에서는 1학년과 2학년 집단과 3학년과 4학년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각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이 증가하지는 않음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신체운동 관련 과목 수에서는 한 번도 수강하지 않은 집단과 1회 이상 수강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한 과목을 수강한 집단과 두 과목 이상을 수강한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신체운동 관련 과목을 한 과목 이상 수강했을 시 과목 수와는 상관이 없으며 관련 과목을 수강 했는지가 더 중요한 변인임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교생실습 여부는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신체운동 관련 과목을 수강한 예비교사와 현직 유아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의 비교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예비교사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신체운동에 대한 지원 전략에 있어서 현직 유아교사는 환경적인 지원에서 예비교사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반면에 상호작용과 교수법의 측면에 있어서는 예비교사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한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교사의 신체운동과 관련된 개념 선택에 있어서 현직 유아교사는 체력 요소를 가장 많이 선택하고 기본 운동을 가장 적게 선택했다. 반면에 예비교사는 기본 운동을 가장 많이 선택하고 체력 요소를 가장 적게 선택하여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y of current physical education subject education curriculum and preliminary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Furthermore, it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between preliminary and current teacher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or this purpose. 1. How is the stat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1-1. What is overall asp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1-2. Is there any differences i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according to variables (Teaching experience, degree of education, type of institution, number of subject courses related to physical exercise, training experiences related to physical exercise)? 2. How is the stat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of preliminary teachers? 2-1. What is overall aspects of prelimina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preliminary teachers’ physical exercis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ccording to variables(Grade, the number of subjects related to physical exercise, the experiences of teacher training)?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lev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between the current preschool teachers and the preliminary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2 early childhood teachers at 15 preschools and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124 preliminary teachers of 5 universities. The study revised and supplemented by referring to the survey content of Kim Na Yeon(2015)’s Preschool Mathematics PCK Interview, which was revised by McCray and Chen (2012) tha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eschool teachers. The categorie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were reorganized based on the content of the 2015 revised version of preschool curriculum. For data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maximum and minimum value, frequency and percentage was calculated. And t-test, ANOVA, chi-square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conducting chi-squared correlation analysis, it conducted a scheffé post-tes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low and the deviation was large among individual teachers. While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scene of the physical exercise well, but they did not find it relatively well with regard to the concept and reason.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factor was found the most, compared by each fiel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such as teaching career, type of teacher's institution, number of subject courses related to physical exercise, and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physical exercis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levels increase along with advance in teachers’ degree. Second, the scores of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were low and the difference was found to be large among individuals. The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found scenes most frequently, among scenes, concepts, and reasons while they found reasons the least relatively. When comparing by each factor, health factor was found the most, and movement factors were found the most when clues were given. Also, It showed significant discrepanci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ade groups and the third and fourth grade groups. However, as each grade increased, it was seen tha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did not increase. In addition, the number of subjects related to physical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who did not enroll once and those who enrolled more than onc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ho took one subject and those who took more than two subjects. This implies that the enrollment in physical exercise related courses is a more important variable that tend to increase knowledge level regardless of the number of courses he/she has taken.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regarding whether or not the teacher training was done. Third, the preliminary teachers’ score was generally higher than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With regard to the support strategy for the physical activity of the childr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got higher score than the preliminary teachers in environmental support, while preliminary teachers got higher score in terms of interaction and teaching method. In addition, with regard to selecting concept related to the physical activit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preliminary teacher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ected the health factor the most and selected the basic exercise the least, while the preliminary teachers selected the basic exercise the mos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유아와 신체운동 6 B.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 15 Ⅲ. 연구방법 23 A. 연구 대상 23 B. 연구 도구 25 C. 연구 절차 28 D. 자료 분석 30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1 A. 현직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 31 B.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 37 C.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 비교 43 Ⅴ. 논의 및 결론 46 A. 논의 46 B. 결론 및 제언 53 참고문헌 57 부록1. 설문지 63 부록2. 신체운동 교과교육학지식 평가기준 74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6623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현직 유아교사와 예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에 대한 이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prelimina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dc.creator.othernameKim, Minjin-
dc.format.pagev, 78 p.-
dc.contributor.examiner김순환-
dc.contributor.examiner정혜욱-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