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0 Download: 0

교실 공간에 대한 만 5세 유아의 인식과 의미

Title
교실 공간에 대한 만 5세 유아의 인식과 의미
Other Titles
A Study on 5-Year-Olds' Perception & Meaning of Classroom
Authors
방시윤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욱
Abstract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가 유아교육기관 교실 공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유아의 관점에서 교실 공간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유아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 교실 공간의 모습은 어떠한가? 2. 유아교육기관 교실 공간은 만 5세 유아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본 연구는 충청남도 천안시에 소재한 A, B, C 사립유치원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64명이었다. 유아교육기관 교실 공간에 대한 유아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료 수집은 유아들의 그림그리기와 그림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기간은 2017년 10월 2일부터 10월 31일까지였다. 유아들의 면담 외에도 유아의 이름, 사진, 성별, 생년월일이 기록된 문서 수집, 교사와의 비형식적 면담이 보조 자료로 수집되었다. 유아 면담 및 교사 면담은 녹음되었으며, 녹음 내용으로 전사본을 만들었다. 수집된 자료는 자료의 내용 정리, 범주화 단계, 의미해석 및 사례추출의 단계를 거쳐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 공간에 대한 만 5세 유아들의 인식은 교사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 선으로 구분된 공간, 가득찬 공간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자신이 하루일과의 대부분을 보내고 있는 교실 공간은 교사에 의해서 구성되었고 변화시킬 수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렇게 교사에 의해 제공된 교실 공간은 대부분 흥미영역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렇게 교사에 의해 구조화된 공간을 유아들은 선으로 구분된 공간으로 인식하였다. 유아들은 교사에 의해 그어진 선 안에서 정해진 놀잇감으로 정해진 활동을 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들의 인식 속에 교실 공간은 도구, 사람, 행동, 규율이라는 다양한 요소로 가득찬 공간이었다. 둘째, 교실 공간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교실 공간은 나를 위해 존재하는 공간, 관계를 형성하는 공간, 제약이 있는 공간, 내 방식대로의 공간으로 그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교실 공간과 그 안을 이루고 있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자신을 중심으로 존재한다고 인식하고 있는데, 이는 교실 공간에 대한 소속감과 소유함을 의미한다. 또한 유아들은 교실 공간은 나 혼자 사용하는 것으로는 의미가 없고, 그 곳에서 생활하는 모두에게 공유된 공간으로써 도구들과 다른 구성원들과 활발한 관계형성을 통해 함께 살아가는 것으로 의미를 두었다. 한편, 성인에 의해 규정된 구조와 암묵적인 규칙 속에서 유아들은 생각과 행동을 감시당하고 통제되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렇게 질서정연한 법칙이 존재하는 교실 공간에서도 유아들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자신들만의 방식을 창출해냈으며, 이를 통해 공간이 주체성을 발휘하는 장소로서 유아에게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실 공간은 상호 연관 속에서 공유하고 서로 교섭하는 과정을 통하여 의미가 부여되므로, 교사의 관점으로만 교실공간을 운영하기보다는 항상 유아와 교사가 생각을 교류하는 장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를 위해서 공간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대안을 모색하려는 작은 시도와 목소리들을 존중하고 이를 드러낼 수 있도록 다양한 대화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교사는 자신이 행하는 보이지 않는 힘에 대한 반성적인 접근을 통하여 교실 공간에서 교사의 존재와 그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을 해야 한다. 더불어 교실 공간은 유아들이 주체성을 발휘하며 자신의 심리적인 욕구를 발산시킬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5-year-old children perceive a classroom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lassroom from a perspective of young children. Hence,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1. How 5-year-olds perceive the classroom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2. What meaning the classroom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has to 5-year-old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64 young children at 5 in the private kindergartens, A, B, C located at Cheonan, Chungcheongnam-do. As for data collection in order to examine the perception on the classroom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by young children, interviews were done for drawings and pictures with young children and the research term ranged from the 2nd to 31st, October, 2017. In addition to interviews with young children, documents recording their name, photo, gender and date of birth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teachers were collected as supplementary data. Interviews with young children and teachers were recorded and a transcription was generated based on records.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through steps including summarization, categorization, semantic interpretation and case extractio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5-year-olds perceived the classroom as the space created by a teacher, space divided by a line and the space packed. Young children recognized that classroom where they spent most of the day was organized by the teacher and it could be unchangeable. As such, the classroom provided by the teacher consisted of interest areas in general. Young children recognized such a space structured by the teacher as the space divided by a line. Young children engaged in a fixed activity with a fixed toy within a line drawn by the teacher. Besides, in terms of the perception by young children, classroom was the space full of a variety of elements including tools, persons, actions and disciplines. Secondly, based on young children's perception on the classroom, it shows that classroom has the meaning as the space that exists for oneself, space where relation is established, space that has a restriction and the space of one's own. Young children perceive that classroom and many elements within it exist around themselves and it means their sense of belonging to and ownership of the classroom. Furthermore, they recognize classroom has no significance as it is used by oneself alone and give the meaning to the space shared by everyone living a life together through establishing relations with tools and other members. On the other hand, young children had experience that their ideas and behaviors were monitored and controlled in the structure prescribed by adults with implicit rules. However, even in the classroom where such orderly rules and regulations existed, they created their own way for using the space. Hence, it shows that the space has significance as the place where young children can show their subjectivity. Such research findings reveal that classroom has significance through a process of sharing and mutual negotiation in the correlations so it should be the place for exchanging ideas by young children and teachers rather than operating it only from a perspective of a teacher. Therefore, various arenas for dialogues should be prepared to respect and empower minor attempts and voices to grope for new approaches and alternatives for the space. In addition, teachers have to ponder upon the meaning they have in a classroom through the reflective approach to the invisible power they exercise. Also, classroom should be the place where young children can show their subjectivity and release their psychological nee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