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6 Download: 0

초등교사의 국악 생활화 영역에 대한 교수-학습 및 인식 조사

Title
초등교사의 국악 생활화 영역에 대한 교수-학습 및 인식 조사
Other Titles
An investigation into Teaching & Learning and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Incorpor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o Daily Life.
Authors
최은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근주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국악의 생활화 지도에 대한 학교 현장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총 107부의 설문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를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의 국악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국악이론에 대한 지식은 모두 보통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사들의 평소 국악 감상 빈도는 ‘전혀 감상하지 않는다’(68.2%)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국악 공연 관람 빈도 역시 ‘전혀 관람하지 않는다’(80.7)% 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국악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교수-학습의 전반적인 실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교사들은 국악 지도 시에 느끼는 어려움의 정도에 대해 ‘어려움을 느낀다’(43.0%),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23.4%) 순으로 응답하여 과반 수 이상의 교사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지도하기 어려운 영역은 ‘기악’(38.3%)으로 조사되었고, 반면 지도하기 가장 수월한 영역은 ‘가창’(40.2%)이며 실제 국악 수업 시 다루는 영역 또한 ‘가창’(60.7%)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내 국악의 생활화 영역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교수-학습 실태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생활화 영역의 분량에 대해서 ‘적당하다’(66.4%)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생활화 영역의 난이도에 대해서는 어렵다는 인식을 가진 교사가 41.1%였다. 생활화 영역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교사들에게 구체적인 교수-학습에 관해 질문한 결과, 대다수의 교사들은 전반적인 국악 수업 지도에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한 것과 같이 생활화 영역지도에 있어서도 ‘어려움을 느낀다’(87.7%)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학생의 흥미도를 고려한 활동중심수업을 진행하고 있었고, 실제 수행능력과 문제에 대한 해결과정을 중점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실기평가법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내 국악의 생활화 영역 지도를 위한 교사들의 연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 간 국악과 관련된 연수를 받은 교사 37명 중에서 특별히 생활화 영역 연수를 받은 경험이 있는 교사는 37.8%를 차지했다. 생활화 영역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대부분 연수의 ‘효과가 있다’(57.1%)라고 응답하였으며, 아무도 효과가 없다고는 응답하지 않았다. 다섯째,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내 국악의 생활화 영역에 대해 교사가 생각하는 환경적 필요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교내에서의 필요로는 ‘국악 전문 강사 초빙’(45.8%)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나아가 생활화 영역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연수기회의 확대’를 희망하는 교사가 73.8%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국악교육의 생활화 영역에 대한 교수-학습 및 인식에 세부적인 조사를 실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악교육의 생활화 영역에 대한 차별화된 연수 및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학습자들로 하여금 그들의 생활 속에서 국악의 가치를 인식하고 국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즐길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tatus of the on-sit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on incorporat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hereinafter as “Gugak”) to daily life, and investigate the subsequent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ubject. A total of 107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results were then compar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nd discussed in the following. First, analysis on the responses from the teachers on the question about the general attitude towards Gugak revealed that the degree to which they held interest and knowledge of Gugak was average. On the question of how often they listened to Gugak,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never” (68.2%), and on the question of how often they attended Gugak concerts, the most frequent answer was also “never”(80.7%). Second, the survey on th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current Gugak education and the overall state of teaching and learning showed that in terms of the difficulties in teaching Gugak,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with 43% responding “difficult” and 23.4% responding “very difficult.” The most difficult area of Gugak to teach was instrumental (38.3%), whereas vocal (40.2%) was the easiest. Third,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section on incorporating Gugak to daily life as it appears in the 2009 revised music common curriculum showed that most of the teachers (66.4%) thought that the amount of the curriculum devoted to the section of “Gugak to daily life” was “adequate.” Regarding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section,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that it was "moderate"(55.1%). Fourth, the analysis of the state of teacher training for teaching Gugak to daily life section of the 2009 revised music common curriculum, 84.1% of teachers deemed it necessary. However, only 33.7% of the teachers have received Gugak-related training within the last 5 years. Out of the 65.4% of the teachers who did not receive the training, 38.6% attributed the cause to the “lack of training opportunities and information”. Among the 37 teachers who have received Gugak related training within the last 5 years, 37.8% have received training in Gugak to daily life section. Most of the teachers who have received training in the section answered that the training was effective (57.1%), and none of them answered that it was ineffective. Fifth, analyzing the environmental needs that the teachers perceived in implementing Gugak to daily life section in the 2009 revised music common curriculum, showed that the teachers needed the schools to invite Gugak experts as guest lecturers the most (45.8%). Moreover, 73.8%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expanding training opportunities” was necessary for the advancement of Gugak to daily life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erformed an in-depth investigation into the state and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aching and learning Gugak to daily life. I hope this study would inform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training and programs for enhancing teachers’ competencies in implementing Gugak to daily life section of the curriculum. I further hope to inspire students to recognize and appreciate the value of Gugak in their daily life and actively seek out and enjoy Guga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